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자영업 타격’ 사업소득 5.1%↓…역대 최대 폭 감소

입력 2021.02.18 (12:12) 수정 2021.02.18 (19: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로 자영업이 큰 타격을 입으면서 가구당 사업소득이 통계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습니다.

근로 소득도 3분기 연속 하락했는데, 특히 소득 하위 가구에 충격이 집중됐습니다.

이승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16만 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에 비해 1.8%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소득 증가는 2차 재난지원금을 비롯한 정부 지원금 증가의 영향이 큽니다.

실제 공적 지원금 등을 뜻하는 이전 소득은 25%가량 증가했지만, 근로소득은 0.5% 줄었고, 사업소득의 경우는 5% 넘게 감소했습니다.

특히 사업소득은 2003년 관련 통계작성이래 가장 큰 폭으로 줄며,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을 그대로 나타냈습니다.

[정동명/통계청 사회통계국장 : "코로나 재확산에 따라 대면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 감소와 자영업 업황부진이 지속된 영향으로 보입니다."]

근로 소득의 감소는 소득 하위 가구로 갈수록 두드러졌습니다.

소득 하위 20%는 근로 소득이 13% 넘게 줄며 3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코로나19로 임시.일용직 일자리가 크게 준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 때문에 상하위 소득 격차를 뜻하는 균등화 5분위 배율은 4.72배로 1년 전보다 0.08포인트 더 악화됐습니다.

코로나19로 가계 지출 규모도 축소됐습니다.

대면 소비가 위축되면서 전체 소득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가구당 월평균 지출액은 0.1% 감소했습니다.

특히 처분 가능한 소득 대비 소비 지출을 뜻하는 평균 소비성향은 69.6%로 4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촬영기자: 김현태/영상편집: 이기승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코로나19 ‘자영업 타격’ 사업소득 5.1%↓…역대 최대 폭 감소
    • 입력 2021-02-18 12:12:56
    • 수정2021-02-18 19:50:15
    뉴스 12
[앵커]

코로나19로 자영업이 큰 타격을 입으면서 가구당 사업소득이 통계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습니다.

근로 소득도 3분기 연속 하락했는데, 특히 소득 하위 가구에 충격이 집중됐습니다.

이승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16만 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에 비해 1.8%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소득 증가는 2차 재난지원금을 비롯한 정부 지원금 증가의 영향이 큽니다.

실제 공적 지원금 등을 뜻하는 이전 소득은 25%가량 증가했지만, 근로소득은 0.5% 줄었고, 사업소득의 경우는 5% 넘게 감소했습니다.

특히 사업소득은 2003년 관련 통계작성이래 가장 큰 폭으로 줄며,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을 그대로 나타냈습니다.

[정동명/통계청 사회통계국장 : "코로나 재확산에 따라 대면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 감소와 자영업 업황부진이 지속된 영향으로 보입니다."]

근로 소득의 감소는 소득 하위 가구로 갈수록 두드러졌습니다.

소득 하위 20%는 근로 소득이 13% 넘게 줄며 3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코로나19로 임시.일용직 일자리가 크게 준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 때문에 상하위 소득 격차를 뜻하는 균등화 5분위 배율은 4.72배로 1년 전보다 0.08포인트 더 악화됐습니다.

코로나19로 가계 지출 규모도 축소됐습니다.

대면 소비가 위축되면서 전체 소득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가구당 월평균 지출액은 0.1% 감소했습니다.

특히 처분 가능한 소득 대비 소비 지출을 뜻하는 평균 소비성향은 69.6%로 4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촬영기자: 김현태/영상편집: 이기승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