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의 성지’ 임청각 복원 첫발
입력 2020.12.21 (09:53)
수정 2020.12.21 (10: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앞마당에 철길이 가로지르는 안동 임청각은 우리나라 독립운동의 슬픈 현실을 보여주는 현장입니다.
중앙선 철도 신설과 안동역 이전으로 임청각 복원 사업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이 소식은 KBS 대구총국 김도훈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낙동강과 맞닿은 99칸 기와집의 앞마당을 철길이 가로지릅니다.
이 집은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 선생의 생가이자, 아들과 손자 등 10여 명의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독립운동의 성지 임청각입니다.
전 재산을 팔아 독립운동에 헌신한 독립운동의 상징, 하지만 1940년대 초반 일제는 이 집의 허리를 끊고 철길을 놓았습니다.
힘찬 망치질에 임청각 앞을 가로막은 철도 방음벽이 나가떨어집니다.
안동역이 신역사로 이전하고 중앙선 철도가 새로운 노선으로 이전 개통하면서, 기존 철로 폐선 작업에 들어간 겁니다.
[이창수/석주 이상룡 종손 : "근 80년 만에 임청각을 짓누르던 철도가 철거됩니다. 이제 임청각은 진정한 독립의 첫걸음을 시작하는 길이고요."]
경상북도와 문화재청 등은 임청각 역사문화 공유관 건립사업비를 내년도 국비로 확보하는 등 임청각 복원과 주변 정비 작업에 본격적으로 나섭니다.
[이철우/경북도지사 : "경상북도에서는 이 공간을 독립운동 상징 공간으로 만들어서 우리 후손들이 관광을 통해서 민족정신을 고취하는 그런 장으로 만들겠습니다."]
오랜 세월 허리가 잘린 채 방치됐던 독립운동의 성지 임청각, 뜨거웠던 독립 정신을 일깨울 복원 여정의 첫걸음이 시작됐습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앞마당에 철길이 가로지르는 안동 임청각은 우리나라 독립운동의 슬픈 현실을 보여주는 현장입니다.
중앙선 철도 신설과 안동역 이전으로 임청각 복원 사업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이 소식은 KBS 대구총국 김도훈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낙동강과 맞닿은 99칸 기와집의 앞마당을 철길이 가로지릅니다.
이 집은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 선생의 생가이자, 아들과 손자 등 10여 명의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독립운동의 성지 임청각입니다.
전 재산을 팔아 독립운동에 헌신한 독립운동의 상징, 하지만 1940년대 초반 일제는 이 집의 허리를 끊고 철길을 놓았습니다.
힘찬 망치질에 임청각 앞을 가로막은 철도 방음벽이 나가떨어집니다.
안동역이 신역사로 이전하고 중앙선 철도가 새로운 노선으로 이전 개통하면서, 기존 철로 폐선 작업에 들어간 겁니다.
[이창수/석주 이상룡 종손 : "근 80년 만에 임청각을 짓누르던 철도가 철거됩니다. 이제 임청각은 진정한 독립의 첫걸음을 시작하는 길이고요."]
경상북도와 문화재청 등은 임청각 역사문화 공유관 건립사업비를 내년도 국비로 확보하는 등 임청각 복원과 주변 정비 작업에 본격적으로 나섭니다.
[이철우/경북도지사 : "경상북도에서는 이 공간을 독립운동 상징 공간으로 만들어서 우리 후손들이 관광을 통해서 민족정신을 고취하는 그런 장으로 만들겠습니다."]
오랜 세월 허리가 잘린 채 방치됐던 독립운동의 성지 임청각, 뜨거웠던 독립 정신을 일깨울 복원 여정의 첫걸음이 시작됐습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독립운동의 성지’ 임청각 복원 첫발
-
- 입력 2020-12-21 09:53:49
- 수정2020-12-21 10:47:37

[앵커]
앞마당에 철길이 가로지르는 안동 임청각은 우리나라 독립운동의 슬픈 현실을 보여주는 현장입니다.
중앙선 철도 신설과 안동역 이전으로 임청각 복원 사업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이 소식은 KBS 대구총국 김도훈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낙동강과 맞닿은 99칸 기와집의 앞마당을 철길이 가로지릅니다.
이 집은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 선생의 생가이자, 아들과 손자 등 10여 명의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독립운동의 성지 임청각입니다.
전 재산을 팔아 독립운동에 헌신한 독립운동의 상징, 하지만 1940년대 초반 일제는 이 집의 허리를 끊고 철길을 놓았습니다.
힘찬 망치질에 임청각 앞을 가로막은 철도 방음벽이 나가떨어집니다.
안동역이 신역사로 이전하고 중앙선 철도가 새로운 노선으로 이전 개통하면서, 기존 철로 폐선 작업에 들어간 겁니다.
[이창수/석주 이상룡 종손 : "근 80년 만에 임청각을 짓누르던 철도가 철거됩니다. 이제 임청각은 진정한 독립의 첫걸음을 시작하는 길이고요."]
경상북도와 문화재청 등은 임청각 역사문화 공유관 건립사업비를 내년도 국비로 확보하는 등 임청각 복원과 주변 정비 작업에 본격적으로 나섭니다.
[이철우/경북도지사 : "경상북도에서는 이 공간을 독립운동 상징 공간으로 만들어서 우리 후손들이 관광을 통해서 민족정신을 고취하는 그런 장으로 만들겠습니다."]
오랜 세월 허리가 잘린 채 방치됐던 독립운동의 성지 임청각, 뜨거웠던 독립 정신을 일깨울 복원 여정의 첫걸음이 시작됐습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앞마당에 철길이 가로지르는 안동 임청각은 우리나라 독립운동의 슬픈 현실을 보여주는 현장입니다.
중앙선 철도 신설과 안동역 이전으로 임청각 복원 사업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이 소식은 KBS 대구총국 김도훈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낙동강과 맞닿은 99칸 기와집의 앞마당을 철길이 가로지릅니다.
이 집은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 선생의 생가이자, 아들과 손자 등 10여 명의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독립운동의 성지 임청각입니다.
전 재산을 팔아 독립운동에 헌신한 독립운동의 상징, 하지만 1940년대 초반 일제는 이 집의 허리를 끊고 철길을 놓았습니다.
힘찬 망치질에 임청각 앞을 가로막은 철도 방음벽이 나가떨어집니다.
안동역이 신역사로 이전하고 중앙선 철도가 새로운 노선으로 이전 개통하면서, 기존 철로 폐선 작업에 들어간 겁니다.
[이창수/석주 이상룡 종손 : "근 80년 만에 임청각을 짓누르던 철도가 철거됩니다. 이제 임청각은 진정한 독립의 첫걸음을 시작하는 길이고요."]
경상북도와 문화재청 등은 임청각 역사문화 공유관 건립사업비를 내년도 국비로 확보하는 등 임청각 복원과 주변 정비 작업에 본격적으로 나섭니다.
[이철우/경북도지사 : "경상북도에서는 이 공간을 독립운동 상징 공간으로 만들어서 우리 후손들이 관광을 통해서 민족정신을 고취하는 그런 장으로 만들겠습니다."]
오랜 세월 허리가 잘린 채 방치됐던 독립운동의 성지 임청각, 뜨거웠던 독립 정신을 일깨울 복원 여정의 첫걸음이 시작됐습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
-
김도훈 기자 kinchy@kbs.co.kr
김도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