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NYT “중국, 코로나19 부정적 여론 막으려 검열·댓글 조작”

입력 2020.12.21 (04:37) 수정 2020.12.21 (09: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이 코로나 19 확산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통제하기 위해 온라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댓글부대'를 운영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현지시간 20일, 미국 뉴욕타임스는 비영리 탐사보도 매체인 '프로퍼블리카'와 함께 중국 인터넷 규제기관이 올해 초부터 검열을 해왔다는 내용의 내부 문건을 입수했다고 밝혔습니다.

문건은 중국 공산당에 반대하는 해커 그룹이 입수했으며, 인터넷 규제기관인 중국국가사이버정보판공실의 3천200여개 지침과 메모 1천800개, 기타 파일이 포함됐습니다.

문건 내용을 보면 중국 당국은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전인 지난 1월 첫째 주부터 통제를 시작해 주로 온라인 정보를 검열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당국은 특히 뉴스 웹사이트에서 정부가 발행하는 자료만 사용하도록 하고 2002년 중국 등에서 발생했던 중증호흡기증후군 '사스' 사태와 유사점을 묘사하지 않도록 지시했습니다.

또, 코로나 19의 존재를 처음 일반에 알린 의사 리원량이 숨졌을 때 웨이보 등 SNS에서 그의 죽음을 애도하고 분노하는 여론이 퍼지자 이를 통제하는 지시도 내린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온라인 편집에 관련해서는 뉴스 사이트와 소셜미디어에서 어떤 보도가 노출되고 몇 시간 동안 유지돼야 하는지, 어떤 제목을 굵게 표시해야 하는지 세부 지침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내용 검열도 구체적으로 이뤄졌습니다. 바이러스가 처음 보고된 우한에 파견된 현지 의료진의 영웅적인 노력과 공산당의 공헌을 부각하는 내용이 담기도록 유도하고, '봉쇄'나 '치료 불가능' 등의 표현은 쓰지 못하도록 하기도 했습니다.

이와 함께 중국 당국은 직원을 고용해 많이 읽는 게시물에 긍정적인 댓글을 달도록 하는 등 사실상 '댓글 부대'를 운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NYT는 연구자들의 주장을 인용해 중국에선 수십만 명이 시간제로 일하면서 우호적 여론 형성을 위한 댓글을 올리고 국가 이념을 강화하는 콘텐츠를 공유한다고 추정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 ‘ 코로나19 현황과 대응’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美 NYT “중국, 코로나19 부정적 여론 막으려 검열·댓글 조작”
    • 입력 2020-12-21 04:37:35
    • 수정2020-12-21 09:58:58
    국제
중국이 코로나 19 확산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통제하기 위해 온라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댓글부대'를 운영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현지시간 20일, 미국 뉴욕타임스는 비영리 탐사보도 매체인 '프로퍼블리카'와 함께 중국 인터넷 규제기관이 올해 초부터 검열을 해왔다는 내용의 내부 문건을 입수했다고 밝혔습니다.

문건은 중국 공산당에 반대하는 해커 그룹이 입수했으며, 인터넷 규제기관인 중국국가사이버정보판공실의 3천200여개 지침과 메모 1천800개, 기타 파일이 포함됐습니다.

문건 내용을 보면 중국 당국은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전인 지난 1월 첫째 주부터 통제를 시작해 주로 온라인 정보를 검열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당국은 특히 뉴스 웹사이트에서 정부가 발행하는 자료만 사용하도록 하고 2002년 중국 등에서 발생했던 중증호흡기증후군 '사스' 사태와 유사점을 묘사하지 않도록 지시했습니다.

또, 코로나 19의 존재를 처음 일반에 알린 의사 리원량이 숨졌을 때 웨이보 등 SNS에서 그의 죽음을 애도하고 분노하는 여론이 퍼지자 이를 통제하는 지시도 내린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온라인 편집에 관련해서는 뉴스 사이트와 소셜미디어에서 어떤 보도가 노출되고 몇 시간 동안 유지돼야 하는지, 어떤 제목을 굵게 표시해야 하는지 세부 지침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내용 검열도 구체적으로 이뤄졌습니다. 바이러스가 처음 보고된 우한에 파견된 현지 의료진의 영웅적인 노력과 공산당의 공헌을 부각하는 내용이 담기도록 유도하고, '봉쇄'나 '치료 불가능' 등의 표현은 쓰지 못하도록 하기도 했습니다.

이와 함께 중국 당국은 직원을 고용해 많이 읽는 게시물에 긍정적인 댓글을 달도록 하는 등 사실상 '댓글 부대'를 운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NYT는 연구자들의 주장을 인용해 중국에선 수십만 명이 시간제로 일하면서 우호적 여론 형성을 위한 댓글을 올리고 국가 이념을 강화하는 콘텐츠를 공유한다고 추정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 ‘ 코로나19 현황과 대응’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