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철 “개혁은 욕먹을 각오로 하는 것…재산세·양도세 후퇴 유감”
입력 2020.11.03 (14:59)
수정 2020.11.03 (15: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의당 김종철 대표가 정부·여당의 1주택 재산세 인하와 주식 대주주 요건 완화 방침에 대해 “개혁은 욕먹을 각오로 하는 것”이라며 “깊은 유감”이라고 밝혔습니다.
김 대표는 오늘(3일) 메시지를 통해 “우리나라 보유세 실효세율은 OECD 평균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종합부동산세나 재산세 인상은 선진 복지국가를 만들기 위해 필수적”이라며 “공시지가를 시세의 90% 수준으로 올리겠다는 계획도 그 연장선에 있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그런데 왜 갑자기 재산세를 인하하는지 의문”이라며 “그럴 거라면 공시지가는 왜 올리는 것인지, 결국 공시지가는 올리면서 내년 보궐선거를 앞두고 표가 떨어질 것이 우려되니 개혁을 흐지부지하겠다는 이야기”라고 지적했습니다.
김 대표는 “주식 양도차익 과세도 마찬가지”라며 “내년부터 3억 이상 주식 보유자에 대해 적용하기로 했으면 조금 비판이 있더라도 뚝심있게 나아가야지, 왜 또다시 후퇴하는 것이냐. 이 정책도 표를 의식한 것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김 대표는 “정치세력이 표를 의식하지 않을 수는 없지만, 복지국가와 그것에 필요한 재원은 어떻게 마련할 수 있느냐”면서 “개혁에는 비판이 따르기 마련이고, 개혁의 방향을 잡았다면 욕을 먹더라도 확실히 끌고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 대표는 오늘(3일) 메시지를 통해 “우리나라 보유세 실효세율은 OECD 평균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종합부동산세나 재산세 인상은 선진 복지국가를 만들기 위해 필수적”이라며 “공시지가를 시세의 90% 수준으로 올리겠다는 계획도 그 연장선에 있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그런데 왜 갑자기 재산세를 인하하는지 의문”이라며 “그럴 거라면 공시지가는 왜 올리는 것인지, 결국 공시지가는 올리면서 내년 보궐선거를 앞두고 표가 떨어질 것이 우려되니 개혁을 흐지부지하겠다는 이야기”라고 지적했습니다.
김 대표는 “주식 양도차익 과세도 마찬가지”라며 “내년부터 3억 이상 주식 보유자에 대해 적용하기로 했으면 조금 비판이 있더라도 뚝심있게 나아가야지, 왜 또다시 후퇴하는 것이냐. 이 정책도 표를 의식한 것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김 대표는 “정치세력이 표를 의식하지 않을 수는 없지만, 복지국가와 그것에 필요한 재원은 어떻게 마련할 수 있느냐”면서 “개혁에는 비판이 따르기 마련이고, 개혁의 방향을 잡았다면 욕을 먹더라도 확실히 끌고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종철 “개혁은 욕먹을 각오로 하는 것…재산세·양도세 후퇴 유감”
-
- 입력 2020-11-03 14:59:00
- 수정2020-11-03 15:07:26

정의당 김종철 대표가 정부·여당의 1주택 재산세 인하와 주식 대주주 요건 완화 방침에 대해 “개혁은 욕먹을 각오로 하는 것”이라며 “깊은 유감”이라고 밝혔습니다.
김 대표는 오늘(3일) 메시지를 통해 “우리나라 보유세 실효세율은 OECD 평균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종합부동산세나 재산세 인상은 선진 복지국가를 만들기 위해 필수적”이라며 “공시지가를 시세의 90% 수준으로 올리겠다는 계획도 그 연장선에 있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그런데 왜 갑자기 재산세를 인하하는지 의문”이라며 “그럴 거라면 공시지가는 왜 올리는 것인지, 결국 공시지가는 올리면서 내년 보궐선거를 앞두고 표가 떨어질 것이 우려되니 개혁을 흐지부지하겠다는 이야기”라고 지적했습니다.
김 대표는 “주식 양도차익 과세도 마찬가지”라며 “내년부터 3억 이상 주식 보유자에 대해 적용하기로 했으면 조금 비판이 있더라도 뚝심있게 나아가야지, 왜 또다시 후퇴하는 것이냐. 이 정책도 표를 의식한 것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김 대표는 “정치세력이 표를 의식하지 않을 수는 없지만, 복지국가와 그것에 필요한 재원은 어떻게 마련할 수 있느냐”면서 “개혁에는 비판이 따르기 마련이고, 개혁의 방향을 잡았다면 욕을 먹더라도 확실히 끌고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 대표는 오늘(3일) 메시지를 통해 “우리나라 보유세 실효세율은 OECD 평균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종합부동산세나 재산세 인상은 선진 복지국가를 만들기 위해 필수적”이라며 “공시지가를 시세의 90% 수준으로 올리겠다는 계획도 그 연장선에 있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그런데 왜 갑자기 재산세를 인하하는지 의문”이라며 “그럴 거라면 공시지가는 왜 올리는 것인지, 결국 공시지가는 올리면서 내년 보궐선거를 앞두고 표가 떨어질 것이 우려되니 개혁을 흐지부지하겠다는 이야기”라고 지적했습니다.
김 대표는 “주식 양도차익 과세도 마찬가지”라며 “내년부터 3억 이상 주식 보유자에 대해 적용하기로 했으면 조금 비판이 있더라도 뚝심있게 나아가야지, 왜 또다시 후퇴하는 것이냐. 이 정책도 표를 의식한 것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김 대표는 “정치세력이 표를 의식하지 않을 수는 없지만, 복지국가와 그것에 필요한 재원은 어떻게 마련할 수 있느냐”면서 “개혁에는 비판이 따르기 마련이고, 개혁의 방향을 잡았다면 욕을 먹더라도 확실히 끌고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조태흠 기자 jotem@kbs.co.kr
조태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