동래읍성 ‘이전 복원’ 가닥…유적지 결국 훼손?
입력 2020.10.19 (21:48)
수정 2020.10.19 (22: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동래읍성 유적지가 현장 보존이 아니라 다른 곳으로 옮겨 복원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문화재청이 동래구청 신청사 건립을 고려해서 한 결정인데, 문화재 보호 의지가 부족한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이도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동래구청 신청사 건립 예정지 일대에서 발굴된 동래읍성 생활유적은 집터와 배수로, 우물 등 73기에 이릅니다.
문화재청은 이를 보존해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지만, 현상 유지가 아니라 이전해 복원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동래구청 신청사 건립 때문에 현장을 보존하진 않겠다는 겁니다.
[박광춘/문화재청 전문위원 : "(동래구청 신청사가) 공적인 건물이기 때문에 '이 건물을 짓지 마라'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죠. 동래의 구민들이 이 건물을 활용하고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지역 역사학계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유적을 이동하면 동래읍성 주변에서 수백 년을 살아온 당시 주민들의 생활상을 연구할 수 없게 되는 데다, 유적의 가치만 판단해야 하는 문화재위원들이 구청 의견만 반영해 유적을 훼손하는 결정을 했다는 겁니다.
[구산우/부산경남사학회 회장 : "이전 복원은 동래구청을 위한 결정이지, 사실은 역사 자체를 위해서 유적을 위해서 내린 올바른 결정이라고 보기는 대단히 어렵습니다."]
동래구는 신청사 건립계획을 원안 그대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박철수/동래구청 재무과장 : "신청사 짓는 게 구민들의 숙원사업이기 때문에 전문가들이 검토한 결과에 따라서 저희가 결과를 충분히 반영해서 신청사를 건립할 예정입니다."]
유적을 원형 그대로 보존할지, 이동해 복원할지 최종 결정은 올해 안 중앙문화재위원회에서 최종 결정하게 됩니다.
KBS 뉴스 이도은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
동래읍성 유적지가 현장 보존이 아니라 다른 곳으로 옮겨 복원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문화재청이 동래구청 신청사 건립을 고려해서 한 결정인데, 문화재 보호 의지가 부족한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이도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동래구청 신청사 건립 예정지 일대에서 발굴된 동래읍성 생활유적은 집터와 배수로, 우물 등 73기에 이릅니다.
문화재청은 이를 보존해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지만, 현상 유지가 아니라 이전해 복원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동래구청 신청사 건립 때문에 현장을 보존하진 않겠다는 겁니다.
[박광춘/문화재청 전문위원 : "(동래구청 신청사가) 공적인 건물이기 때문에 '이 건물을 짓지 마라'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죠. 동래의 구민들이 이 건물을 활용하고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지역 역사학계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유적을 이동하면 동래읍성 주변에서 수백 년을 살아온 당시 주민들의 생활상을 연구할 수 없게 되는 데다, 유적의 가치만 판단해야 하는 문화재위원들이 구청 의견만 반영해 유적을 훼손하는 결정을 했다는 겁니다.
[구산우/부산경남사학회 회장 : "이전 복원은 동래구청을 위한 결정이지, 사실은 역사 자체를 위해서 유적을 위해서 내린 올바른 결정이라고 보기는 대단히 어렵습니다."]
동래구는 신청사 건립계획을 원안 그대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박철수/동래구청 재무과장 : "신청사 짓는 게 구민들의 숙원사업이기 때문에 전문가들이 검토한 결과에 따라서 저희가 결과를 충분히 반영해서 신청사를 건립할 예정입니다."]
유적을 원형 그대로 보존할지, 이동해 복원할지 최종 결정은 올해 안 중앙문화재위원회에서 최종 결정하게 됩니다.
KBS 뉴스 이도은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래읍성 ‘이전 복원’ 가닥…유적지 결국 훼손?
-
- 입력 2020-10-19 21:48:48
- 수정2020-10-19 22:17:30

[앵커]
동래읍성 유적지가 현장 보존이 아니라 다른 곳으로 옮겨 복원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문화재청이 동래구청 신청사 건립을 고려해서 한 결정인데, 문화재 보호 의지가 부족한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이도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동래구청 신청사 건립 예정지 일대에서 발굴된 동래읍성 생활유적은 집터와 배수로, 우물 등 73기에 이릅니다.
문화재청은 이를 보존해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지만, 현상 유지가 아니라 이전해 복원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동래구청 신청사 건립 때문에 현장을 보존하진 않겠다는 겁니다.
[박광춘/문화재청 전문위원 : "(동래구청 신청사가) 공적인 건물이기 때문에 '이 건물을 짓지 마라'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죠. 동래의 구민들이 이 건물을 활용하고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지역 역사학계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유적을 이동하면 동래읍성 주변에서 수백 년을 살아온 당시 주민들의 생활상을 연구할 수 없게 되는 데다, 유적의 가치만 판단해야 하는 문화재위원들이 구청 의견만 반영해 유적을 훼손하는 결정을 했다는 겁니다.
[구산우/부산경남사학회 회장 : "이전 복원은 동래구청을 위한 결정이지, 사실은 역사 자체를 위해서 유적을 위해서 내린 올바른 결정이라고 보기는 대단히 어렵습니다."]
동래구는 신청사 건립계획을 원안 그대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박철수/동래구청 재무과장 : "신청사 짓는 게 구민들의 숙원사업이기 때문에 전문가들이 검토한 결과에 따라서 저희가 결과를 충분히 반영해서 신청사를 건립할 예정입니다."]
유적을 원형 그대로 보존할지, 이동해 복원할지 최종 결정은 올해 안 중앙문화재위원회에서 최종 결정하게 됩니다.
KBS 뉴스 이도은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
동래읍성 유적지가 현장 보존이 아니라 다른 곳으로 옮겨 복원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문화재청이 동래구청 신청사 건립을 고려해서 한 결정인데, 문화재 보호 의지가 부족한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이도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동래구청 신청사 건립 예정지 일대에서 발굴된 동래읍성 생활유적은 집터와 배수로, 우물 등 73기에 이릅니다.
문화재청은 이를 보존해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지만, 현상 유지가 아니라 이전해 복원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동래구청 신청사 건립 때문에 현장을 보존하진 않겠다는 겁니다.
[박광춘/문화재청 전문위원 : "(동래구청 신청사가) 공적인 건물이기 때문에 '이 건물을 짓지 마라'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죠. 동래의 구민들이 이 건물을 활용하고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지역 역사학계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유적을 이동하면 동래읍성 주변에서 수백 년을 살아온 당시 주민들의 생활상을 연구할 수 없게 되는 데다, 유적의 가치만 판단해야 하는 문화재위원들이 구청 의견만 반영해 유적을 훼손하는 결정을 했다는 겁니다.
[구산우/부산경남사학회 회장 : "이전 복원은 동래구청을 위한 결정이지, 사실은 역사 자체를 위해서 유적을 위해서 내린 올바른 결정이라고 보기는 대단히 어렵습니다."]
동래구는 신청사 건립계획을 원안 그대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박철수/동래구청 재무과장 : "신청사 짓는 게 구민들의 숙원사업이기 때문에 전문가들이 검토한 결과에 따라서 저희가 결과를 충분히 반영해서 신청사를 건립할 예정입니다."]
유적을 원형 그대로 보존할지, 이동해 복원할지 최종 결정은 올해 안 중앙문화재위원회에서 최종 결정하게 됩니다.
KBS 뉴스 이도은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