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인구 절벽’ 현실로…대책은 제자리

입력 2021.02.14 (21:35) 수정 2021.02.14 (21: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몇 년 사이 대전의 인구가 빠른 속도로 줄고 있습니다.

이대로라면 '140만 붕괴' 는 시간 문제라는 지적도 나오는데, 대전시는 뚜렷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조정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2013년 대전의 주민등록 인구 수는 153만 명을 넘어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불과 7년여 만인 현재 146만 3천여 명으로 인구가 급격히 줄었습니다.

지방소멸위험지수가 1.0 이하로 하락하면 '주의' 단계, 0.5 미만이면 '위험' 단계로 구분되는데 대전 원도심인 중구와 동구는 이미 0.5 미만으로 소멸 위험 단계에 진입했습니다.

[대전시 관계자/음성변조 : "아무래도 아파트도 새로 신축하는 게 별로 없고 교육환경도 없고 그러다 보니까…."]

가장 큰 이유는 청년층 인구 유출.

최근 20년 사이 20대 인구는 2002년 이후 계속 감소세를 보이다 2013년부터 조금씩 늘고 있지만, 30대 인구는 2006년에 26만 8천여 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4년부터 해마다 수천 명 씩 수도권이나 세종시로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아이를 낳고, 활발하게 경제활동을 해야 할 중심, 허리층이 계속 줄고 있는 겁니다.

[정경석/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위원 : "아이들을 잘 돌보고 교육할 수 있는 환경, 안전한 공간을 찾을 수밖에 없고 그런 면에서 보면 세종시가 그런 기반 여건을 잘 갖추고 있기 때문에…."]

최근 대전시와 5개 자치구가 기숙사 거주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전주소 갖기 운동'을 추진하고 있지만 역부족입니다.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1회성 정책이라는 지적입니다.

[최호택/배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정말 현장에서 뭘 원하는건지, 왜 대전을 떠나는 건지 면밀히 분석을 해서 대책을 내놔야지 이런 정책을 가지고는 몇조를 쏟아 부어도 떠나는 인구를 잡을 수 없습니다."]

혁신도시 지정과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 확대 등이 대전의 유일한 호재이긴 하지만, 청년들의 취업을 해결해줄 대기업 유치와 지역의 중소 벤처기업 육성 등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 없이는 '인구 절벽'은 현실화 될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조정아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전 ‘인구 절벽’ 현실로…대책은 제자리
    • 입력 2021-02-14 21:35:35
    • 수정2021-02-14 21:58:50
    뉴스9(대전)
[앵커]

최근 몇 년 사이 대전의 인구가 빠른 속도로 줄고 있습니다.

이대로라면 '140만 붕괴' 는 시간 문제라는 지적도 나오는데, 대전시는 뚜렷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조정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2013년 대전의 주민등록 인구 수는 153만 명을 넘어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불과 7년여 만인 현재 146만 3천여 명으로 인구가 급격히 줄었습니다.

지방소멸위험지수가 1.0 이하로 하락하면 '주의' 단계, 0.5 미만이면 '위험' 단계로 구분되는데 대전 원도심인 중구와 동구는 이미 0.5 미만으로 소멸 위험 단계에 진입했습니다.

[대전시 관계자/음성변조 : "아무래도 아파트도 새로 신축하는 게 별로 없고 교육환경도 없고 그러다 보니까…."]

가장 큰 이유는 청년층 인구 유출.

최근 20년 사이 20대 인구는 2002년 이후 계속 감소세를 보이다 2013년부터 조금씩 늘고 있지만, 30대 인구는 2006년에 26만 8천여 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4년부터 해마다 수천 명 씩 수도권이나 세종시로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아이를 낳고, 활발하게 경제활동을 해야 할 중심, 허리층이 계속 줄고 있는 겁니다.

[정경석/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위원 : "아이들을 잘 돌보고 교육할 수 있는 환경, 안전한 공간을 찾을 수밖에 없고 그런 면에서 보면 세종시가 그런 기반 여건을 잘 갖추고 있기 때문에…."]

최근 대전시와 5개 자치구가 기숙사 거주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전주소 갖기 운동'을 추진하고 있지만 역부족입니다.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1회성 정책이라는 지적입니다.

[최호택/배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정말 현장에서 뭘 원하는건지, 왜 대전을 떠나는 건지 면밀히 분석을 해서 대책을 내놔야지 이런 정책을 가지고는 몇조를 쏟아 부어도 떠나는 인구를 잡을 수 없습니다."]

혁신도시 지정과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 확대 등이 대전의 유일한 호재이긴 하지만, 청년들의 취업을 해결해줄 대기업 유치와 지역의 중소 벤처기업 육성 등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 없이는 '인구 절벽'은 현실화 될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조정아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