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자국산 항모 대만해협 통과에 “필요시 계속할 것”

입력 2020.12.21 (11:11) 수정 2020.12.21 (11: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은 자국산 항공모함인 산둥(山東)함이 미국과 갈등으로 긴장감이 고조되는 대만해협을 통과한 것과 관련해 정상적인 훈련이며 필요시 계속하겠다면서 무력 시위를 중단할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습니다.

21일 중국 신랑망(新浪網)에 따르면 류원성(劉文勝) 중국 해군 대변인은 산둥함 항모 전단이 전날 대만해협을 거쳐 남중국해로 이동해 기동 훈련 훈련에 나섰다고 공식 확인했습니다.

류원성 대변인은 “어제 산둥항 항모전단이 순조롭게 대만해협을 통과했다”면서 “항모 전단은 남중국해 관련 해역에서 훈련을 전개하게 된다”고 밝혔습니다.

류 대변인은 “산둥함이 취역한지 1년 동안 함재기 이착륙 훈련과 실전 무기 사용, 작전 계통 운용, 전대 체제 작전 능력 등이 급속히 향상됐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번 산둥함 항모 전단의 광역 기동 훈련은 연도 계획에 따른 정상적인 훈련 배정”이라면서 “앞으로도 우리는 훈련의 필요에 따라 계속해서 유사한 행동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전날 대만 국방부는 산둥함이 4척의 호위함과 함께 지난 17일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항을 출발해 20일 대만해협을 통과한 뒤 남쪽으로 항해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대만 군 지휘부는 산둥함 등장에 전쟁 발발시 3군을 지휘할 수 있는 타이베이 다즈(大直)의 헝산(衡山)지휘소로 이동하고 6척의 군함과 8대의 군용기를 급파해 산둥함의 동선 감시에 나서 일촉즉발의 상황이 연출됐습니다.

재래식 디젤 엔진으로 가동되는 산둥함은 최대 속도 31노트로 젠-15 함재기를 40여대 탑재해 대만 분쟁 투입을 위한 최고의 전략 무기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편, 지난 18일 저녁에는 미군 구축함 마스틴호가 대만해협을 통과하며 중국을 견제하는 ‘항행의 자유’ 작전을 수행한 바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자국산 항모 대만해협 통과에 “필요시 계속할 것”
    • 입력 2020-12-21 11:11:42
    • 수정2020-12-21 11:18:09
    국제
중국은 자국산 항공모함인 산둥(山東)함이 미국과 갈등으로 긴장감이 고조되는 대만해협을 통과한 것과 관련해 정상적인 훈련이며 필요시 계속하겠다면서 무력 시위를 중단할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습니다.

21일 중국 신랑망(新浪網)에 따르면 류원성(劉文勝) 중국 해군 대변인은 산둥함 항모 전단이 전날 대만해협을 거쳐 남중국해로 이동해 기동 훈련 훈련에 나섰다고 공식 확인했습니다.

류원성 대변인은 “어제 산둥항 항모전단이 순조롭게 대만해협을 통과했다”면서 “항모 전단은 남중국해 관련 해역에서 훈련을 전개하게 된다”고 밝혔습니다.

류 대변인은 “산둥함이 취역한지 1년 동안 함재기 이착륙 훈련과 실전 무기 사용, 작전 계통 운용, 전대 체제 작전 능력 등이 급속히 향상됐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번 산둥함 항모 전단의 광역 기동 훈련은 연도 계획에 따른 정상적인 훈련 배정”이라면서 “앞으로도 우리는 훈련의 필요에 따라 계속해서 유사한 행동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전날 대만 국방부는 산둥함이 4척의 호위함과 함께 지난 17일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항을 출발해 20일 대만해협을 통과한 뒤 남쪽으로 항해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대만 군 지휘부는 산둥함 등장에 전쟁 발발시 3군을 지휘할 수 있는 타이베이 다즈(大直)의 헝산(衡山)지휘소로 이동하고 6척의 군함과 8대의 군용기를 급파해 산둥함의 동선 감시에 나서 일촉즉발의 상황이 연출됐습니다.

재래식 디젤 엔진으로 가동되는 산둥함은 최대 속도 31노트로 젠-15 함재기를 40여대 탑재해 대만 분쟁 투입을 위한 최고의 전략 무기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편, 지난 18일 저녁에는 미군 구축함 마스틴호가 대만해협을 통과하며 중국을 견제하는 ‘항행의 자유’ 작전을 수행한 바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