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절반 “거리두기 공정하지 않아”…“다중이용시설 중단보다는 개인 활동 제한해야”

입력 2021.02.03 (07:03) 수정 2021.02.03 (07: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내 코로나19 상황, 앵커브리핑으로 전해 드립니다.

어제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36명으로(누적:78,844명) 사흘 연속으로 300명대를 유지했습니다.

집단 감염도 계속되고 있는데요.

서울 남부교도소에선 수용자 9명이 추가로 확진돼 직원 등에 대한 전수검사가 진행 중입니다.

광주광역시 성인오락실과 관련한 감염자 수는 50명까지 늘어났는데요.

방역당국은 감염자 한 명이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를 보여 주는 ‘감염 재생산지수’도 다시 상승하고 있어 긴장을 늦출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국내 확진자에 대한 분석 결과, 18살 이하의 연령에서 코로나19 발생률이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만 18세 이하 확진자는 전체의 8.9%에 그쳤습니다.

특히 만 12세 이하 발생률은 전체 평균의 절반 수준이었습니다.

만 7살에서 12살까지의 감염경로를 보면 가족, 지인 간 전파가 37.9%로 가장 높았고, 교육시설 내 감염은 5.8%에 그쳤는데요.

감염 위험 때문에 무조건 학교 문을 닫는 게 정답이 아니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등교수업 확대 방침이 나온 가운데 다음 달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매일 등교가 더욱 힘을 받을 전망입니다.

다만 방역 당국은 학교와 가정에서의 방역 수칙 준수는 여전히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가정 내 전파가 많은 만큼, 미성년 자녀를 둔 부모는 직장에서 마스크를 철저히 착용하고 5인 이상 집합금지 등의 방역지침을 준수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3차 유행이 진행 중인 지금 수도권 2.5단계, 그 외 지역엔 2단계 사회적 거리두기가 적용되고 있죠.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 ‘밤 9시 이후 영업 제한’이 핵심적인 방역 수칙입니다.

우리 국민이 현행 거리두기 체계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가 공개됐습니다.

서병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현 거리두기 체계는 3차 유행을 막는 데 효과적이었는지 물었습니다.

응답자의 81.3%는 효과가 있었다고 답했습니다.

다만 거리두기로 인해 피로감을 느꼈다는 국민도 그만큼 많았습니다.

핵심 조치들의 유행 차단 효과에 대해서도 긍정적 답변이 절반 이상이었습니다.

4명 중 3명은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가 효과가 있었다고 평가했고 다중이용시설의 집합금지와 밤 9시 이후 영업 제한도 긍정적인 답변이 70%를 넘었습니다.

다만 5인이상 모임을 금지하더라도 가족 간 만남은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또 모든 국민에게 거리두기 정책이 공정했는지 묻는 항목엔 절반도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황승식/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 “정책의 효과나 이런 부분은 다 동의를 하는데 공정했냐 부분에 대해서만 팽팽하다는 얘기는 당연히 다른 것들과 비교해보면 정부가 더 신경 써야 한다는 (국민의) 메시지죠.”]

영업이 중단되거나 제한된 자영업자를 국가 재정으로 지원해줘야 되냐고 물었더니 10명 중 8명이 필요성에 공감했습니다.

하지만, 자영업자들을 도와주기 위해 세금을 더 낼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엔 절반 넘게 없다고 답했고, ‘의향이 있다’는 22.5%에 그쳤습니다.

향후 유행 차단을 위해선 다중이용시설 운영 중단이나 제한보다는 개인 활동을 제한해야 한다는 데에 4명 중 3명이 동의했습니다.

방역수칙을 위반할 경우엔 자율적인 참여를 독려하는 것보다는 강력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았으며 국민에게 부과되는 과태료도 ‘낮다’는 의견이 44.9%에 달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보건복지부가 전국의 만 18세 이상 성인 천 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7일부터 이틀간 온라인과 모바일을 통해 실시했습니다.

KBS 뉴스 서병립입니다.

촬영기자:조영천/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김지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민 절반 “거리두기 공정하지 않아”…“다중이용시설 중단보다는 개인 활동 제한해야”
    • 입력 2021-02-03 07:03:44
    • 수정2021-02-03 07:38:32
    뉴스광장
[앵커]

국내 코로나19 상황, 앵커브리핑으로 전해 드립니다.

어제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36명으로(누적:78,844명) 사흘 연속으로 300명대를 유지했습니다.

집단 감염도 계속되고 있는데요.

서울 남부교도소에선 수용자 9명이 추가로 확진돼 직원 등에 대한 전수검사가 진행 중입니다.

광주광역시 성인오락실과 관련한 감염자 수는 50명까지 늘어났는데요.

방역당국은 감염자 한 명이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를 보여 주는 ‘감염 재생산지수’도 다시 상승하고 있어 긴장을 늦출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국내 확진자에 대한 분석 결과, 18살 이하의 연령에서 코로나19 발생률이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만 18세 이하 확진자는 전체의 8.9%에 그쳤습니다.

특히 만 12세 이하 발생률은 전체 평균의 절반 수준이었습니다.

만 7살에서 12살까지의 감염경로를 보면 가족, 지인 간 전파가 37.9%로 가장 높았고, 교육시설 내 감염은 5.8%에 그쳤는데요.

감염 위험 때문에 무조건 학교 문을 닫는 게 정답이 아니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등교수업 확대 방침이 나온 가운데 다음 달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매일 등교가 더욱 힘을 받을 전망입니다.

다만 방역 당국은 학교와 가정에서의 방역 수칙 준수는 여전히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가정 내 전파가 많은 만큼, 미성년 자녀를 둔 부모는 직장에서 마스크를 철저히 착용하고 5인 이상 집합금지 등의 방역지침을 준수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3차 유행이 진행 중인 지금 수도권 2.5단계, 그 외 지역엔 2단계 사회적 거리두기가 적용되고 있죠.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 ‘밤 9시 이후 영업 제한’이 핵심적인 방역 수칙입니다.

우리 국민이 현행 거리두기 체계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가 공개됐습니다.

서병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현 거리두기 체계는 3차 유행을 막는 데 효과적이었는지 물었습니다.

응답자의 81.3%는 효과가 있었다고 답했습니다.

다만 거리두기로 인해 피로감을 느꼈다는 국민도 그만큼 많았습니다.

핵심 조치들의 유행 차단 효과에 대해서도 긍정적 답변이 절반 이상이었습니다.

4명 중 3명은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가 효과가 있었다고 평가했고 다중이용시설의 집합금지와 밤 9시 이후 영업 제한도 긍정적인 답변이 70%를 넘었습니다.

다만 5인이상 모임을 금지하더라도 가족 간 만남은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또 모든 국민에게 거리두기 정책이 공정했는지 묻는 항목엔 절반도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황승식/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 “정책의 효과나 이런 부분은 다 동의를 하는데 공정했냐 부분에 대해서만 팽팽하다는 얘기는 당연히 다른 것들과 비교해보면 정부가 더 신경 써야 한다는 (국민의) 메시지죠.”]

영업이 중단되거나 제한된 자영업자를 국가 재정으로 지원해줘야 되냐고 물었더니 10명 중 8명이 필요성에 공감했습니다.

하지만, 자영업자들을 도와주기 위해 세금을 더 낼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엔 절반 넘게 없다고 답했고, ‘의향이 있다’는 22.5%에 그쳤습니다.

향후 유행 차단을 위해선 다중이용시설 운영 중단이나 제한보다는 개인 활동을 제한해야 한다는 데에 4명 중 3명이 동의했습니다.

방역수칙을 위반할 경우엔 자율적인 참여를 독려하는 것보다는 강력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았으며 국민에게 부과되는 과태료도 ‘낮다’는 의견이 44.9%에 달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보건복지부가 전국의 만 18세 이상 성인 천 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7일부터 이틀간 온라인과 모바일을 통해 실시했습니다.

KBS 뉴스 서병립입니다.

촬영기자:조영천/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김지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