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원주] 영월 비료공장 악취 민원…오늘 현장 조사
입력 2020.12.09 (19:25)
수정 2020.12.09 (19: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영월의 비료공장 주변 지역 주민들이 악취로 인한 피해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결국, 오늘(9일) 영월군과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이 합동 점검에 나섰습니다.
정상빈 기자입니다.
[리포트]
토지개량제 고토비료를 생산하는 공장들입니다.
마을 주민들은 겨울철마다 이 공장들 주변에서 심한 악취가 발생한다고 주장합니다.
[최종익/영월군 북면 문곡4리 : "주민들이 생활하기에 아주 역겨울 정도로 오줌 지린내라든가 이런 정도의 냄새가 아주 호흡이 곤란할 정도로 냄새가 나고 있습니다."]
이런 피해를 주장하는 건, 3개 마을 주민 200여 명입니다.
[전병태/영월군 문곡3리 : "행정기관에서는 좀 더 적극적으로 농공단지에 관심을 가지고 환경개선을 위해서 적극적으로 좀 대처를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영월군과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이 합동 점검에 나섰습니다.
올해 1월 비료공장 두 곳을 대상으로 악취를 측정했는데, 검사 결과 배출허용기준보다 측정값이 낮게 나왔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공장에서 생산되는 고토 비룝니다. 악취의 원인은 고토 비료 건조 과정에서 첨가물인 당밀이 식으면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영월군은 검사 결과에 따라 대책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김상민/영월군 환경관리팀장 : "(공장들에) 한 달 정도 상시 모니터링을 해가지고 어떤 대책을 강구할 예정입니다."]
환경단체에선 정확한 측정을 위해선 제3의 기관을 통한 정기적인 오염도 측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상빈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영상편집:김진호
원주환경청, ‘한강 상류 수질오염총량제’ 대책 모색
내년 한강 수계 수질오염총량제 시행을 앞두고, 원주지방환경청이 한강 상류 수질오염 총량 관리 기본계획 수립 지연의 문제점과 산림·농업지역의 총량 관리 방안 등 효율적인 추진을 위한 대책을 모색합니다.
한강 수계 수질오염총량제는 기존 서울, 인천, 경기에 이어, 내년에는 강원과 충청도까지 확대됩니다.
평창군, ‘라돈 측정기’ 주민들에게 무료 대여
평창군이 폐암을 일으키는 발암물질인 '라돈'을 측정할 수 있는 기계를 지역 주민들에게 무료로 빌려줍니다.
라돈 측정기 대여 기준은 1가구당 1대, 대여 기간은 2박 3일입니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선, 벽이나 천장, 바닥에서 50cm 이상 떨어져야 하고 창문과 방문을 닫은 상태에서 1시간 이상 측정해야 합니다.
영월의 비료공장 주변 지역 주민들이 악취로 인한 피해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결국, 오늘(9일) 영월군과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이 합동 점검에 나섰습니다.
정상빈 기자입니다.
[리포트]
토지개량제 고토비료를 생산하는 공장들입니다.
마을 주민들은 겨울철마다 이 공장들 주변에서 심한 악취가 발생한다고 주장합니다.
[최종익/영월군 북면 문곡4리 : "주민들이 생활하기에 아주 역겨울 정도로 오줌 지린내라든가 이런 정도의 냄새가 아주 호흡이 곤란할 정도로 냄새가 나고 있습니다."]
이런 피해를 주장하는 건, 3개 마을 주민 200여 명입니다.
[전병태/영월군 문곡3리 : "행정기관에서는 좀 더 적극적으로 농공단지에 관심을 가지고 환경개선을 위해서 적극적으로 좀 대처를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영월군과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이 합동 점검에 나섰습니다.
올해 1월 비료공장 두 곳을 대상으로 악취를 측정했는데, 검사 결과 배출허용기준보다 측정값이 낮게 나왔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공장에서 생산되는 고토 비룝니다. 악취의 원인은 고토 비료 건조 과정에서 첨가물인 당밀이 식으면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영월군은 검사 결과에 따라 대책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김상민/영월군 환경관리팀장 : "(공장들에) 한 달 정도 상시 모니터링을 해가지고 어떤 대책을 강구할 예정입니다."]
환경단체에선 정확한 측정을 위해선 제3의 기관을 통한 정기적인 오염도 측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상빈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영상편집:김진호
원주환경청, ‘한강 상류 수질오염총량제’ 대책 모색
내년 한강 수계 수질오염총량제 시행을 앞두고, 원주지방환경청이 한강 상류 수질오염 총량 관리 기본계획 수립 지연의 문제점과 산림·농업지역의 총량 관리 방안 등 효율적인 추진을 위한 대책을 모색합니다.
한강 수계 수질오염총량제는 기존 서울, 인천, 경기에 이어, 내년에는 강원과 충청도까지 확대됩니다.
평창군, ‘라돈 측정기’ 주민들에게 무료 대여
평창군이 폐암을 일으키는 발암물질인 '라돈'을 측정할 수 있는 기계를 지역 주민들에게 무료로 빌려줍니다.
라돈 측정기 대여 기준은 1가구당 1대, 대여 기간은 2박 3일입니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선, 벽이나 천장, 바닥에서 50cm 이상 떨어져야 하고 창문과 방문을 닫은 상태에서 1시간 이상 측정해야 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기는 원주] 영월 비료공장 악취 민원…오늘 현장 조사
-
- 입력 2020-12-09 19:25:25
- 수정2020-12-09 19:29:26

[앵커]
영월의 비료공장 주변 지역 주민들이 악취로 인한 피해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결국, 오늘(9일) 영월군과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이 합동 점검에 나섰습니다.
정상빈 기자입니다.
[리포트]
토지개량제 고토비료를 생산하는 공장들입니다.
마을 주민들은 겨울철마다 이 공장들 주변에서 심한 악취가 발생한다고 주장합니다.
[최종익/영월군 북면 문곡4리 : "주민들이 생활하기에 아주 역겨울 정도로 오줌 지린내라든가 이런 정도의 냄새가 아주 호흡이 곤란할 정도로 냄새가 나고 있습니다."]
이런 피해를 주장하는 건, 3개 마을 주민 200여 명입니다.
[전병태/영월군 문곡3리 : "행정기관에서는 좀 더 적극적으로 농공단지에 관심을 가지고 환경개선을 위해서 적극적으로 좀 대처를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영월군과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이 합동 점검에 나섰습니다.
올해 1월 비료공장 두 곳을 대상으로 악취를 측정했는데, 검사 결과 배출허용기준보다 측정값이 낮게 나왔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공장에서 생산되는 고토 비룝니다. 악취의 원인은 고토 비료 건조 과정에서 첨가물인 당밀이 식으면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영월군은 검사 결과에 따라 대책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김상민/영월군 환경관리팀장 : "(공장들에) 한 달 정도 상시 모니터링을 해가지고 어떤 대책을 강구할 예정입니다."]
환경단체에선 정확한 측정을 위해선 제3의 기관을 통한 정기적인 오염도 측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상빈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영상편집:김진호
원주환경청, ‘한강 상류 수질오염총량제’ 대책 모색
내년 한강 수계 수질오염총량제 시행을 앞두고, 원주지방환경청이 한강 상류 수질오염 총량 관리 기본계획 수립 지연의 문제점과 산림·농업지역의 총량 관리 방안 등 효율적인 추진을 위한 대책을 모색합니다.
한강 수계 수질오염총량제는 기존 서울, 인천, 경기에 이어, 내년에는 강원과 충청도까지 확대됩니다.
평창군, ‘라돈 측정기’ 주민들에게 무료 대여
평창군이 폐암을 일으키는 발암물질인 '라돈'을 측정할 수 있는 기계를 지역 주민들에게 무료로 빌려줍니다.
라돈 측정기 대여 기준은 1가구당 1대, 대여 기간은 2박 3일입니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선, 벽이나 천장, 바닥에서 50cm 이상 떨어져야 하고 창문과 방문을 닫은 상태에서 1시간 이상 측정해야 합니다.
영월의 비료공장 주변 지역 주민들이 악취로 인한 피해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결국, 오늘(9일) 영월군과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이 합동 점검에 나섰습니다.
정상빈 기자입니다.
[리포트]
토지개량제 고토비료를 생산하는 공장들입니다.
마을 주민들은 겨울철마다 이 공장들 주변에서 심한 악취가 발생한다고 주장합니다.
[최종익/영월군 북면 문곡4리 : "주민들이 생활하기에 아주 역겨울 정도로 오줌 지린내라든가 이런 정도의 냄새가 아주 호흡이 곤란할 정도로 냄새가 나고 있습니다."]
이런 피해를 주장하는 건, 3개 마을 주민 200여 명입니다.
[전병태/영월군 문곡3리 : "행정기관에서는 좀 더 적극적으로 농공단지에 관심을 가지고 환경개선을 위해서 적극적으로 좀 대처를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영월군과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이 합동 점검에 나섰습니다.
올해 1월 비료공장 두 곳을 대상으로 악취를 측정했는데, 검사 결과 배출허용기준보다 측정값이 낮게 나왔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공장에서 생산되는 고토 비룝니다. 악취의 원인은 고토 비료 건조 과정에서 첨가물인 당밀이 식으면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영월군은 검사 결과에 따라 대책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김상민/영월군 환경관리팀장 : "(공장들에) 한 달 정도 상시 모니터링을 해가지고 어떤 대책을 강구할 예정입니다."]
환경단체에선 정확한 측정을 위해선 제3의 기관을 통한 정기적인 오염도 측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상빈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영상편집:김진호
원주환경청, ‘한강 상류 수질오염총량제’ 대책 모색
내년 한강 수계 수질오염총량제 시행을 앞두고, 원주지방환경청이 한강 상류 수질오염 총량 관리 기본계획 수립 지연의 문제점과 산림·농업지역의 총량 관리 방안 등 효율적인 추진을 위한 대책을 모색합니다.
한강 수계 수질오염총량제는 기존 서울, 인천, 경기에 이어, 내년에는 강원과 충청도까지 확대됩니다.
평창군, ‘라돈 측정기’ 주민들에게 무료 대여
평창군이 폐암을 일으키는 발암물질인 '라돈'을 측정할 수 있는 기계를 지역 주민들에게 무료로 빌려줍니다.
라돈 측정기 대여 기준은 1가구당 1대, 대여 기간은 2박 3일입니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선, 벽이나 천장, 바닥에서 50cm 이상 떨어져야 하고 창문과 방문을 닫은 상태에서 1시간 이상 측정해야 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