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 파국 치달은 ‘추-윤 갈등’
입력 2020.11.26 (07:46)
수정 2020.11.26 (07: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춘호 해설위원
추미애 법무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의 갈등이 마침내 파국으로 치달았습니다. 지난 1년간 끊임없이 계속돼 온 두 사람의 대립이 갈 데까지 간 겁니다. 역대로 검찰총장이 중도 사퇴한 적은 있지만 법무장관이 직무배제 명령을 내린 건 처음 있는 일입니다. 추 장관은 징계까지 끝내겠다는 입장이고 윤 총장은 법적 대응 하겠다는 방침이어서 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정치권이 본격 가세하면서 정기국회와 연말 정국이 시계 제로 상황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추 장관은 윤 총장 직무배제 사유로 재판부 불법사찰, 감찰 방해, 정치적 중립훼손 등 6가지 혐의를 제시했습니다. 동시에 징계도 청구했는데 법무부는 곧 징계위원회를 꾸려 징계 절차에 들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검사징계는 관련법에 따라 해임까지 가능한데 현재 분위기로는 최고 수위의 징계도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윤 총장은 부끄럼 없이 소임을 다해왔고, 추 장관의 직무배제가 위법,부당한 만큼 끝까지 법적 대응한다는 입장입니다. 윤 총장 직무배제는 정치권도 뒤흔들고 있습니다. 여당인 민주당은 직무배제 결정을 옹호하면서 윤 총장의 자진사퇴를 요구했습니다. 나아가 국회 국정조사와 특별수사까지 거론하고 나섰습니다. 반면 야당인 국민의 힘은 법치 유린으로 규정하며 정권이 막장으로 치닫고 있다고 격하게 비난했습니다. 대검찰청을 방문한 데 이어 추미애 장관에 대한 국정조사도 요구했습니다. 공방이 격화되면 안 그래도 삐걱거리는 정기국회 법안이나 예산 심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국정원법 개정안을 여당 단독으로 처리한 여파로 어제 예정됐던 정보위 예산 소위도 이미 무산됐습니다.
두 사람의 벼랑 끝 대치는 이번 조치로 종결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국면의 시작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같은 정부의 법무장관과 검찰총장이 법정에서 다투고 여야가 양쪽을 각각 편드는 보기 드문 일이 벌어지는 겁니다. 이미 갈라진 검찰 조직도 심각한 후유증을 피할 수 없어 보입니다. 이런 비정상적인 상황이 장기화되면 결국, 국가 전체와 국민만 피해를 입을 뿐입니다. 임명권자인 대통령이 나서 사태를 정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그래서 나옵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추미애 법무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의 갈등이 마침내 파국으로 치달았습니다. 지난 1년간 끊임없이 계속돼 온 두 사람의 대립이 갈 데까지 간 겁니다. 역대로 검찰총장이 중도 사퇴한 적은 있지만 법무장관이 직무배제 명령을 내린 건 처음 있는 일입니다. 추 장관은 징계까지 끝내겠다는 입장이고 윤 총장은 법적 대응 하겠다는 방침이어서 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정치권이 본격 가세하면서 정기국회와 연말 정국이 시계 제로 상황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추 장관은 윤 총장 직무배제 사유로 재판부 불법사찰, 감찰 방해, 정치적 중립훼손 등 6가지 혐의를 제시했습니다. 동시에 징계도 청구했는데 법무부는 곧 징계위원회를 꾸려 징계 절차에 들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검사징계는 관련법에 따라 해임까지 가능한데 현재 분위기로는 최고 수위의 징계도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윤 총장은 부끄럼 없이 소임을 다해왔고, 추 장관의 직무배제가 위법,부당한 만큼 끝까지 법적 대응한다는 입장입니다. 윤 총장 직무배제는 정치권도 뒤흔들고 있습니다. 여당인 민주당은 직무배제 결정을 옹호하면서 윤 총장의 자진사퇴를 요구했습니다. 나아가 국회 국정조사와 특별수사까지 거론하고 나섰습니다. 반면 야당인 국민의 힘은 법치 유린으로 규정하며 정권이 막장으로 치닫고 있다고 격하게 비난했습니다. 대검찰청을 방문한 데 이어 추미애 장관에 대한 국정조사도 요구했습니다. 공방이 격화되면 안 그래도 삐걱거리는 정기국회 법안이나 예산 심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국정원법 개정안을 여당 단독으로 처리한 여파로 어제 예정됐던 정보위 예산 소위도 이미 무산됐습니다.
두 사람의 벼랑 끝 대치는 이번 조치로 종결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국면의 시작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같은 정부의 법무장관과 검찰총장이 법정에서 다투고 여야가 양쪽을 각각 편드는 보기 드문 일이 벌어지는 겁니다. 이미 갈라진 검찰 조직도 심각한 후유증을 피할 수 없어 보입니다. 이런 비정상적인 상황이 장기화되면 결국, 국가 전체와 국민만 피해를 입을 뿐입니다. 임명권자인 대통령이 나서 사태를 정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그래서 나옵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해설] 파국 치달은 ‘추-윤 갈등’
-
- 입력 2020-11-26 07:46:03
- 수정2020-11-26 07:51:16
이춘호 해설위원
추미애 법무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의 갈등이 마침내 파국으로 치달았습니다. 지난 1년간 끊임없이 계속돼 온 두 사람의 대립이 갈 데까지 간 겁니다. 역대로 검찰총장이 중도 사퇴한 적은 있지만 법무장관이 직무배제 명령을 내린 건 처음 있는 일입니다. 추 장관은 징계까지 끝내겠다는 입장이고 윤 총장은 법적 대응 하겠다는 방침이어서 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정치권이 본격 가세하면서 정기국회와 연말 정국이 시계 제로 상황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추 장관은 윤 총장 직무배제 사유로 재판부 불법사찰, 감찰 방해, 정치적 중립훼손 등 6가지 혐의를 제시했습니다. 동시에 징계도 청구했는데 법무부는 곧 징계위원회를 꾸려 징계 절차에 들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검사징계는 관련법에 따라 해임까지 가능한데 현재 분위기로는 최고 수위의 징계도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윤 총장은 부끄럼 없이 소임을 다해왔고, 추 장관의 직무배제가 위법,부당한 만큼 끝까지 법적 대응한다는 입장입니다. 윤 총장 직무배제는 정치권도 뒤흔들고 있습니다. 여당인 민주당은 직무배제 결정을 옹호하면서 윤 총장의 자진사퇴를 요구했습니다. 나아가 국회 국정조사와 특별수사까지 거론하고 나섰습니다. 반면 야당인 국민의 힘은 법치 유린으로 규정하며 정권이 막장으로 치닫고 있다고 격하게 비난했습니다. 대검찰청을 방문한 데 이어 추미애 장관에 대한 국정조사도 요구했습니다. 공방이 격화되면 안 그래도 삐걱거리는 정기국회 법안이나 예산 심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국정원법 개정안을 여당 단독으로 처리한 여파로 어제 예정됐던 정보위 예산 소위도 이미 무산됐습니다.
두 사람의 벼랑 끝 대치는 이번 조치로 종결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국면의 시작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같은 정부의 법무장관과 검찰총장이 법정에서 다투고 여야가 양쪽을 각각 편드는 보기 드문 일이 벌어지는 겁니다. 이미 갈라진 검찰 조직도 심각한 후유증을 피할 수 없어 보입니다. 이런 비정상적인 상황이 장기화되면 결국, 국가 전체와 국민만 피해를 입을 뿐입니다. 임명권자인 대통령이 나서 사태를 정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그래서 나옵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추미애 법무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의 갈등이 마침내 파국으로 치달았습니다. 지난 1년간 끊임없이 계속돼 온 두 사람의 대립이 갈 데까지 간 겁니다. 역대로 검찰총장이 중도 사퇴한 적은 있지만 법무장관이 직무배제 명령을 내린 건 처음 있는 일입니다. 추 장관은 징계까지 끝내겠다는 입장이고 윤 총장은 법적 대응 하겠다는 방침이어서 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정치권이 본격 가세하면서 정기국회와 연말 정국이 시계 제로 상황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추 장관은 윤 총장 직무배제 사유로 재판부 불법사찰, 감찰 방해, 정치적 중립훼손 등 6가지 혐의를 제시했습니다. 동시에 징계도 청구했는데 법무부는 곧 징계위원회를 꾸려 징계 절차에 들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검사징계는 관련법에 따라 해임까지 가능한데 현재 분위기로는 최고 수위의 징계도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윤 총장은 부끄럼 없이 소임을 다해왔고, 추 장관의 직무배제가 위법,부당한 만큼 끝까지 법적 대응한다는 입장입니다. 윤 총장 직무배제는 정치권도 뒤흔들고 있습니다. 여당인 민주당은 직무배제 결정을 옹호하면서 윤 총장의 자진사퇴를 요구했습니다. 나아가 국회 국정조사와 특별수사까지 거론하고 나섰습니다. 반면 야당인 국민의 힘은 법치 유린으로 규정하며 정권이 막장으로 치닫고 있다고 격하게 비난했습니다. 대검찰청을 방문한 데 이어 추미애 장관에 대한 국정조사도 요구했습니다. 공방이 격화되면 안 그래도 삐걱거리는 정기국회 법안이나 예산 심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국정원법 개정안을 여당 단독으로 처리한 여파로 어제 예정됐던 정보위 예산 소위도 이미 무산됐습니다.
두 사람의 벼랑 끝 대치는 이번 조치로 종결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국면의 시작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같은 정부의 법무장관과 검찰총장이 법정에서 다투고 여야가 양쪽을 각각 편드는 보기 드문 일이 벌어지는 겁니다. 이미 갈라진 검찰 조직도 심각한 후유증을 피할 수 없어 보입니다. 이런 비정상적인 상황이 장기화되면 결국, 국가 전체와 국민만 피해를 입을 뿐입니다. 임명권자인 대통령이 나서 사태를 정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그래서 나옵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
-
이춘호 기자 psh@kbs.co.kr
이춘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