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위험 ‘담수지’ 확보 비상

입력 2021.02.18 (17:22) 수정 2021.02.18 (17: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강원 동해안지역은 봄철이면 건조한 날씨에 강풍이 잦아, 대형 산불 위험이 큰 곳입니다.

대형 산불 진화에는 대대적인 헬기 진화가 필수인데, 물을 공급받을 담수시설이 턱없이 부족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입니다.

정상빈 기자입니다.

[리포트]

강원도 고성군의 한 저수집니다.

지난해 5월 산불이 나자 진화 헬기 20여대가 이곳에서 물을 퍼올려 불을 껐습니다.

산불 현장에 가까운데다, 담수량이 많아 큰 도움이 됐습니다.

하지만 강원도에서 이같은 담수지는 249곳으로, 전국 3천 6백여 곳의 6.9%에 불과합니다.

대형 산불 위험이 크지만 물을 구하기 어렵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마저도 강원 영서지역에 집중됐고, 남부 산간지역에는 담수지가 거의 없습니다.

특히, 강원도는 물이 빠지기 쉬운 석회암 지대와 산악 지형이 많습니다.

이로 인해 물을 모을 수 있는 담수지 확보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겨울철에도 취수할 수 있도록 결빙을 막는 장치가 설치된 곳은 19곳에 불과합니다.

[고기연/산림청 산림항공본부 본부장 : "전국 대비해서도 굉장히 부족한 숫자고 또 대형 산불이 발생할 경우에 대비하기 위해선 취수원 확보가 대폭적으로 확대가"]

담수지 확보가 어려우면, 지역 여건에 맞는 진화장비 보급이 시급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이시영/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교수 : "이 지형에(급경사지, 산악 지형) 적합한 산불진화특수 차량을 개발을 해서, 확대 보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돼요."]

산림당국은 최대 4만 리터의 물을 담을 수 있는 이동식 저수조를 강원도 13곳에 설치했지만 이것으로도 역부족이어서 취수원 추가 확보가 시급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정상빈입니다.

촬영기자:구민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불 위험 ‘담수지’ 확보 비상
    • 입력 2021-02-18 17:22:51
    • 수정2021-02-18 17:34:52
    뉴스 5
[앵커]

강원 동해안지역은 봄철이면 건조한 날씨에 강풍이 잦아, 대형 산불 위험이 큰 곳입니다.

대형 산불 진화에는 대대적인 헬기 진화가 필수인데, 물을 공급받을 담수시설이 턱없이 부족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입니다.

정상빈 기자입니다.

[리포트]

강원도 고성군의 한 저수집니다.

지난해 5월 산불이 나자 진화 헬기 20여대가 이곳에서 물을 퍼올려 불을 껐습니다.

산불 현장에 가까운데다, 담수량이 많아 큰 도움이 됐습니다.

하지만 강원도에서 이같은 담수지는 249곳으로, 전국 3천 6백여 곳의 6.9%에 불과합니다.

대형 산불 위험이 크지만 물을 구하기 어렵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마저도 강원 영서지역에 집중됐고, 남부 산간지역에는 담수지가 거의 없습니다.

특히, 강원도는 물이 빠지기 쉬운 석회암 지대와 산악 지형이 많습니다.

이로 인해 물을 모을 수 있는 담수지 확보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겨울철에도 취수할 수 있도록 결빙을 막는 장치가 설치된 곳은 19곳에 불과합니다.

[고기연/산림청 산림항공본부 본부장 : "전국 대비해서도 굉장히 부족한 숫자고 또 대형 산불이 발생할 경우에 대비하기 위해선 취수원 확보가 대폭적으로 확대가"]

담수지 확보가 어려우면, 지역 여건에 맞는 진화장비 보급이 시급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이시영/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교수 : "이 지형에(급경사지, 산악 지형) 적합한 산불진화특수 차량을 개발을 해서, 확대 보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돼요."]

산림당국은 최대 4만 리터의 물을 담을 수 있는 이동식 저수조를 강원도 13곳에 설치했지만 이것으로도 역부족이어서 취수원 추가 확보가 시급한 상황입니다.

KBS 뉴스 정상빈입니다.

촬영기자:구민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