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쿨존 횡단보도 ‘무조건 일시정지’ 추진

입력 2020.11.23 (19:18) 수정 2020.11.23 (22: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주 유모차에 탄 두 살배기가 횡단보도 위에서 화물차에 치여 숨지는 안타까운 사고가 있었는데요.

어린이보호구역 내 횡단보도에서는 보행자 횡단 여부와 상관없이 일시정지를 의무화하는 법 개정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김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유모차를 끈 어머니와 삼남매가 화물차에 치여 두 살배기가 숨진 어린이보호구역 횡단보도.

숨진 아기를 추모하는 꽃과 손편지가 내걸렸지만, 여전히 횡단보도 앞에서 일시 정지하는 차량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왕광순/광주시 운암동 : "차가 계속 오니까 아무래도 조심스럽고, 차가 다 지나갈 때까지 기다리다가 건너느라고…. 만약에 장애인이라든가 임산부라든가 어린 아이라든가 이런 경우에는 도저히 건널 수 없는 상황이죠."]

정부가 교통사고가 잦은 어린이보호구역 사고를 분석한 결과, 10건 중 7건은 보행자 횡단 중 일어났고, 보행자 보호 의무 위반 사례도 절반 가까이나 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보행자에 대한 운전자의 보호 의무를 강화하는 내용의 법 개정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지난 8월 발의된 도로교통법 개정안에는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통행할 때는 물론 통행하려고 하는 때에도 차를 세우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어린이보호구역의 횡단보도 앞에서는 무조건 일시정지 하는 내용도 담겨 있습니다.

[김영배/더불어민주당 의원/도로교통법 개정안 대표발의 : "학교 주변이나 어르신들이 많이 다니는 곳에서는 차량이 (아닌) 사람 우선의 정책을 실시할 때가 됐습니다. 우리도 이제 사람을 우선하는 교통 문화를 만들어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차량 중심의 교통 문화를 고스란히 드러낸 두 살배기의 참변.

보행자 안전이 보장되는 횡단보도를 만들기 위해선 법개정과 함께 운전자들의 인식 개선도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스쿨존 횡단보도 ‘무조건 일시정지’ 추진
    • 입력 2020-11-23 19:18:31
    • 수정2020-11-23 22:15:26
    뉴스7(광주)
[앵커]

지난주 유모차에 탄 두 살배기가 횡단보도 위에서 화물차에 치여 숨지는 안타까운 사고가 있었는데요.

어린이보호구역 내 횡단보도에서는 보행자 횡단 여부와 상관없이 일시정지를 의무화하는 법 개정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김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유모차를 끈 어머니와 삼남매가 화물차에 치여 두 살배기가 숨진 어린이보호구역 횡단보도.

숨진 아기를 추모하는 꽃과 손편지가 내걸렸지만, 여전히 횡단보도 앞에서 일시 정지하는 차량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왕광순/광주시 운암동 : "차가 계속 오니까 아무래도 조심스럽고, 차가 다 지나갈 때까지 기다리다가 건너느라고…. 만약에 장애인이라든가 임산부라든가 어린 아이라든가 이런 경우에는 도저히 건널 수 없는 상황이죠."]

정부가 교통사고가 잦은 어린이보호구역 사고를 분석한 결과, 10건 중 7건은 보행자 횡단 중 일어났고, 보행자 보호 의무 위반 사례도 절반 가까이나 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보행자에 대한 운전자의 보호 의무를 강화하는 내용의 법 개정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지난 8월 발의된 도로교통법 개정안에는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통행할 때는 물론 통행하려고 하는 때에도 차를 세우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어린이보호구역의 횡단보도 앞에서는 무조건 일시정지 하는 내용도 담겨 있습니다.

[김영배/더불어민주당 의원/도로교통법 개정안 대표발의 : "학교 주변이나 어르신들이 많이 다니는 곳에서는 차량이 (아닌) 사람 우선의 정책을 실시할 때가 됐습니다. 우리도 이제 사람을 우선하는 교통 문화를 만들어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차량 중심의 교통 문화를 고스란히 드러낸 두 살배기의 참변.

보행자 안전이 보장되는 횡단보도를 만들기 위해선 법개정과 함께 운전자들의 인식 개선도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