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사K] 공직 이후 매매한 농지 없다더니…시세 차익 추가 확인
입력 2021.03.04 (19:10)
수정 2021.03.04 (22: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창원시 성산구 강기윤 국회의원의 농지 관련 연속보도입니다.
강기윤 의원은 KBS 보도에 대해 농지로 시세차익을 노린 게 아니며, 공직자가 된 뒤에는 사들인 농지가 없다고 공식 해명했습니다.
그런데 KBS 취재 결과, 강 의원은 과거 경남도의원 시절에도 부인의 명의로 농지를 샀고, 도의원을 그만두고도 이미 보유한 농지를 보상받아 시세 차익을 봤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탐사K 이대완 기자입니다.
[리포트]
창원시 비음산 등산로 입구, 철문이 굳게 닫혀있습니다.
지목상 과수원!
하지만, 주민들은 농사를 짓는 것을 본 적이 없다고 말합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문 잠겨있는지 열려있는지도 모르고, 사람 다니는 것은 못 봤어."]
[등산객/음성변조 : "사람들이 왔다 갔다 하는 것은 건 못 봤고, 차만 가끔 왔다 갔다 해."]
과수원 안은 어떨까,
나무 사이로 잡풀이 온통 뒤덮였습니다.
등기부 등본을 떼봤습니다.
전체 3천7백 제곱미터에 달하는 이 과수원의 소유자는 창원시 성산구 강기윤 국회의원의 부인!
강 의원이 경남도의원 시절인 지난 2008년, 부인 명의로 3.3㎡당 14만 원에 사들인 겁니다.
[과수원 매도인/음성변조 : "내가 나이가 많아서 아주 그냥 줬어, 그냥 (거저) 준거나 마찬가지지..."]
강 의원 측이 농지 매입 당시 제출한 농업경영서입니다.
주로 감 농사를 짓겠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현행법상, 이 경영서대로 1년에 90일 이상 직접 농사를 짓는 것이 농지 매입의 원칙입니다.
[강기윤/국회의원/창원시 성산구 : "그렇게 법에 맞춰서 하면 안 걸리는 부분이 없을 것 같아요. 다 걸릴 것 같아요. 우리가 법을 만들 때 꼭 그렇게 하라고 하는 것보다는 그렇게 되어야 한다(는 건데...)"]
이 과수원과 불과 200m 떨어진 곳은, 지난 2008년 공식 추진된 창원-김해 비음산 터널 진출입로의 유력 예정지 가운데 한 곳입니다.
강 의원은 이 과수원 농지를 사기 직전인 지난 2006년과 2007년 경상남도 도시계획위원을, 땅을 매입한 2008년에는 도의회 건설위원을 맡았습니다.
[부동산 중개인/음성변조 : "(비음산 터널 뚫리면 보상금은 받을 수 있지 않나요?) 보상금은 이제 그 주변에 받을 수 있겠지..."]
이 과수원에는 고압선로가 지나고, 인근 강 의원 부인 소유의 임야에는 송전탑이 세워져 있습니다.
강 의원은 지난 21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비음산의 고압선로를 땅에 묻겠다는 공약을 내걸기도 했습니다.
[강기윤/국회의원/창원시 성산구 : "(비음산에) 등산로가 많다, 내가 선거에 몇 번 나왔잖습니까, (선거캠프) 기획 쪽에서 (공약을) 하게 되면 시민들한테 호응을 얻지 않겠나 싶어서..."]
소유한 농지로 시세 차익을 얻은 것도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대규모 아파트 공사가 진행 중인 터, 창원시가 도시개발사업으로 지난 2016년을 전후 모두 440필지 91만㎡를 사들였습니다.
당시 보상 목록에는 강 의원 부인 명의의 밭이 포함됐습니다.
모두 1,630㎡!
KBS가 단독 입수한 당시 밭의 평균 토지 보상가는 ㎡당 47만 원, 평당 155만 원가량입니다.
이를 토대로 계산해보면 보상가는 7억 6천만 원에 달합니다.
개발제한구역으로 이중 규제를 받고 있던 이 농지의 과거 매입가는 평당 25만 원!
6배의 차익을 얻은 겁니다.
현재 강 의원과 부인이 보유 중인 농지는 모두 만7백㎡, 강 의원이 밝힌 가격으로도 현역 국회의원 300명 가운데 1등입니다.
[임영환/경실련 농업개혁위원·변호사 : "단순히 부동산으로 재산 증식의 수단으로 취급해서 농사도 짓지 않고 보유하는 것은 농지법 위반 및 헌법 정신 위반됩니다."]
앞서, 강 의원 측은 지난 2002년 공직에 입문한 뒤 상속받은 땅 이외, 농지를 매매한 적은 없으며, 현재 보유한 농지는 노후 대비용이라고 말했습니다.
탐사K 이대완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창원시 성산구 강기윤 국회의원의 농지 관련 연속보도입니다.
강기윤 의원은 KBS 보도에 대해 농지로 시세차익을 노린 게 아니며, 공직자가 된 뒤에는 사들인 농지가 없다고 공식 해명했습니다.
그런데 KBS 취재 결과, 강 의원은 과거 경남도의원 시절에도 부인의 명의로 농지를 샀고, 도의원을 그만두고도 이미 보유한 농지를 보상받아 시세 차익을 봤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탐사K 이대완 기자입니다.
[리포트]
창원시 비음산 등산로 입구, 철문이 굳게 닫혀있습니다.
지목상 과수원!
하지만, 주민들은 농사를 짓는 것을 본 적이 없다고 말합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문 잠겨있는지 열려있는지도 모르고, 사람 다니는 것은 못 봤어."]
[등산객/음성변조 : "사람들이 왔다 갔다 하는 것은 건 못 봤고, 차만 가끔 왔다 갔다 해."]
과수원 안은 어떨까,
나무 사이로 잡풀이 온통 뒤덮였습니다.
등기부 등본을 떼봤습니다.
전체 3천7백 제곱미터에 달하는 이 과수원의 소유자는 창원시 성산구 강기윤 국회의원의 부인!
강 의원이 경남도의원 시절인 지난 2008년, 부인 명의로 3.3㎡당 14만 원에 사들인 겁니다.
[과수원 매도인/음성변조 : "내가 나이가 많아서 아주 그냥 줬어, 그냥 (거저) 준거나 마찬가지지..."]
강 의원 측이 농지 매입 당시 제출한 농업경영서입니다.
주로 감 농사를 짓겠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현행법상, 이 경영서대로 1년에 90일 이상 직접 농사를 짓는 것이 농지 매입의 원칙입니다.
[강기윤/국회의원/창원시 성산구 : "그렇게 법에 맞춰서 하면 안 걸리는 부분이 없을 것 같아요. 다 걸릴 것 같아요. 우리가 법을 만들 때 꼭 그렇게 하라고 하는 것보다는 그렇게 되어야 한다(는 건데...)"]
이 과수원과 불과 200m 떨어진 곳은, 지난 2008년 공식 추진된 창원-김해 비음산 터널 진출입로의 유력 예정지 가운데 한 곳입니다.
강 의원은 이 과수원 농지를 사기 직전인 지난 2006년과 2007년 경상남도 도시계획위원을, 땅을 매입한 2008년에는 도의회 건설위원을 맡았습니다.
[부동산 중개인/음성변조 : "(비음산 터널 뚫리면 보상금은 받을 수 있지 않나요?) 보상금은 이제 그 주변에 받을 수 있겠지..."]
이 과수원에는 고압선로가 지나고, 인근 강 의원 부인 소유의 임야에는 송전탑이 세워져 있습니다.
강 의원은 지난 21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비음산의 고압선로를 땅에 묻겠다는 공약을 내걸기도 했습니다.
[강기윤/국회의원/창원시 성산구 : "(비음산에) 등산로가 많다, 내가 선거에 몇 번 나왔잖습니까, (선거캠프) 기획 쪽에서 (공약을) 하게 되면 시민들한테 호응을 얻지 않겠나 싶어서..."]
소유한 농지로 시세 차익을 얻은 것도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대규모 아파트 공사가 진행 중인 터, 창원시가 도시개발사업으로 지난 2016년을 전후 모두 440필지 91만㎡를 사들였습니다.
당시 보상 목록에는 강 의원 부인 명의의 밭이 포함됐습니다.
모두 1,630㎡!
KBS가 단독 입수한 당시 밭의 평균 토지 보상가는 ㎡당 47만 원, 평당 155만 원가량입니다.
이를 토대로 계산해보면 보상가는 7억 6천만 원에 달합니다.
개발제한구역으로 이중 규제를 받고 있던 이 농지의 과거 매입가는 평당 25만 원!
6배의 차익을 얻은 겁니다.
현재 강 의원과 부인이 보유 중인 농지는 모두 만7백㎡, 강 의원이 밝힌 가격으로도 현역 국회의원 300명 가운데 1등입니다.
[임영환/경실련 농업개혁위원·변호사 : "단순히 부동산으로 재산 증식의 수단으로 취급해서 농사도 짓지 않고 보유하는 것은 농지법 위반 및 헌법 정신 위반됩니다."]
앞서, 강 의원 측은 지난 2002년 공직에 입문한 뒤 상속받은 땅 이외, 농지를 매매한 적은 없으며, 현재 보유한 농지는 노후 대비용이라고 말했습니다.
탐사K 이대완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탐사K] 공직 이후 매매한 농지 없다더니…시세 차익 추가 확인
-
- 입력 2021-03-04 19:10:12
- 수정2021-03-04 22:24:46
[앵커]
창원시 성산구 강기윤 국회의원의 농지 관련 연속보도입니다.
강기윤 의원은 KBS 보도에 대해 농지로 시세차익을 노린 게 아니며, 공직자가 된 뒤에는 사들인 농지가 없다고 공식 해명했습니다.
그런데 KBS 취재 결과, 강 의원은 과거 경남도의원 시절에도 부인의 명의로 농지를 샀고, 도의원을 그만두고도 이미 보유한 농지를 보상받아 시세 차익을 봤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탐사K 이대완 기자입니다.
[리포트]
창원시 비음산 등산로 입구, 철문이 굳게 닫혀있습니다.
지목상 과수원!
하지만, 주민들은 농사를 짓는 것을 본 적이 없다고 말합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문 잠겨있는지 열려있는지도 모르고, 사람 다니는 것은 못 봤어."]
[등산객/음성변조 : "사람들이 왔다 갔다 하는 것은 건 못 봤고, 차만 가끔 왔다 갔다 해."]
과수원 안은 어떨까,
나무 사이로 잡풀이 온통 뒤덮였습니다.
등기부 등본을 떼봤습니다.
전체 3천7백 제곱미터에 달하는 이 과수원의 소유자는 창원시 성산구 강기윤 국회의원의 부인!
강 의원이 경남도의원 시절인 지난 2008년, 부인 명의로 3.3㎡당 14만 원에 사들인 겁니다.
[과수원 매도인/음성변조 : "내가 나이가 많아서 아주 그냥 줬어, 그냥 (거저) 준거나 마찬가지지..."]
강 의원 측이 농지 매입 당시 제출한 농업경영서입니다.
주로 감 농사를 짓겠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현행법상, 이 경영서대로 1년에 90일 이상 직접 농사를 짓는 것이 농지 매입의 원칙입니다.
[강기윤/국회의원/창원시 성산구 : "그렇게 법에 맞춰서 하면 안 걸리는 부분이 없을 것 같아요. 다 걸릴 것 같아요. 우리가 법을 만들 때 꼭 그렇게 하라고 하는 것보다는 그렇게 되어야 한다(는 건데...)"]
이 과수원과 불과 200m 떨어진 곳은, 지난 2008년 공식 추진된 창원-김해 비음산 터널 진출입로의 유력 예정지 가운데 한 곳입니다.
강 의원은 이 과수원 농지를 사기 직전인 지난 2006년과 2007년 경상남도 도시계획위원을, 땅을 매입한 2008년에는 도의회 건설위원을 맡았습니다.
[부동산 중개인/음성변조 : "(비음산 터널 뚫리면 보상금은 받을 수 있지 않나요?) 보상금은 이제 그 주변에 받을 수 있겠지..."]
이 과수원에는 고압선로가 지나고, 인근 강 의원 부인 소유의 임야에는 송전탑이 세워져 있습니다.
강 의원은 지난 21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비음산의 고압선로를 땅에 묻겠다는 공약을 내걸기도 했습니다.
[강기윤/국회의원/창원시 성산구 : "(비음산에) 등산로가 많다, 내가 선거에 몇 번 나왔잖습니까, (선거캠프) 기획 쪽에서 (공약을) 하게 되면 시민들한테 호응을 얻지 않겠나 싶어서..."]
소유한 농지로 시세 차익을 얻은 것도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대규모 아파트 공사가 진행 중인 터, 창원시가 도시개발사업으로 지난 2016년을 전후 모두 440필지 91만㎡를 사들였습니다.
당시 보상 목록에는 강 의원 부인 명의의 밭이 포함됐습니다.
모두 1,630㎡!
KBS가 단독 입수한 당시 밭의 평균 토지 보상가는 ㎡당 47만 원, 평당 155만 원가량입니다.
이를 토대로 계산해보면 보상가는 7억 6천만 원에 달합니다.
개발제한구역으로 이중 규제를 받고 있던 이 농지의 과거 매입가는 평당 25만 원!
6배의 차익을 얻은 겁니다.
현재 강 의원과 부인이 보유 중인 농지는 모두 만7백㎡, 강 의원이 밝힌 가격으로도 현역 국회의원 300명 가운데 1등입니다.
[임영환/경실련 농업개혁위원·변호사 : "단순히 부동산으로 재산 증식의 수단으로 취급해서 농사도 짓지 않고 보유하는 것은 농지법 위반 및 헌법 정신 위반됩니다."]
앞서, 강 의원 측은 지난 2002년 공직에 입문한 뒤 상속받은 땅 이외, 농지를 매매한 적은 없으며, 현재 보유한 농지는 노후 대비용이라고 말했습니다.
탐사K 이대완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창원시 성산구 강기윤 국회의원의 농지 관련 연속보도입니다.
강기윤 의원은 KBS 보도에 대해 농지로 시세차익을 노린 게 아니며, 공직자가 된 뒤에는 사들인 농지가 없다고 공식 해명했습니다.
그런데 KBS 취재 결과, 강 의원은 과거 경남도의원 시절에도 부인의 명의로 농지를 샀고, 도의원을 그만두고도 이미 보유한 농지를 보상받아 시세 차익을 봤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탐사K 이대완 기자입니다.
[리포트]
창원시 비음산 등산로 입구, 철문이 굳게 닫혀있습니다.
지목상 과수원!
하지만, 주민들은 농사를 짓는 것을 본 적이 없다고 말합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문 잠겨있는지 열려있는지도 모르고, 사람 다니는 것은 못 봤어."]
[등산객/음성변조 : "사람들이 왔다 갔다 하는 것은 건 못 봤고, 차만 가끔 왔다 갔다 해."]
과수원 안은 어떨까,
나무 사이로 잡풀이 온통 뒤덮였습니다.
등기부 등본을 떼봤습니다.
전체 3천7백 제곱미터에 달하는 이 과수원의 소유자는 창원시 성산구 강기윤 국회의원의 부인!
강 의원이 경남도의원 시절인 지난 2008년, 부인 명의로 3.3㎡당 14만 원에 사들인 겁니다.
[과수원 매도인/음성변조 : "내가 나이가 많아서 아주 그냥 줬어, 그냥 (거저) 준거나 마찬가지지..."]
강 의원 측이 농지 매입 당시 제출한 농업경영서입니다.
주로 감 농사를 짓겠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현행법상, 이 경영서대로 1년에 90일 이상 직접 농사를 짓는 것이 농지 매입의 원칙입니다.
[강기윤/국회의원/창원시 성산구 : "그렇게 법에 맞춰서 하면 안 걸리는 부분이 없을 것 같아요. 다 걸릴 것 같아요. 우리가 법을 만들 때 꼭 그렇게 하라고 하는 것보다는 그렇게 되어야 한다(는 건데...)"]
이 과수원과 불과 200m 떨어진 곳은, 지난 2008년 공식 추진된 창원-김해 비음산 터널 진출입로의 유력 예정지 가운데 한 곳입니다.
강 의원은 이 과수원 농지를 사기 직전인 지난 2006년과 2007년 경상남도 도시계획위원을, 땅을 매입한 2008년에는 도의회 건설위원을 맡았습니다.
[부동산 중개인/음성변조 : "(비음산 터널 뚫리면 보상금은 받을 수 있지 않나요?) 보상금은 이제 그 주변에 받을 수 있겠지..."]
이 과수원에는 고압선로가 지나고, 인근 강 의원 부인 소유의 임야에는 송전탑이 세워져 있습니다.
강 의원은 지난 21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비음산의 고압선로를 땅에 묻겠다는 공약을 내걸기도 했습니다.
[강기윤/국회의원/창원시 성산구 : "(비음산에) 등산로가 많다, 내가 선거에 몇 번 나왔잖습니까, (선거캠프) 기획 쪽에서 (공약을) 하게 되면 시민들한테 호응을 얻지 않겠나 싶어서..."]
소유한 농지로 시세 차익을 얻은 것도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대규모 아파트 공사가 진행 중인 터, 창원시가 도시개발사업으로 지난 2016년을 전후 모두 440필지 91만㎡를 사들였습니다.
당시 보상 목록에는 강 의원 부인 명의의 밭이 포함됐습니다.
모두 1,630㎡!
KBS가 단독 입수한 당시 밭의 평균 토지 보상가는 ㎡당 47만 원, 평당 155만 원가량입니다.
이를 토대로 계산해보면 보상가는 7억 6천만 원에 달합니다.
개발제한구역으로 이중 규제를 받고 있던 이 농지의 과거 매입가는 평당 25만 원!
6배의 차익을 얻은 겁니다.
현재 강 의원과 부인이 보유 중인 농지는 모두 만7백㎡, 강 의원이 밝힌 가격으로도 현역 국회의원 300명 가운데 1등입니다.
[임영환/경실련 농업개혁위원·변호사 : "단순히 부동산으로 재산 증식의 수단으로 취급해서 농사도 짓지 않고 보유하는 것은 농지법 위반 및 헌법 정신 위반됩니다."]
앞서, 강 의원 측은 지난 2002년 공직에 입문한 뒤 상속받은 땅 이외, 농지를 매매한 적은 없으며, 현재 보유한 농지는 노후 대비용이라고 말했습니다.
탐사K 이대완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
-
이대완 기자 bigbowl@kbs.co.kr
이대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