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 독감백신, 맞을까 말까?…“접종 중단 상황 아냐”

입력 2020.10.21 (17:57) 수정 2020.10.21 (18: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프로그램명 : 통합뉴스룸ET
■ 코너명 : ET WHY?
■ 방송시간 : 10월21일(수) 17:50~18:25 KBS2
■ 출연자 : 김경우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통합뉴스룸ET> 홈페이지
http://news.kbs.co.kr/vod/program.do?bcd=0076&ref=pMenu#2020.10.21

[앵커]
핵심 이슈의 궁금증을 풀어보는 시간, ET WHY입니다. 독감 백신을 맞은 뒤 숨지는 사례가 잇따라 확인되고 있습니다. 아직 백신과의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아무래도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는데요. 김경우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함께 궁금증 풀어보겠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답변]
안녕하세요?

[앵커]
말씀드린 대로 독감 백신 접종 후 사망하는 사례가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조금 전 오후 4시 정부 공식 집계 결과로 봤을 때 사망자가 9명까지 지금 나왔고요. 연령대를 봐도 10대, 70대, 60대, 80대, 50대, 전국 각지에서 나왔습니다. 과거에도 이런 경우가 있었습니까?

[답변]
지금 5일 동안 이렇게 9명의 사망 사례가 신고된 것은 없었는데요. 브리핑 자료에 따르면 2009년 이후로 총 25건, 그리고 2017년도, 18년, 19년도 같은 경우에는 각 두 건씩 사망 사례가 보고됐었는데 그중에서 백신과의 인과관계가 인정된 사례는 2009년에 한 건만 있었고요. 그다음에 다른 사망 사례는 백신 접종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앵커]
올해는 독감 백신이 사고가 좀 있었잖아요. 상온에도 노출이 되고 백색 입자도 발견되고, 아무래도 안전성에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는데, 이에 대한 정부의 설명을 먼저 들어보고 이야기 이어가겠습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
백신과의 직접적인 연관성, 예방접종 후 이상 반응과 사망과의 직접적인 인과성은 확인되지는 않았으며, 특정 백신에서 중증 이상 반응 사례가 높게 나타나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할 때는 전체 예방접종 사업을 중단할 만한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하였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백신과 이번 사망과의 연관성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는 입장인데, 전문의 소견으로 볼 때는 어떻습니까?

[답변]
크게 있어 보이지는 않지만 진짜 확실히 없는지는 추가 정밀검사, 특히 부검이라든지 진료 기록이라든지 의무 기록이라든지 이런 것들을 확인해봐야지 확실히 알 수가 있겠는데, 지금 봐서는 크게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데,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전혀 없다고 할 수는 없고 한 번 더 철저한 조사는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앵커]
조금 전 정은경 청장이 설명하는 와중에 이런 얘기를 했어요. 사망 사례 중의 2건의 경우에는 아나필락시스와 연관이 있을 수도 있다, 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는데 아나필락시스라는 게 어떤 건지, 그리고 연관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또 어떤 뜻인지 조금 설명을 해 주시면요?

[답변]
아나필락시스는 우리가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라고 보시면 되겠는데요. 가벼운 알레르기 반응은 우리가 알레르기 항원 물질에 노출됐을 때 가려움이라든지 재채기라든지 콧물이라든지, 이런 가벼운 알레르기는 누구나 경험하실 수 있는데 아나필락시스는 굉장히 중대한,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는 알레르기 반응이라서 혈관이 늘어나면서 저혈압이 오실 수가 있고, 또 기도가 부종이 생기면서 호흡 곤란이 오실 수가 있기 때문에 초기에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으면 사망하실 수 있는 그런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되겠는데, 꼭 예방접종을 포함해서 예방접종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벌에 쏘이셨다든지 특정 음식에 또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분들은 이런 것을 반복적으로 경험하시는 분들이 있어서, 해외 같은 경우에는 에피네프린이라고 자가 주사를, 그 아나필락시스가 올 때 스스로 맞는 것이 있을 정도로 알레르기 반응의 심각한 부작용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정은경 청장의 설명은 이 아나필락시스가 독감 백신 접종과 이 사망과의 연관성의 하나의 중간 연결고리가 될 수 있다, 그런 설명인 건가요?

[답변]
그렇습니다. 만약에 접종을 하고 바로 사망하셨다고 한다면 그 사인이 아나필락시스에 의한 쇼크가 될 텐데, 이제 돌아가신 분들에 의해서 아나필락시스가 있었는지 확인이 필요한데, 보통은 아나필락시스는 접종 하고 나서 상온에 노출되고 나서 30분 이내에 대부분 발생하기 때문에 지금 사망 사례에는 그런 건 보이지는 않지만, 아주 드물게는 몇 시간 지나서 아나필락시스가 오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지금 혹시 그 드문 가능성은 아닌지, 그리고 부검 소견이라든지 추가적인 현미경적인 세포 검사 같은 것이라든지 혈액 검사를 해서 추가로 그런 것들이 없는지 확인을 하겠다는 발표가 되겠습니다.

[앵커]
지금 보시면 사망한 사례들의 연령대가 70대 2명, 80대 2명, 60대 1명, 이렇게 고연령대가 포함돼 있는 것에 정부가 지금 주목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분들은 대체로 기저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이번 사망이 기저질환이 악화해서 사망을 한 건지, 아니면 독감 백신 접종이 문제가 된 건지, 이거를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요?

[답변]
맞습니다. 돌아가신 원인을 파악해야 하는데, 말씀하신 것처럼 기저질환 때문에 사망하셨다고 하면 아무래도 독감 백신 접종과의 관련성이 떨어질 것 같고요. 그것이 아닌 어떤 다른 사인, 특히 아나필락시스로 의한 사인이 의심될 때는, 이럴 때는 독감 접종과의 관련성이 많고 특히 다른 알레르기 항원 물질에 대한 노출이 없었다면 더욱더 독감에 의한 노출로 인한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왔고 그거로 사망했다, 이렇게 인과관계를 추정해볼 수 있겠습니다.

[앵커]
그런데 사망한 10대, 이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특별한 기저질환이 없는 거로 알려졌거든요? 이 경우는 어떻게 봐야 할까요?

[답변]
그동안 아나필락시스 쇼크 같은 경우에는 특별한 기저질환이 없는 상태에서 잘 올 수가 있고 또 예측하기 어려운 특이체질 반응이기 때문에 기저질환이 없다고 해서 백신 접종과의 연관성이 없다든가 연관성을 부인할 수도 없고 인정할 수도 없는데, 초기 1차 구두 부검 소견으로는 큰 특별한, 뚜렷한 사인은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추가적인 정밀검사를 해서 1차 소견이 좀 변경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정밀검사 결과를 기다려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러면 실제 독감 백신 주사를 맞고 그것으로 인해서 사망했다고 최종 확인이 된 그런 사례는 전 세계적으로 몇 건 정도가 있습니까?

[답변]
지금 미국 같은 경우에는 올해 총 6,000건 중에서 사망 사례 건 188건 보고됐다고 하고요. 이 중에서 다 인과관계가 인정된 건 아니고 절반 정도 인정이 됐고, 그래서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도 이 중에서 어느 정도 관련이 있을지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앵커]
어쨌든 명확한 인과관계가 나올 때까지 접종을 미뤄야겠다는 분들이 계세요. 미뤄도 될까요? 어떻게 하는 게 좋습니까?

[답변]
일단은 심각한 부작용은 그동안에 알려져 있던 부작용이고 100만 명 중의 1명꼴로 발생할 수 있는 아주 드물지만 일어날 수 있는 부작용이기 때문에 어떤 본인의 선택을 하실 수가 있겠고 설사 이런 부작용이 일어난다고 하더라도 접종 하고 나서 의료 기관에서 한 30분 정도 머물면서 특이 증상이 있는지, 또 돌아가셔서 수 시간 후에 호흡 곤란이나 저혈압 증상, 어지럼, 구토, 설사 이런 증상이 나타나시면 바로 119를 불러서 응급실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시겠습니다.

[앵커]
어쨌든 이상 증상이 나올 때까지는 15분에서 30분 정도는 그 증상을 확인하고 귀가해라.

[답변]
네, 그렇습니다.

[앵커]
그런 당부 말씀까지 듣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ET WHY, 김경우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함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ET] 독감백신, 맞을까 말까?…“접종 중단 상황 아냐”
    • 입력 2020-10-21 17:57:38
    • 수정2020-10-21 18:52:47
    통합뉴스룸ET
■ 프로그램명 : 통합뉴스룸ET
■ 코너명 : ET WHY?
■ 방송시간 : 10월21일(수) 17:50~18:25 KBS2
■ 출연자 : 김경우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통합뉴스룸ET> 홈페이지
http://news.kbs.co.kr/vod/program.do?bcd=0076&ref=pMenu#2020.10.21

[앵커]
핵심 이슈의 궁금증을 풀어보는 시간, ET WHY입니다. 독감 백신을 맞은 뒤 숨지는 사례가 잇따라 확인되고 있습니다. 아직 백신과의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아무래도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는데요. 김경우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함께 궁금증 풀어보겠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답변]
안녕하세요?

[앵커]
말씀드린 대로 독감 백신 접종 후 사망하는 사례가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조금 전 오후 4시 정부 공식 집계 결과로 봤을 때 사망자가 9명까지 지금 나왔고요. 연령대를 봐도 10대, 70대, 60대, 80대, 50대, 전국 각지에서 나왔습니다. 과거에도 이런 경우가 있었습니까?

[답변]
지금 5일 동안 이렇게 9명의 사망 사례가 신고된 것은 없었는데요. 브리핑 자료에 따르면 2009년 이후로 총 25건, 그리고 2017년도, 18년, 19년도 같은 경우에는 각 두 건씩 사망 사례가 보고됐었는데 그중에서 백신과의 인과관계가 인정된 사례는 2009년에 한 건만 있었고요. 그다음에 다른 사망 사례는 백신 접종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앵커]
올해는 독감 백신이 사고가 좀 있었잖아요. 상온에도 노출이 되고 백색 입자도 발견되고, 아무래도 안전성에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는데, 이에 대한 정부의 설명을 먼저 들어보고 이야기 이어가겠습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
백신과의 직접적인 연관성, 예방접종 후 이상 반응과 사망과의 직접적인 인과성은 확인되지는 않았으며, 특정 백신에서 중증 이상 반응 사례가 높게 나타나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할 때는 전체 예방접종 사업을 중단할 만한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하였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백신과 이번 사망과의 연관성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는 입장인데, 전문의 소견으로 볼 때는 어떻습니까?

[답변]
크게 있어 보이지는 않지만 진짜 확실히 없는지는 추가 정밀검사, 특히 부검이라든지 진료 기록이라든지 의무 기록이라든지 이런 것들을 확인해봐야지 확실히 알 수가 있겠는데, 지금 봐서는 크게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데,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전혀 없다고 할 수는 없고 한 번 더 철저한 조사는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앵커]
조금 전 정은경 청장이 설명하는 와중에 이런 얘기를 했어요. 사망 사례 중의 2건의 경우에는 아나필락시스와 연관이 있을 수도 있다, 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는데 아나필락시스라는 게 어떤 건지, 그리고 연관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또 어떤 뜻인지 조금 설명을 해 주시면요?

[답변]
아나필락시스는 우리가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라고 보시면 되겠는데요. 가벼운 알레르기 반응은 우리가 알레르기 항원 물질에 노출됐을 때 가려움이라든지 재채기라든지 콧물이라든지, 이런 가벼운 알레르기는 누구나 경험하실 수 있는데 아나필락시스는 굉장히 중대한,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는 알레르기 반응이라서 혈관이 늘어나면서 저혈압이 오실 수가 있고, 또 기도가 부종이 생기면서 호흡 곤란이 오실 수가 있기 때문에 초기에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으면 사망하실 수 있는 그런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되겠는데, 꼭 예방접종을 포함해서 예방접종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벌에 쏘이셨다든지 특정 음식에 또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분들은 이런 것을 반복적으로 경험하시는 분들이 있어서, 해외 같은 경우에는 에피네프린이라고 자가 주사를, 그 아나필락시스가 올 때 스스로 맞는 것이 있을 정도로 알레르기 반응의 심각한 부작용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정은경 청장의 설명은 이 아나필락시스가 독감 백신 접종과 이 사망과의 연관성의 하나의 중간 연결고리가 될 수 있다, 그런 설명인 건가요?

[답변]
그렇습니다. 만약에 접종을 하고 바로 사망하셨다고 한다면 그 사인이 아나필락시스에 의한 쇼크가 될 텐데, 이제 돌아가신 분들에 의해서 아나필락시스가 있었는지 확인이 필요한데, 보통은 아나필락시스는 접종 하고 나서 상온에 노출되고 나서 30분 이내에 대부분 발생하기 때문에 지금 사망 사례에는 그런 건 보이지는 않지만, 아주 드물게는 몇 시간 지나서 아나필락시스가 오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지금 혹시 그 드문 가능성은 아닌지, 그리고 부검 소견이라든지 추가적인 현미경적인 세포 검사 같은 것이라든지 혈액 검사를 해서 추가로 그런 것들이 없는지 확인을 하겠다는 발표가 되겠습니다.

[앵커]
지금 보시면 사망한 사례들의 연령대가 70대 2명, 80대 2명, 60대 1명, 이렇게 고연령대가 포함돼 있는 것에 정부가 지금 주목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분들은 대체로 기저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이번 사망이 기저질환이 악화해서 사망을 한 건지, 아니면 독감 백신 접종이 문제가 된 건지, 이거를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요?

[답변]
맞습니다. 돌아가신 원인을 파악해야 하는데, 말씀하신 것처럼 기저질환 때문에 사망하셨다고 하면 아무래도 독감 백신 접종과의 관련성이 떨어질 것 같고요. 그것이 아닌 어떤 다른 사인, 특히 아나필락시스로 의한 사인이 의심될 때는, 이럴 때는 독감 접종과의 관련성이 많고 특히 다른 알레르기 항원 물질에 대한 노출이 없었다면 더욱더 독감에 의한 노출로 인한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왔고 그거로 사망했다, 이렇게 인과관계를 추정해볼 수 있겠습니다.

[앵커]
그런데 사망한 10대, 이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특별한 기저질환이 없는 거로 알려졌거든요? 이 경우는 어떻게 봐야 할까요?

[답변]
그동안 아나필락시스 쇼크 같은 경우에는 특별한 기저질환이 없는 상태에서 잘 올 수가 있고 또 예측하기 어려운 특이체질 반응이기 때문에 기저질환이 없다고 해서 백신 접종과의 연관성이 없다든가 연관성을 부인할 수도 없고 인정할 수도 없는데, 초기 1차 구두 부검 소견으로는 큰 특별한, 뚜렷한 사인은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추가적인 정밀검사를 해서 1차 소견이 좀 변경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정밀검사 결과를 기다려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러면 실제 독감 백신 주사를 맞고 그것으로 인해서 사망했다고 최종 확인이 된 그런 사례는 전 세계적으로 몇 건 정도가 있습니까?

[답변]
지금 미국 같은 경우에는 올해 총 6,000건 중에서 사망 사례 건 188건 보고됐다고 하고요. 이 중에서 다 인과관계가 인정된 건 아니고 절반 정도 인정이 됐고, 그래서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도 이 중에서 어느 정도 관련이 있을지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앵커]
어쨌든 명확한 인과관계가 나올 때까지 접종을 미뤄야겠다는 분들이 계세요. 미뤄도 될까요? 어떻게 하는 게 좋습니까?

[답변]
일단은 심각한 부작용은 그동안에 알려져 있던 부작용이고 100만 명 중의 1명꼴로 발생할 수 있는 아주 드물지만 일어날 수 있는 부작용이기 때문에 어떤 본인의 선택을 하실 수가 있겠고 설사 이런 부작용이 일어난다고 하더라도 접종 하고 나서 의료 기관에서 한 30분 정도 머물면서 특이 증상이 있는지, 또 돌아가셔서 수 시간 후에 호흡 곤란이나 저혈압 증상, 어지럼, 구토, 설사 이런 증상이 나타나시면 바로 119를 불러서 응급실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시겠습니다.

[앵커]
어쨌든 이상 증상이 나올 때까지는 15분에서 30분 정도는 그 증상을 확인하고 귀가해라.

[답변]
네, 그렇습니다.

[앵커]
그런 당부 말씀까지 듣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ET WHY, 김경우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함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