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 “셋째 낳으면 1억”…고액 출산장려금 경쟁

입력 2021.01.19 (18:02) 수정 2021.01.19 (18: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ET가 콕 집어 전해 주는 경제 뉴스, ET 콕입니다.

안방 시청자들 사랑을 독차지했던 대한·민국·만세 기억나시나요.

["이모 만두 또 주세요."]

1인 1접시, 만두를 폭풍 흡입하던 이들 삼형제, 어느덧 초등 2학년생으로 폭풍 성장했습니다.

아니 하나 낳아 키우기도 힘든데, 셋을 어떻게 키우나 쉽게 엄두가 나지 않는 일인데요.

저출산 문제가 심각해지자, 지자체들 앞다퉈 파격적인 지원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경남 창원시는 세 자녀 출산시 1억 원을 지원하는 일명 '드림론'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신혼부부에게 1억 원을 대출해 주고 첫 자녀 출산 시 이자 면제, 둘째 출산 때는 대출 원금 30% 면제, 셋째를 출산하면 1억 원 전액을 탕감해 주는 내용입니다.

창원시의 경우 매달 인구가 500~600명씩 줄면서 특례시로 인정받는 기준 인구 100만 명 사수가 절박해졌기 때문입니다.

충북 제천시도 최대 5천백오십만 원을 지원해주는 대출형 출산장려금 시행에 들어갔는데요.

실제로 얼마 전 한 시민이 셋째를 출산한 덕에 대출 1억 원 가운데 4천만 원을 갚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대출이 아닌, 직접 손에 현금을 쥐어 주는 지자체들도 갈수록 손이 커집니다.

경남 산청군은 출산축하금을 대폭 인상했는데요.

첫째를 낳으면 290만 원, 둘째 410만 원, 셋째 1250만 원으로 올렸습니다.

하지만 이런 움직임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도 있습니다.

출산율은 육아나 보육 대책 등 구조적 문제로 접근해야지, 일회성 현금 살포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죠.

각종 지원금 정책으로 7년 연속 출생률 1위를 기록했던 전남 해남군.

일시적으로 출산율이 올랐지만, 대부분 가정이 아이를 낳은 뒤 보육 시설이 잘 갖춰진 인근 도시로 빠져나가며 오히려 인구수는 줄어드는 추세라고 하네요.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옛 속담은 이럴 때 쓰는 말일까요.

지금까지 ET 콕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ET] “셋째 낳으면 1억”…고액 출산장려금 경쟁
    • 입력 2021-01-19 18:02:56
    • 수정2021-01-19 18:20:14
    통합뉴스룸ET
ET가 콕 집어 전해 주는 경제 뉴스, ET 콕입니다.

안방 시청자들 사랑을 독차지했던 대한·민국·만세 기억나시나요.

["이모 만두 또 주세요."]

1인 1접시, 만두를 폭풍 흡입하던 이들 삼형제, 어느덧 초등 2학년생으로 폭풍 성장했습니다.

아니 하나 낳아 키우기도 힘든데, 셋을 어떻게 키우나 쉽게 엄두가 나지 않는 일인데요.

저출산 문제가 심각해지자, 지자체들 앞다퉈 파격적인 지원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경남 창원시는 세 자녀 출산시 1억 원을 지원하는 일명 '드림론'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신혼부부에게 1억 원을 대출해 주고 첫 자녀 출산 시 이자 면제, 둘째 출산 때는 대출 원금 30% 면제, 셋째를 출산하면 1억 원 전액을 탕감해 주는 내용입니다.

창원시의 경우 매달 인구가 500~600명씩 줄면서 특례시로 인정받는 기준 인구 100만 명 사수가 절박해졌기 때문입니다.

충북 제천시도 최대 5천백오십만 원을 지원해주는 대출형 출산장려금 시행에 들어갔는데요.

실제로 얼마 전 한 시민이 셋째를 출산한 덕에 대출 1억 원 가운데 4천만 원을 갚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대출이 아닌, 직접 손에 현금을 쥐어 주는 지자체들도 갈수록 손이 커집니다.

경남 산청군은 출산축하금을 대폭 인상했는데요.

첫째를 낳으면 290만 원, 둘째 410만 원, 셋째 1250만 원으로 올렸습니다.

하지만 이런 움직임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도 있습니다.

출산율은 육아나 보육 대책 등 구조적 문제로 접근해야지, 일회성 현금 살포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죠.

각종 지원금 정책으로 7년 연속 출생률 1위를 기록했던 전남 해남군.

일시적으로 출산율이 올랐지만, 대부분 가정이 아이를 낳은 뒤 보육 시설이 잘 갖춰진 인근 도시로 빠져나가며 오히려 인구수는 줄어드는 추세라고 하네요.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옛 속담은 이럴 때 쓰는 말일까요.

지금까지 ET 콕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