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달라진 수시 ‘비대면 면접’
입력 2020.11.03 (20:14)
수정 2020.11.03 (20: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올해 대입 정원의 70%를 차지하는 수시 전형의 면접 고사가 시작됐습니다.
예년과 가장 큰 차이점은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해 처음으로 비대면 면접이 도입됐다는 점인데요.
어떻게 달라졌고 어떤 점을 유의해야 하는지 박지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안녕하세요. 비대면 입시면접 서비스입니다.”]
익숙한 교실에서 스마트폰을 세워 놓고 답변을 이어가는 수험생.
[“환자에 대한 걱정이나 고민을 공감하며 위로를 건네는 간호사로...”]
기회가 한 번뿐인 비대면 면접 녹화 전에 연습 면접을 반복합니다.
처음 해보는 방식이지만 면접관이 없어 오히려 부담은 덜합니다.
[김재욱/고3 수험생 : "비대면을 하다 보니까 자신감도 생겨서 말할 수도 있는 것 같고 하고 싶은 말도 더 쉽게 할 수 있는 것 같아요."]
코로나19 속에 이뤄지는 올해 대입 수시 면접은 비대면이 대셉니다.
광주와 전남은 물론 수도권까지 대부분의 사립대학들이 비대면 면접을 채택했습니다.
대학들은 방역 부담을 덜고 면접 참여율을 높였지만, 평가의 깊이가 고민입니다.
[손홍민/호남대학교 입학관리처장 : "다양한 질문 유사질문을 해서 학생들의 여러 가지 능력이라든지 이런 면접의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비대면이라도 녹화 영상 제출 방식이나 현장 실시간 등 대학별로 방법도 다 다릅니다.
[신희돈/광주진학부장협의회장 : "자기 전형이 어떤 전형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면접 방식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명확하게 인지해야 합니다."]
또 전남대 등 국·공립 대학들은 대부분 대면 면접을 진행하는 만큼 달라진 면접 일정과 방법에 대한 수험생들의 꼼꼼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촬영기자:신한비
올해 대입 정원의 70%를 차지하는 수시 전형의 면접 고사가 시작됐습니다.
예년과 가장 큰 차이점은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해 처음으로 비대면 면접이 도입됐다는 점인데요.
어떻게 달라졌고 어떤 점을 유의해야 하는지 박지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안녕하세요. 비대면 입시면접 서비스입니다.”]
익숙한 교실에서 스마트폰을 세워 놓고 답변을 이어가는 수험생.
[“환자에 대한 걱정이나 고민을 공감하며 위로를 건네는 간호사로...”]
기회가 한 번뿐인 비대면 면접 녹화 전에 연습 면접을 반복합니다.
처음 해보는 방식이지만 면접관이 없어 오히려 부담은 덜합니다.
[김재욱/고3 수험생 : "비대면을 하다 보니까 자신감도 생겨서 말할 수도 있는 것 같고 하고 싶은 말도 더 쉽게 할 수 있는 것 같아요."]
코로나19 속에 이뤄지는 올해 대입 수시 면접은 비대면이 대셉니다.
광주와 전남은 물론 수도권까지 대부분의 사립대학들이 비대면 면접을 채택했습니다.
대학들은 방역 부담을 덜고 면접 참여율을 높였지만, 평가의 깊이가 고민입니다.
[손홍민/호남대학교 입학관리처장 : "다양한 질문 유사질문을 해서 학생들의 여러 가지 능력이라든지 이런 면접의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비대면이라도 녹화 영상 제출 방식이나 현장 실시간 등 대학별로 방법도 다 다릅니다.
[신희돈/광주진학부장협의회장 : "자기 전형이 어떤 전형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면접 방식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명확하게 인지해야 합니다."]
또 전남대 등 국·공립 대학들은 대부분 대면 면접을 진행하는 만큼 달라진 면접 일정과 방법에 대한 수험생들의 꼼꼼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촬영기자:신한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코로나19로 달라진 수시 ‘비대면 면접’
-
- 입력 2020-11-03 20:14:10
- 수정2020-11-03 20:17:37

[앵커]
올해 대입 정원의 70%를 차지하는 수시 전형의 면접 고사가 시작됐습니다.
예년과 가장 큰 차이점은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해 처음으로 비대면 면접이 도입됐다는 점인데요.
어떻게 달라졌고 어떤 점을 유의해야 하는지 박지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안녕하세요. 비대면 입시면접 서비스입니다.”]
익숙한 교실에서 스마트폰을 세워 놓고 답변을 이어가는 수험생.
[“환자에 대한 걱정이나 고민을 공감하며 위로를 건네는 간호사로...”]
기회가 한 번뿐인 비대면 면접 녹화 전에 연습 면접을 반복합니다.
처음 해보는 방식이지만 면접관이 없어 오히려 부담은 덜합니다.
[김재욱/고3 수험생 : "비대면을 하다 보니까 자신감도 생겨서 말할 수도 있는 것 같고 하고 싶은 말도 더 쉽게 할 수 있는 것 같아요."]
코로나19 속에 이뤄지는 올해 대입 수시 면접은 비대면이 대셉니다.
광주와 전남은 물론 수도권까지 대부분의 사립대학들이 비대면 면접을 채택했습니다.
대학들은 방역 부담을 덜고 면접 참여율을 높였지만, 평가의 깊이가 고민입니다.
[손홍민/호남대학교 입학관리처장 : "다양한 질문 유사질문을 해서 학생들의 여러 가지 능력이라든지 이런 면접의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비대면이라도 녹화 영상 제출 방식이나 현장 실시간 등 대학별로 방법도 다 다릅니다.
[신희돈/광주진학부장협의회장 : "자기 전형이 어떤 전형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면접 방식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명확하게 인지해야 합니다."]
또 전남대 등 국·공립 대학들은 대부분 대면 면접을 진행하는 만큼 달라진 면접 일정과 방법에 대한 수험생들의 꼼꼼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촬영기자:신한비
올해 대입 정원의 70%를 차지하는 수시 전형의 면접 고사가 시작됐습니다.
예년과 가장 큰 차이점은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해 처음으로 비대면 면접이 도입됐다는 점인데요.
어떻게 달라졌고 어떤 점을 유의해야 하는지 박지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안녕하세요. 비대면 입시면접 서비스입니다.”]
익숙한 교실에서 스마트폰을 세워 놓고 답변을 이어가는 수험생.
[“환자에 대한 걱정이나 고민을 공감하며 위로를 건네는 간호사로...”]
기회가 한 번뿐인 비대면 면접 녹화 전에 연습 면접을 반복합니다.
처음 해보는 방식이지만 면접관이 없어 오히려 부담은 덜합니다.
[김재욱/고3 수험생 : "비대면을 하다 보니까 자신감도 생겨서 말할 수도 있는 것 같고 하고 싶은 말도 더 쉽게 할 수 있는 것 같아요."]
코로나19 속에 이뤄지는 올해 대입 수시 면접은 비대면이 대셉니다.
광주와 전남은 물론 수도권까지 대부분의 사립대학들이 비대면 면접을 채택했습니다.
대학들은 방역 부담을 덜고 면접 참여율을 높였지만, 평가의 깊이가 고민입니다.
[손홍민/호남대학교 입학관리처장 : "다양한 질문 유사질문을 해서 학생들의 여러 가지 능력이라든지 이런 면접의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비대면이라도 녹화 영상 제출 방식이나 현장 실시간 등 대학별로 방법도 다 다릅니다.
[신희돈/광주진학부장협의회장 : "자기 전형이 어떤 전형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면접 방식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명확하게 인지해야 합니다."]
또 전남대 등 국·공립 대학들은 대부분 대면 면접을 진행하는 만큼 달라진 면접 일정과 방법에 대한 수험생들의 꼼꼼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촬영기자:신한비
-
-
박지성 기자 jsp@kbs.co.kr
박지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