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비대면 결제 17%↑·실물카드 결제 5.6%↓
입력 2020.11.03 (13:50)
수정 2020.11.03 (13: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여파로 비대면 결제가 작년보다 17% 급증했지만, 손으로 주고받는 일이 많은 실물 카드 결제 규모는 6% 가까이 줄었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3일) 발표한 국내 지급결제 동향 통계에 따르면 올해 1∼9월 일평균 비대면 결제 규모는 8천330억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7% 늘었습니다.
이 비대면 결제 통계에는 온라인 쇼핑몰 결제 같은 비대면 거래뿐만 아니라 거래 현장에서 단말기 접촉 없이 모바일 기기 등으로 한 결제까지 들어갑니다.
같은 기간 대면 결제(일평균 1조 4천90억 원)는 3.7% 감소했습니다. 대면 결제 중에서도 스마트폰 같은 모바일 기기 결제는 18% 늘었으나 플라스틱 카드 결제는 5.6% 줄었습니다.
모바일기기 결제(일평균 1조 원) 가운데 간편 결제 비중은 1월 32.4%에서 9월 39.0%로 점차 커졌습니다.
간편 결제 중 핀테크(금융기술) 기업의 비중은 9월 현재 61.5%로, 1월(52.6%)보다 확대됐습니다.
전체 카드 이용 규모(일평균 2조 5천억 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소비 활동이 위축되면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4% 느는 데 그쳤습니다. 작년 같은 기간 증가 폭(+6.3%)의 5분의 1 수준입니다.
신용카드(+0.2%)와 체크카드(+2.4%) 증가세는 둔화했지만, 선불카드(+770.6%)는 긴급재난지원금을 담아 쓴 영향으로 대폭 늘었습니다.
개인의 신용카드 사용 규모를 보면 1∼9월 전자상거래(+24.1%), 자동차(+21.9%), 보험(+14.6%) 등의 업종에서는 늘었지만, 여행(-66.0%), 교육(-16.9%), 오락·문화(-12.7%) 등에서는 확연히 줄었습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5.8%)을 제외한 모든 지역의 이용 규모가 작년보다 줄었습니다. 단 수도권에 소재한 대형 전자상거래 업체를 제외할 경우 수도권에서의 개인 신용카드 이용 규모 증가 폭도 0.1%에 그쳤습니다.
소액결제망을 통한 계좌이체 금액(일평균 70조 9천억 원)은 비대면 결제 선호, 주식 투자 자금 유입 등으로 작년보다 17.9% 급증했습니다.
어음·수표 결제금액은 일평균 17조 8천억 원으로, 작년보다 4.4% 늘었습니다. 지난해 13.7%나 줄었다가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한국은행이 오늘(3일) 발표한 국내 지급결제 동향 통계에 따르면 올해 1∼9월 일평균 비대면 결제 규모는 8천330억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7% 늘었습니다.
이 비대면 결제 통계에는 온라인 쇼핑몰 결제 같은 비대면 거래뿐만 아니라 거래 현장에서 단말기 접촉 없이 모바일 기기 등으로 한 결제까지 들어갑니다.
같은 기간 대면 결제(일평균 1조 4천90억 원)는 3.7% 감소했습니다. 대면 결제 중에서도 스마트폰 같은 모바일 기기 결제는 18% 늘었으나 플라스틱 카드 결제는 5.6% 줄었습니다.
모바일기기 결제(일평균 1조 원) 가운데 간편 결제 비중은 1월 32.4%에서 9월 39.0%로 점차 커졌습니다.
간편 결제 중 핀테크(금융기술) 기업의 비중은 9월 현재 61.5%로, 1월(52.6%)보다 확대됐습니다.
전체 카드 이용 규모(일평균 2조 5천억 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소비 활동이 위축되면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4% 느는 데 그쳤습니다. 작년 같은 기간 증가 폭(+6.3%)의 5분의 1 수준입니다.
신용카드(+0.2%)와 체크카드(+2.4%) 증가세는 둔화했지만, 선불카드(+770.6%)는 긴급재난지원금을 담아 쓴 영향으로 대폭 늘었습니다.
개인의 신용카드 사용 규모를 보면 1∼9월 전자상거래(+24.1%), 자동차(+21.9%), 보험(+14.6%) 등의 업종에서는 늘었지만, 여행(-66.0%), 교육(-16.9%), 오락·문화(-12.7%) 등에서는 확연히 줄었습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5.8%)을 제외한 모든 지역의 이용 규모가 작년보다 줄었습니다. 단 수도권에 소재한 대형 전자상거래 업체를 제외할 경우 수도권에서의 개인 신용카드 이용 규모 증가 폭도 0.1%에 그쳤습니다.
소액결제망을 통한 계좌이체 금액(일평균 70조 9천억 원)은 비대면 결제 선호, 주식 투자 자금 유입 등으로 작년보다 17.9% 급증했습니다.
어음·수표 결제금액은 일평균 17조 8천억 원으로, 작년보다 4.4% 늘었습니다. 지난해 13.7%나 줄었다가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코로나19에 비대면 결제 17%↑·실물카드 결제 5.6%↓
-
- 입력 2020-11-03 13:49:59
- 수정2020-11-03 13:52:17

코로나19 여파로 비대면 결제가 작년보다 17% 급증했지만, 손으로 주고받는 일이 많은 실물 카드 결제 규모는 6% 가까이 줄었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3일) 발표한 국내 지급결제 동향 통계에 따르면 올해 1∼9월 일평균 비대면 결제 규모는 8천330억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7% 늘었습니다.
이 비대면 결제 통계에는 온라인 쇼핑몰 결제 같은 비대면 거래뿐만 아니라 거래 현장에서 단말기 접촉 없이 모바일 기기 등으로 한 결제까지 들어갑니다.
같은 기간 대면 결제(일평균 1조 4천90억 원)는 3.7% 감소했습니다. 대면 결제 중에서도 스마트폰 같은 모바일 기기 결제는 18% 늘었으나 플라스틱 카드 결제는 5.6% 줄었습니다.
모바일기기 결제(일평균 1조 원) 가운데 간편 결제 비중은 1월 32.4%에서 9월 39.0%로 점차 커졌습니다.
간편 결제 중 핀테크(금융기술) 기업의 비중은 9월 현재 61.5%로, 1월(52.6%)보다 확대됐습니다.
전체 카드 이용 규모(일평균 2조 5천억 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소비 활동이 위축되면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4% 느는 데 그쳤습니다. 작년 같은 기간 증가 폭(+6.3%)의 5분의 1 수준입니다.
신용카드(+0.2%)와 체크카드(+2.4%) 증가세는 둔화했지만, 선불카드(+770.6%)는 긴급재난지원금을 담아 쓴 영향으로 대폭 늘었습니다.
개인의 신용카드 사용 규모를 보면 1∼9월 전자상거래(+24.1%), 자동차(+21.9%), 보험(+14.6%) 등의 업종에서는 늘었지만, 여행(-66.0%), 교육(-16.9%), 오락·문화(-12.7%) 등에서는 확연히 줄었습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5.8%)을 제외한 모든 지역의 이용 규모가 작년보다 줄었습니다. 단 수도권에 소재한 대형 전자상거래 업체를 제외할 경우 수도권에서의 개인 신용카드 이용 규모 증가 폭도 0.1%에 그쳤습니다.
소액결제망을 통한 계좌이체 금액(일평균 70조 9천억 원)은 비대면 결제 선호, 주식 투자 자금 유입 등으로 작년보다 17.9% 급증했습니다.
어음·수표 결제금액은 일평균 17조 8천억 원으로, 작년보다 4.4% 늘었습니다. 지난해 13.7%나 줄었다가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한국은행이 오늘(3일) 발표한 국내 지급결제 동향 통계에 따르면 올해 1∼9월 일평균 비대면 결제 규모는 8천330억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7% 늘었습니다.
이 비대면 결제 통계에는 온라인 쇼핑몰 결제 같은 비대면 거래뿐만 아니라 거래 현장에서 단말기 접촉 없이 모바일 기기 등으로 한 결제까지 들어갑니다.
같은 기간 대면 결제(일평균 1조 4천90억 원)는 3.7% 감소했습니다. 대면 결제 중에서도 스마트폰 같은 모바일 기기 결제는 18% 늘었으나 플라스틱 카드 결제는 5.6% 줄었습니다.
모바일기기 결제(일평균 1조 원) 가운데 간편 결제 비중은 1월 32.4%에서 9월 39.0%로 점차 커졌습니다.
간편 결제 중 핀테크(금융기술) 기업의 비중은 9월 현재 61.5%로, 1월(52.6%)보다 확대됐습니다.
전체 카드 이용 규모(일평균 2조 5천억 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소비 활동이 위축되면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4% 느는 데 그쳤습니다. 작년 같은 기간 증가 폭(+6.3%)의 5분의 1 수준입니다.
신용카드(+0.2%)와 체크카드(+2.4%) 증가세는 둔화했지만, 선불카드(+770.6%)는 긴급재난지원금을 담아 쓴 영향으로 대폭 늘었습니다.
개인의 신용카드 사용 규모를 보면 1∼9월 전자상거래(+24.1%), 자동차(+21.9%), 보험(+14.6%) 등의 업종에서는 늘었지만, 여행(-66.0%), 교육(-16.9%), 오락·문화(-12.7%) 등에서는 확연히 줄었습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5.8%)을 제외한 모든 지역의 이용 규모가 작년보다 줄었습니다. 단 수도권에 소재한 대형 전자상거래 업체를 제외할 경우 수도권에서의 개인 신용카드 이용 규모 증가 폭도 0.1%에 그쳤습니다.
소액결제망을 통한 계좌이체 금액(일평균 70조 9천억 원)은 비대면 결제 선호, 주식 투자 자금 유입 등으로 작년보다 17.9% 급증했습니다.
어음·수표 결제금액은 일평균 17조 8천억 원으로, 작년보다 4.4% 늘었습니다. 지난해 13.7%나 줄었다가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
-
김민철 기자 mckim@kbs.co.kr
김민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