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에 못 이긴 살인죄 누명…31년 만에 무죄

입력 2021.02.05 (07:35) 수정 2021.02.05 (07: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31년 전 부산에서 여성을 성폭행하고 살해한 이른바 '낙동강변 살인사건' 기억하십니까?

경찰의 고문에 못 이겨 허위 자백을 한 뒤 기소돼 억울한 옥살이를 한 2명에 대한 재심에서 무죄가 선고됐습니다.

법원은 무죄를 선고하면서 당시 잘못된 판결에 대해 사과했습니다.

보도에 정민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1990년 1월 부산 낙동강 변 갈대숲에서 데이트를 즐기던 남녀를 납치해 여성을 성폭행하고 살해한 죄로 21년의 옥살이를 한 최인철 씨와 장동익 씨.

부산고등법원은 이들에 대한 재심 재판에서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재판부는 당시 경찰의 불법 체포와 구금, 고문과 가혹 행위가 있었다며, 위법한 증거를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김덕교/부산고법 기획법관 : "위법 증거를 배제하였고 나머지 증거들에 의할 때 피고인들의 강도 살인 등 주요 범행이 입증되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이유로…."]

또, "당시 법원이 인권의 마지막 보루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며 억울하게 옥살이를 한 피해자들에게 사과했습니다.

[최인철/재심 청구인 : "'이제 누명을 벗었다' 생각하니까 또 다른 일도 많이 있을 건데 그 일을 해 가기 위해서 힘을 내도록 하겠습니다."]

앞서 검찰도 수사과정에 잘못을 인정하며 재심 청구인들에게 무죄를 구형했습니다.

[박준영/청구인 측 변호인 : "당시 가혹한 수사와 또 증거로 볼 수 없는 증거를 갖고 유죄를 판단했기 때문에 굉장히 큰 잘못이 있었던 사실을 검사도 인정한 거죠."]

하지만 증인으로 나선 경찰관들은 끝내 가혹 행위를 인정하거나 사과하지 않았습니다.

이번 판결은 과거 국가 공권력이 저지른 폭력에 대해 법원이 그 책임을 물었다는데 의미가 있습니다.

법원의 무죄 판결로 31년 만에 살인죄 누명을 벗은 최인철 씨와 장동익 씨는 국가와 당시 가해 경찰관들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정민규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문에 못 이긴 살인죄 누명…31년 만에 무죄
    • 입력 2021-02-05 07:35:38
    • 수정2021-02-05 07:53:55
    뉴스광장
[앵커]

31년 전 부산에서 여성을 성폭행하고 살해한 이른바 '낙동강변 살인사건' 기억하십니까?

경찰의 고문에 못 이겨 허위 자백을 한 뒤 기소돼 억울한 옥살이를 한 2명에 대한 재심에서 무죄가 선고됐습니다.

법원은 무죄를 선고하면서 당시 잘못된 판결에 대해 사과했습니다.

보도에 정민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1990년 1월 부산 낙동강 변 갈대숲에서 데이트를 즐기던 남녀를 납치해 여성을 성폭행하고 살해한 죄로 21년의 옥살이를 한 최인철 씨와 장동익 씨.

부산고등법원은 이들에 대한 재심 재판에서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재판부는 당시 경찰의 불법 체포와 구금, 고문과 가혹 행위가 있었다며, 위법한 증거를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김덕교/부산고법 기획법관 : "위법 증거를 배제하였고 나머지 증거들에 의할 때 피고인들의 강도 살인 등 주요 범행이 입증되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이유로…."]

또, "당시 법원이 인권의 마지막 보루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며 억울하게 옥살이를 한 피해자들에게 사과했습니다.

[최인철/재심 청구인 : "'이제 누명을 벗었다' 생각하니까 또 다른 일도 많이 있을 건데 그 일을 해 가기 위해서 힘을 내도록 하겠습니다."]

앞서 검찰도 수사과정에 잘못을 인정하며 재심 청구인들에게 무죄를 구형했습니다.

[박준영/청구인 측 변호인 : "당시 가혹한 수사와 또 증거로 볼 수 없는 증거를 갖고 유죄를 판단했기 때문에 굉장히 큰 잘못이 있었던 사실을 검사도 인정한 거죠."]

하지만 증인으로 나선 경찰관들은 끝내 가혹 행위를 인정하거나 사과하지 않았습니다.

이번 판결은 과거 국가 공권력이 저지른 폭력에 대해 법원이 그 책임을 물었다는데 의미가 있습니다.

법원의 무죄 판결로 31년 만에 살인죄 누명을 벗은 최인철 씨와 장동익 씨는 국가와 당시 가해 경찰관들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정민규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