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언어 기획]⑦ “공공언어 파괴 심각”…부산시 실태 조사 착수

입력 2020.11.15 (21:29) 수정 2020.11.15 (22: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누구나 알기 쉽게 써야 할 공공언어를 공공기관이 오히려 앞장서 훼손하는 실태, 연속 보도하고 있습니다.

공공언어와 관련한 규정을 무시하고 잘못된 용어를 남발하는 부산시에 대한 비난이 거세지는 가운데, 부산시가 실태 조사에 들어갔습니다.

이이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각종 사업과 정책, 행정용어에 빠짐없이 등장하는 정체불명의 외국어.

최근엔 한글과 한자, 영어를 조합한 변조어까지 등장하고 있습니다.

부산시의회가 부산시의 공공언어 파괴 실태가 도를 넘었다며, 이는 '외국어의 무분별한 사용을 금지'한 부산시 조례에 위반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일자리, 창업, 관광 등 경제 관련 분야에서 특히, 알아듣기 어려운 용어가 남발되고 있다며, 이는 시민의 알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라고 강조했습니다.

부산시가 지난해 수립한 '국어발전 5개년 기본계획'에선 정책 기획부서에서 명칭을 만들어야 할 경우, '문화예술과'와 협의를 거치고, '국어진흥위원회' 자문을 얻어 명칭을 결정해야 하지만 모든 과정이 무시되고 있습니다.

[윤지영/부산시의원 : "부산시는 공공기관의 명칭, 정책명, 사업명, 상징, 구호 등의 개선 상황을 조사하여 반드시 의회에 보고해야 합니다."]

부산시는 올해 말까지 공공언어 사용 실태 조사를 벌이기로 했습니다.

또, 주요 정책 용어에 대해 반드시 국어책임관과 협의하라고 모든 부서에 통보했습니다.

[김명수/부산시 문화예술과장 : "모든 것을 한번에 고치는 것은 어려움이 있어서 최소한 주요 정책 사업의 명칭을 정할 때만이라도 외래어 사용이 적어지도록 저희가 국어진흥위원회의 자문을 받아서…."]

망가지는 공공언어를 회복하기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은 있는 제도부터 활용하는 겁니다.

조례가 규정하는 국어심의 절차가 얼마나 강제력을 발휘할지가 관건입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공언어 기획]⑦ “공공언어 파괴 심각”…부산시 실태 조사 착수
    • 입력 2020-11-15 21:29:09
    • 수정2020-11-15 22:43:15
    뉴스9(부산)
[앵커]

누구나 알기 쉽게 써야 할 공공언어를 공공기관이 오히려 앞장서 훼손하는 실태, 연속 보도하고 있습니다.

공공언어와 관련한 규정을 무시하고 잘못된 용어를 남발하는 부산시에 대한 비난이 거세지는 가운데, 부산시가 실태 조사에 들어갔습니다.

이이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각종 사업과 정책, 행정용어에 빠짐없이 등장하는 정체불명의 외국어.

최근엔 한글과 한자, 영어를 조합한 변조어까지 등장하고 있습니다.

부산시의회가 부산시의 공공언어 파괴 실태가 도를 넘었다며, 이는 '외국어의 무분별한 사용을 금지'한 부산시 조례에 위반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일자리, 창업, 관광 등 경제 관련 분야에서 특히, 알아듣기 어려운 용어가 남발되고 있다며, 이는 시민의 알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라고 강조했습니다.

부산시가 지난해 수립한 '국어발전 5개년 기본계획'에선 정책 기획부서에서 명칭을 만들어야 할 경우, '문화예술과'와 협의를 거치고, '국어진흥위원회' 자문을 얻어 명칭을 결정해야 하지만 모든 과정이 무시되고 있습니다.

[윤지영/부산시의원 : "부산시는 공공기관의 명칭, 정책명, 사업명, 상징, 구호 등의 개선 상황을 조사하여 반드시 의회에 보고해야 합니다."]

부산시는 올해 말까지 공공언어 사용 실태 조사를 벌이기로 했습니다.

또, 주요 정책 용어에 대해 반드시 국어책임관과 협의하라고 모든 부서에 통보했습니다.

[김명수/부산시 문화예술과장 : "모든 것을 한번에 고치는 것은 어려움이 있어서 최소한 주요 정책 사업의 명칭을 정할 때만이라도 외래어 사용이 적어지도록 저희가 국어진흥위원회의 자문을 받아서…."]

망가지는 공공언어를 회복하기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은 있는 제도부터 활용하는 겁니다.

조례가 규정하는 국어심의 절차가 얼마나 강제력을 발휘할지가 관건입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