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는 매춘부” 논문에 하버드 교수·학생들 규탄 성명
입력 2021.02.09 (00:02)
수정 2021.02.09 (00: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하버드 로스쿨 램지어 교수가 위안부 피해자를 "자발적 매춘부”라고 주장한 논문에 대해 미국 내 역사학자들의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근거 자료가 부실한 얼빠진 학술작품”이란 혹평이 나왔는가 하면, 한국사를 가르치는 카터 에커티 교수는 "경험적, 역사적, 도덕적으로 비참할 정도로 결함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반박 논문을 준비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하버드대 교내신문도 이번 파문을 자세히 전하고 있는데요.
이렇게 소녀상 사진을 내걸고 “하버드 교수의 논문이 국제적인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제목 아래, 미국 내 역사학자, 법률학자들의 비판적 논평을 전하면서 문제의 논문 저자 램지어 교수가 한국어 자료를 읽지 않았다고 솔직히 인정한 인터뷰 내용도 실었습니다.
학생회 차원의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는데요.
하버드로스쿨 한인학생회가 지난주 램지어 교수의 논문이 “인권 침해와 전쟁 범죄를 의도적으로 삭제했다”고 규탄 성명을 낸 데 이어 미 전역의 법대생 800명이 이 성명에 동참했고요, 하버드대 한인 총학생회도 램지어 교수의 공식 사과와 논문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이에 대해 램지어 교수는 자신의 논문에 대해 학생들과 대화할 용의가 있다는 뜻을 밝혔고 또 앞으로 일본군 위안부에 대해 연구를 더 진행할 의도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근거 자료가 부실한 얼빠진 학술작품”이란 혹평이 나왔는가 하면, 한국사를 가르치는 카터 에커티 교수는 "경험적, 역사적, 도덕적으로 비참할 정도로 결함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반박 논문을 준비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하버드대 교내신문도 이번 파문을 자세히 전하고 있는데요.
이렇게 소녀상 사진을 내걸고 “하버드 교수의 논문이 국제적인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제목 아래, 미국 내 역사학자, 법률학자들의 비판적 논평을 전하면서 문제의 논문 저자 램지어 교수가 한국어 자료를 읽지 않았다고 솔직히 인정한 인터뷰 내용도 실었습니다.
학생회 차원의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는데요.
하버드로스쿨 한인학생회가 지난주 램지어 교수의 논문이 “인권 침해와 전쟁 범죄를 의도적으로 삭제했다”고 규탄 성명을 낸 데 이어 미 전역의 법대생 800명이 이 성명에 동참했고요, 하버드대 한인 총학생회도 램지어 교수의 공식 사과와 논문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이에 대해 램지어 교수는 자신의 논문에 대해 학생들과 대화할 용의가 있다는 뜻을 밝혔고 또 앞으로 일본군 위안부에 대해 연구를 더 진행할 의도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위안부는 매춘부” 논문에 하버드 교수·학생들 규탄 성명
-
- 입력 2021-02-09 00:02:00
- 수정2021-02-09 00:10:10

미국 하버드 로스쿨 램지어 교수가 위안부 피해자를 "자발적 매춘부”라고 주장한 논문에 대해 미국 내 역사학자들의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근거 자료가 부실한 얼빠진 학술작품”이란 혹평이 나왔는가 하면, 한국사를 가르치는 카터 에커티 교수는 "경험적, 역사적, 도덕적으로 비참할 정도로 결함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반박 논문을 준비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하버드대 교내신문도 이번 파문을 자세히 전하고 있는데요.
이렇게 소녀상 사진을 내걸고 “하버드 교수의 논문이 국제적인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제목 아래, 미국 내 역사학자, 법률학자들의 비판적 논평을 전하면서 문제의 논문 저자 램지어 교수가 한국어 자료를 읽지 않았다고 솔직히 인정한 인터뷰 내용도 실었습니다.
학생회 차원의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는데요.
하버드로스쿨 한인학생회가 지난주 램지어 교수의 논문이 “인권 침해와 전쟁 범죄를 의도적으로 삭제했다”고 규탄 성명을 낸 데 이어 미 전역의 법대생 800명이 이 성명에 동참했고요, 하버드대 한인 총학생회도 램지어 교수의 공식 사과와 논문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이에 대해 램지어 교수는 자신의 논문에 대해 학생들과 대화할 용의가 있다는 뜻을 밝혔고 또 앞으로 일본군 위안부에 대해 연구를 더 진행할 의도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근거 자료가 부실한 얼빠진 학술작품”이란 혹평이 나왔는가 하면, 한국사를 가르치는 카터 에커티 교수는 "경험적, 역사적, 도덕적으로 비참할 정도로 결함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반박 논문을 준비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하버드대 교내신문도 이번 파문을 자세히 전하고 있는데요.
이렇게 소녀상 사진을 내걸고 “하버드 교수의 논문이 국제적인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제목 아래, 미국 내 역사학자, 법률학자들의 비판적 논평을 전하면서 문제의 논문 저자 램지어 교수가 한국어 자료를 읽지 않았다고 솔직히 인정한 인터뷰 내용도 실었습니다.
학생회 차원의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는데요.
하버드로스쿨 한인학생회가 지난주 램지어 교수의 논문이 “인권 침해와 전쟁 범죄를 의도적으로 삭제했다”고 규탄 성명을 낸 데 이어 미 전역의 법대생 800명이 이 성명에 동참했고요, 하버드대 한인 총학생회도 램지어 교수의 공식 사과와 논문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이에 대해 램지어 교수는 자신의 논문에 대해 학생들과 대화할 용의가 있다는 뜻을 밝혔고 또 앞으로 일본군 위안부에 대해 연구를 더 진행할 의도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