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또 교회발 집단감염…경북 3월 이후 ‘최다’

입력 2020.12.21 (21:43) 수정 2020.12.21 (21: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대구에서 또 교회 내 집단감염이 터졌습니다.

동구 광진중앙교회에서 목사와 신도 29명이 확진됐는데요,

경북에서도 3월 이후 최다 확진자가 나오는 등 지역에서도 3차 대유행이 현실화하고 있습니다.

김도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구 동구의 광진중앙교회, 입구에 폐쇄명령이 붙어 있고, 진단검사를 받으려는 교인 몇몇만 교회를 드나듭니다.

이 교회 목사와 신도 등 3명이 어제 아프리카 시에라리온으로 선교봉사를 나가기 전 시행한 검사에서 모두 확진판정을 받았습니다.

밤새 교인 97명을 검사했더니 26명이 추가 확진됐습니다.

이 교회는 지난 8월 이후 지금까지 정규예배 시 방역수칙을 어긴 적은 한 번도 없었던 것으로 확인돼 예배가 아닌 소모임이 있었던 것으로 의심됩니다.

확진자 중에는 학교 등 다중시설 종사자도 포함됐고, 검사 결과가 나오지 않은 교인도 30여 명이 남아 있습니다.

[김재동/대구시 시민건강국장 : "시급한 거는 신도분 중에서 고위험 시설에근무하는 직장이 있는지 없는지, (수칙 위반해서) 확진자가 나왔을 때 구상권 청구라든지…."]

경북에서는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48명이 나왔습니다.

지난 3월 1차 유행 이후 최다인데, 그 때와 달리 10개 시,군에 고르게 분포돼 있습니다.

경산 기도원, 영주 교회 등 종교시설 내 집단발생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김진현/경상북도 복지건강국장 : "(3월은) 특정 종교, 8월은 특정 행사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종교시설,복지시설,사무실, 지인 모임, 모든 곳에서 확진될 수가 있습니다."]

대구시와 경상북도는 자체 특별방역대책 기간을 운영하고, 요양병원 등의 전수검사 확대와 익명 선별검사소 설치 등 3차 대유행 대비에 나섰습니다.

한편, 확진 이틀만에 숨진 경주 한 의원의 30대 간호조무사는 기저질환이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구 또 교회발 집단감염…경북 3월 이후 ‘최다’
    • 입력 2020-12-21 21:43:55
    • 수정2020-12-21 21:49:06
    뉴스9(대구)
[앵커]

대구에서 또 교회 내 집단감염이 터졌습니다.

동구 광진중앙교회에서 목사와 신도 29명이 확진됐는데요,

경북에서도 3월 이후 최다 확진자가 나오는 등 지역에서도 3차 대유행이 현실화하고 있습니다.

김도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구 동구의 광진중앙교회, 입구에 폐쇄명령이 붙어 있고, 진단검사를 받으려는 교인 몇몇만 교회를 드나듭니다.

이 교회 목사와 신도 등 3명이 어제 아프리카 시에라리온으로 선교봉사를 나가기 전 시행한 검사에서 모두 확진판정을 받았습니다.

밤새 교인 97명을 검사했더니 26명이 추가 확진됐습니다.

이 교회는 지난 8월 이후 지금까지 정규예배 시 방역수칙을 어긴 적은 한 번도 없었던 것으로 확인돼 예배가 아닌 소모임이 있었던 것으로 의심됩니다.

확진자 중에는 학교 등 다중시설 종사자도 포함됐고, 검사 결과가 나오지 않은 교인도 30여 명이 남아 있습니다.

[김재동/대구시 시민건강국장 : "시급한 거는 신도분 중에서 고위험 시설에근무하는 직장이 있는지 없는지, (수칙 위반해서) 확진자가 나왔을 때 구상권 청구라든지…."]

경북에서는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48명이 나왔습니다.

지난 3월 1차 유행 이후 최다인데, 그 때와 달리 10개 시,군에 고르게 분포돼 있습니다.

경산 기도원, 영주 교회 등 종교시설 내 집단발생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김진현/경상북도 복지건강국장 : "(3월은) 특정 종교, 8월은 특정 행사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종교시설,복지시설,사무실, 지인 모임, 모든 곳에서 확진될 수가 있습니다."]

대구시와 경상북도는 자체 특별방역대책 기간을 운영하고, 요양병원 등의 전수검사 확대와 익명 선별검사소 설치 등 3차 대유행 대비에 나섰습니다.

한편, 확진 이틀만에 숨진 경주 한 의원의 30대 간호조무사는 기저질환이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