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 오늘 미국 대선…세계가 주목
입력 2020.11.03 (07:47)
수정 2020.11.03 (07: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진수 해설위원
앞으로 4년간 미국을 이끌어갈 대통령을 뽑는 미국 대선일이 바로 오늘입니다. 우리 시각으로는 밤부터 선거가 시작됩니다. 그러나 이미 미국 유권자 열 명 중 네 명이 사전투표를 통해 자신의 주권을 행사했습니다. 2016년의 경우에 대입할 경우 총투표자의 70%에 해당하는 숫자라고 하니 이미 절반 이상이 투표한 셈입니다.
이번 선거는 누가 이기냐도 중요하지만 언제 최종 결과가 나올 것이냐가 더 주목을 끌고 있는 좀 이상한 선거입니다. 표 차이가 근소할 경우 또 우편투표에서 결과가 뒤집힐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승복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불복소송을 통해 재검표를 한 뒤 그 결과에도 승복하지 않고 대법원까지 갈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입니다. 그렇게 되면 최종 결과가 나오기까지 몇 주가 더 걸릴 수도 있고 현재의 대법원 판세가 보수 6명, 진보 3명으로 결코 트럼프에게 불리하지 않은 형국이기 때문에 대법원의 판결 결과도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2000년 미 대선에서는 부시와 고어 후보의 플로리다 주 표차가 단 537표 차이였지만 연방 대법원이 재검표 중단 명령을 내리자 고어 후보는 분열보다는 화합이 필요한 때라는 이유로 대법원의 결정에 승복한 바 있습니다. 세계는 고어 후보의 결단에 대해 박수를 보냈고 미국의 민주주의에 경의를 표했습니다. 그러나 지금의 상황은 그와는 달라도 너무 다른 것 같습니다. 선거의 결과에 승복해야 하는 민주주의의 기본마저 무너질 것 같은 상황이 다른 나라도 아닌 미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데 대해 실망을 넘어 어리둥절할 뿐입니다.
이코노미스트지는 바이든 후보의 승률을 96%로 보고 있습니다. 선거인단 538명 중 350명을 바이든 후보가 얻는다는 예상입니다. 승리를 위해 필요한 선거인단 수는 과반인 270명입니다. 이 예측에 준하는 결과라면 잡음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의 시선이 오늘 미국을 향하고 있습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앞으로 4년간 미국을 이끌어갈 대통령을 뽑는 미국 대선일이 바로 오늘입니다. 우리 시각으로는 밤부터 선거가 시작됩니다. 그러나 이미 미국 유권자 열 명 중 네 명이 사전투표를 통해 자신의 주권을 행사했습니다. 2016년의 경우에 대입할 경우 총투표자의 70%에 해당하는 숫자라고 하니 이미 절반 이상이 투표한 셈입니다.
이번 선거는 누가 이기냐도 중요하지만 언제 최종 결과가 나올 것이냐가 더 주목을 끌고 있는 좀 이상한 선거입니다. 표 차이가 근소할 경우 또 우편투표에서 결과가 뒤집힐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승복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불복소송을 통해 재검표를 한 뒤 그 결과에도 승복하지 않고 대법원까지 갈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입니다. 그렇게 되면 최종 결과가 나오기까지 몇 주가 더 걸릴 수도 있고 현재의 대법원 판세가 보수 6명, 진보 3명으로 결코 트럼프에게 불리하지 않은 형국이기 때문에 대법원의 판결 결과도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2000년 미 대선에서는 부시와 고어 후보의 플로리다 주 표차가 단 537표 차이였지만 연방 대법원이 재검표 중단 명령을 내리자 고어 후보는 분열보다는 화합이 필요한 때라는 이유로 대법원의 결정에 승복한 바 있습니다. 세계는 고어 후보의 결단에 대해 박수를 보냈고 미국의 민주주의에 경의를 표했습니다. 그러나 지금의 상황은 그와는 달라도 너무 다른 것 같습니다. 선거의 결과에 승복해야 하는 민주주의의 기본마저 무너질 것 같은 상황이 다른 나라도 아닌 미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데 대해 실망을 넘어 어리둥절할 뿐입니다.
이코노미스트지는 바이든 후보의 승률을 96%로 보고 있습니다. 선거인단 538명 중 350명을 바이든 후보가 얻는다는 예상입니다. 승리를 위해 필요한 선거인단 수는 과반인 270명입니다. 이 예측에 준하는 결과라면 잡음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의 시선이 오늘 미국을 향하고 있습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해설] 오늘 미국 대선…세계가 주목
-
- 입력 2020-11-03 07:47:47
- 수정2020-11-03 07:52:01

김진수 해설위원
앞으로 4년간 미국을 이끌어갈 대통령을 뽑는 미국 대선일이 바로 오늘입니다. 우리 시각으로는 밤부터 선거가 시작됩니다. 그러나 이미 미국 유권자 열 명 중 네 명이 사전투표를 통해 자신의 주권을 행사했습니다. 2016년의 경우에 대입할 경우 총투표자의 70%에 해당하는 숫자라고 하니 이미 절반 이상이 투표한 셈입니다.
이번 선거는 누가 이기냐도 중요하지만 언제 최종 결과가 나올 것이냐가 더 주목을 끌고 있는 좀 이상한 선거입니다. 표 차이가 근소할 경우 또 우편투표에서 결과가 뒤집힐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승복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불복소송을 통해 재검표를 한 뒤 그 결과에도 승복하지 않고 대법원까지 갈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입니다. 그렇게 되면 최종 결과가 나오기까지 몇 주가 더 걸릴 수도 있고 현재의 대법원 판세가 보수 6명, 진보 3명으로 결코 트럼프에게 불리하지 않은 형국이기 때문에 대법원의 판결 결과도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2000년 미 대선에서는 부시와 고어 후보의 플로리다 주 표차가 단 537표 차이였지만 연방 대법원이 재검표 중단 명령을 내리자 고어 후보는 분열보다는 화합이 필요한 때라는 이유로 대법원의 결정에 승복한 바 있습니다. 세계는 고어 후보의 결단에 대해 박수를 보냈고 미국의 민주주의에 경의를 표했습니다. 그러나 지금의 상황은 그와는 달라도 너무 다른 것 같습니다. 선거의 결과에 승복해야 하는 민주주의의 기본마저 무너질 것 같은 상황이 다른 나라도 아닌 미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데 대해 실망을 넘어 어리둥절할 뿐입니다.
이코노미스트지는 바이든 후보의 승률을 96%로 보고 있습니다. 선거인단 538명 중 350명을 바이든 후보가 얻는다는 예상입니다. 승리를 위해 필요한 선거인단 수는 과반인 270명입니다. 이 예측에 준하는 결과라면 잡음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의 시선이 오늘 미국을 향하고 있습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앞으로 4년간 미국을 이끌어갈 대통령을 뽑는 미국 대선일이 바로 오늘입니다. 우리 시각으로는 밤부터 선거가 시작됩니다. 그러나 이미 미국 유권자 열 명 중 네 명이 사전투표를 통해 자신의 주권을 행사했습니다. 2016년의 경우에 대입할 경우 총투표자의 70%에 해당하는 숫자라고 하니 이미 절반 이상이 투표한 셈입니다.
이번 선거는 누가 이기냐도 중요하지만 언제 최종 결과가 나올 것이냐가 더 주목을 끌고 있는 좀 이상한 선거입니다. 표 차이가 근소할 경우 또 우편투표에서 결과가 뒤집힐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승복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불복소송을 통해 재검표를 한 뒤 그 결과에도 승복하지 않고 대법원까지 갈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입니다. 그렇게 되면 최종 결과가 나오기까지 몇 주가 더 걸릴 수도 있고 현재의 대법원 판세가 보수 6명, 진보 3명으로 결코 트럼프에게 불리하지 않은 형국이기 때문에 대법원의 판결 결과도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2000년 미 대선에서는 부시와 고어 후보의 플로리다 주 표차가 단 537표 차이였지만 연방 대법원이 재검표 중단 명령을 내리자 고어 후보는 분열보다는 화합이 필요한 때라는 이유로 대법원의 결정에 승복한 바 있습니다. 세계는 고어 후보의 결단에 대해 박수를 보냈고 미국의 민주주의에 경의를 표했습니다. 그러나 지금의 상황은 그와는 달라도 너무 다른 것 같습니다. 선거의 결과에 승복해야 하는 민주주의의 기본마저 무너질 것 같은 상황이 다른 나라도 아닌 미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데 대해 실망을 넘어 어리둥절할 뿐입니다.
이코노미스트지는 바이든 후보의 승률을 96%로 보고 있습니다. 선거인단 538명 중 350명을 바이든 후보가 얻는다는 예상입니다. 승리를 위해 필요한 선거인단 수는 과반인 270명입니다. 이 예측에 준하는 결과라면 잡음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의 시선이 오늘 미국을 향하고 있습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
-
김진수 기자 jinnews@kbs.co.kr
김진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미국 대선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