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재무부도 ‘제재리스트’로 대북 대중 압박 강화
입력 2020.12.09 (10:47)
수정 2020.12.09 (11: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은 어제 중국에 대해 북한의 석탄 밀수출 등을 묵인하고 있다며 압박에 나섰는데요,
오늘은 북한의 석탄 밀수출과 관련해 북한은 물론 중국과 베트남, 홍콩기업까지 제재대상에 올렸습니다.
워싱턴에서 금철영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 재무부가 제재대상에 올린 북한 기업은 평양의 대진무역회삽니다
미 재무부는 이와 함께 중국의 웨이하이후이장 무역회사, 그리고 홍콩과 베트남 소재 무역회사 등 6개 회사의 이름을 제재명단에 올렸습니다.
북한산 석탄수출을 전면금지한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했다는 이윱니다.
석탄 운반에 관여했다는 이유로 선박 4척도 이름이 올랐습니다.
북한이 입는 타격보다 중국 등 다른 나라 업체들의 타격이 심할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의 대진무역회사는 북한 노동당 산하의 수많은 무역회사 가운데 하나로 추정됩니다.
따라서 대진무역의 손발이 묶여도 다른 회사가 나설 수 있지만 중국과 홍콩 베트남 회사들은 사정이 다릅니다.
이렇게 되면 관련 회사들은 국제금융시스템에서 사실상 손발이 묶이게 됩니다.
대북제재를 이행하라는 명분 하에 대중 압박의 메시지가 강해 보이는 이유기도 합니다.
중국이 북한에게 뒷문을 열어놓고 있다며 비난하는 미국 당국자들의 발언 강도는 이달 들어 부쩍 높아지고 있습니다.
[알렉스 웡/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 : "중국은 2006년, 2009년, 2013년, 2017년 대북제재 결의안에 찬성하고도 이행하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 무역망을 살려놓고 이득을 취하고 북한 경제 접근성을 키웠습니다."]
바이든 행정부로의 이행기,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대중 압박의 강도는 새 정부 출범 전까지 더 거세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금철영입니다.
영상편집:김신형
미국은 어제 중국에 대해 북한의 석탄 밀수출 등을 묵인하고 있다며 압박에 나섰는데요,
오늘은 북한의 석탄 밀수출과 관련해 북한은 물론 중국과 베트남, 홍콩기업까지 제재대상에 올렸습니다.
워싱턴에서 금철영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 재무부가 제재대상에 올린 북한 기업은 평양의 대진무역회삽니다
미 재무부는 이와 함께 중국의 웨이하이후이장 무역회사, 그리고 홍콩과 베트남 소재 무역회사 등 6개 회사의 이름을 제재명단에 올렸습니다.
북한산 석탄수출을 전면금지한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했다는 이윱니다.
석탄 운반에 관여했다는 이유로 선박 4척도 이름이 올랐습니다.
북한이 입는 타격보다 중국 등 다른 나라 업체들의 타격이 심할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의 대진무역회사는 북한 노동당 산하의 수많은 무역회사 가운데 하나로 추정됩니다.
따라서 대진무역의 손발이 묶여도 다른 회사가 나설 수 있지만 중국과 홍콩 베트남 회사들은 사정이 다릅니다.
이렇게 되면 관련 회사들은 국제금융시스템에서 사실상 손발이 묶이게 됩니다.
대북제재를 이행하라는 명분 하에 대중 압박의 메시지가 강해 보이는 이유기도 합니다.
중국이 북한에게 뒷문을 열어놓고 있다며 비난하는 미국 당국자들의 발언 강도는 이달 들어 부쩍 높아지고 있습니다.
[알렉스 웡/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 : "중국은 2006년, 2009년, 2013년, 2017년 대북제재 결의안에 찬성하고도 이행하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 무역망을 살려놓고 이득을 취하고 북한 경제 접근성을 키웠습니다."]
바이든 행정부로의 이행기,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대중 압박의 강도는 새 정부 출범 전까지 더 거세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금철영입니다.
영상편집:김신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재무부도 ‘제재리스트’로 대북 대중 압박 강화
-
- 입력 2020-12-09 10:47:24
- 수정2020-12-09 11:08:20

[앵커]
미국은 어제 중국에 대해 북한의 석탄 밀수출 등을 묵인하고 있다며 압박에 나섰는데요,
오늘은 북한의 석탄 밀수출과 관련해 북한은 물론 중국과 베트남, 홍콩기업까지 제재대상에 올렸습니다.
워싱턴에서 금철영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 재무부가 제재대상에 올린 북한 기업은 평양의 대진무역회삽니다
미 재무부는 이와 함께 중국의 웨이하이후이장 무역회사, 그리고 홍콩과 베트남 소재 무역회사 등 6개 회사의 이름을 제재명단에 올렸습니다.
북한산 석탄수출을 전면금지한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했다는 이윱니다.
석탄 운반에 관여했다는 이유로 선박 4척도 이름이 올랐습니다.
북한이 입는 타격보다 중국 등 다른 나라 업체들의 타격이 심할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의 대진무역회사는 북한 노동당 산하의 수많은 무역회사 가운데 하나로 추정됩니다.
따라서 대진무역의 손발이 묶여도 다른 회사가 나설 수 있지만 중국과 홍콩 베트남 회사들은 사정이 다릅니다.
이렇게 되면 관련 회사들은 국제금융시스템에서 사실상 손발이 묶이게 됩니다.
대북제재를 이행하라는 명분 하에 대중 압박의 메시지가 강해 보이는 이유기도 합니다.
중국이 북한에게 뒷문을 열어놓고 있다며 비난하는 미국 당국자들의 발언 강도는 이달 들어 부쩍 높아지고 있습니다.
[알렉스 웡/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 : "중국은 2006년, 2009년, 2013년, 2017년 대북제재 결의안에 찬성하고도 이행하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 무역망을 살려놓고 이득을 취하고 북한 경제 접근성을 키웠습니다."]
바이든 행정부로의 이행기,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대중 압박의 강도는 새 정부 출범 전까지 더 거세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금철영입니다.
영상편집:김신형
미국은 어제 중국에 대해 북한의 석탄 밀수출 등을 묵인하고 있다며 압박에 나섰는데요,
오늘은 북한의 석탄 밀수출과 관련해 북한은 물론 중국과 베트남, 홍콩기업까지 제재대상에 올렸습니다.
워싱턴에서 금철영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 재무부가 제재대상에 올린 북한 기업은 평양의 대진무역회삽니다
미 재무부는 이와 함께 중국의 웨이하이후이장 무역회사, 그리고 홍콩과 베트남 소재 무역회사 등 6개 회사의 이름을 제재명단에 올렸습니다.
북한산 석탄수출을 전면금지한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했다는 이윱니다.
석탄 운반에 관여했다는 이유로 선박 4척도 이름이 올랐습니다.
북한이 입는 타격보다 중국 등 다른 나라 업체들의 타격이 심할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의 대진무역회사는 북한 노동당 산하의 수많은 무역회사 가운데 하나로 추정됩니다.
따라서 대진무역의 손발이 묶여도 다른 회사가 나설 수 있지만 중국과 홍콩 베트남 회사들은 사정이 다릅니다.
이렇게 되면 관련 회사들은 국제금융시스템에서 사실상 손발이 묶이게 됩니다.
대북제재를 이행하라는 명분 하에 대중 압박의 메시지가 강해 보이는 이유기도 합니다.
중국이 북한에게 뒷문을 열어놓고 있다며 비난하는 미국 당국자들의 발언 강도는 이달 들어 부쩍 높아지고 있습니다.
[알렉스 웡/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 : "중국은 2006년, 2009년, 2013년, 2017년 대북제재 결의안에 찬성하고도 이행하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 무역망을 살려놓고 이득을 취하고 북한 경제 접근성을 키웠습니다."]
바이든 행정부로의 이행기,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대중 압박의 강도는 새 정부 출범 전까지 더 거세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금철영입니다.
영상편집:김신형
-
-
금철영 기자 cykum@kbs.co.kr
금철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