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픽] 대파 한단에 6,000원…‘대파코인’·‘파테크’ 등장

입력 2021.03.09 (21:44) 수정 2021.03.09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뉴스픽 시간입니다.

요즘 대파 값이 많이 올라 '파테크, 대파코인'같은 신조어까지 생겨나고 있는데요.

밥상 물가가 그야말로 비상입니다.

박연선 기자가 키워드로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오늘의 키워드, '파테크' 입니다.

최근 소비자물가가 크게 올랐다는 소식이 연일 나오고 있죠.

그중에서도 금값이 된 '대파' 얘기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한 단에 보통 2천 원 수준이던 대파 가격이 요즘은 6천 원을 넘어섰는데, 가격이 급등하다보니까 흔히 자산을 불릴때 사용하는 단어, '재테크'와 결합하면서 '파테크'라는 신조어까지 생긴 겁니다.

대파 값이 비싸지다보니, 집에서 대파를 키우는 게 더 이득이다 이런 의미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가격이 급등했던 '비트코인'에 빗대 '대파코인' 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을 정도니까, 가격 상승세가 만만치 않은 것이 사실인 것 같습니다.

가격이 급등한 이유는 수요에 비해서 공급이 많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먼저 대파 재배 면적이 크게 줄었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표 대파 산지인 전남의 지난해 겨울대파 재배 면적은 전년 대비 9%, 평년 대비 3%가 줄었습니다.

특히 지난 겨울, 한파와 폭설이 이어지면서 생산량이 크게 줄었는데, 지난달을 기준으로 전국 도매시장 대파 반입량은 1년 전보다 59%나 감소했습니다.

그렇다 보니까, 실제 집에서 파를 심어 키우는 '파테크' 사진들이 심심치않게 발견이 되고, 상추나 콩나물 같이 쉽게 키울 수 있는 것들은 모종 판매가 크게 늘었다고 합니다.

가격이 오른 것은 대파 뿐만이 아닌데요,

양파, 마늘, 고추도 반입량이 줄면서 가격이 올랐고, 사과나 배 같은 과일류에 달걀 같은 축산물마저 비싸졌습니다.

소매 가격을 기준으로 대파는 227.5%, 사과는 55.2%, 달걀은 41.7%올라 밥상 물가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개별 농가들이 수요 공급을 조절하기란 쉽지 않죠.

농산물 가격 안정을 위한 국가차원의 대책이 필요해보입니다.

지금까지 뉴스 픽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픽] 대파 한단에 6,000원…‘대파코인’·‘파테크’ 등장
    • 입력 2021-03-09 21:44:07
    • 수정2021-03-09 22:01:59
    뉴스9(대전)
[앵커]

뉴스픽 시간입니다.

요즘 대파 값이 많이 올라 '파테크, 대파코인'같은 신조어까지 생겨나고 있는데요.

밥상 물가가 그야말로 비상입니다.

박연선 기자가 키워드로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오늘의 키워드, '파테크' 입니다.

최근 소비자물가가 크게 올랐다는 소식이 연일 나오고 있죠.

그중에서도 금값이 된 '대파' 얘기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한 단에 보통 2천 원 수준이던 대파 가격이 요즘은 6천 원을 넘어섰는데, 가격이 급등하다보니까 흔히 자산을 불릴때 사용하는 단어, '재테크'와 결합하면서 '파테크'라는 신조어까지 생긴 겁니다.

대파 값이 비싸지다보니, 집에서 대파를 키우는 게 더 이득이다 이런 의미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가격이 급등했던 '비트코인'에 빗대 '대파코인' 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을 정도니까, 가격 상승세가 만만치 않은 것이 사실인 것 같습니다.

가격이 급등한 이유는 수요에 비해서 공급이 많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먼저 대파 재배 면적이 크게 줄었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표 대파 산지인 전남의 지난해 겨울대파 재배 면적은 전년 대비 9%, 평년 대비 3%가 줄었습니다.

특히 지난 겨울, 한파와 폭설이 이어지면서 생산량이 크게 줄었는데, 지난달을 기준으로 전국 도매시장 대파 반입량은 1년 전보다 59%나 감소했습니다.

그렇다 보니까, 실제 집에서 파를 심어 키우는 '파테크' 사진들이 심심치않게 발견이 되고, 상추나 콩나물 같이 쉽게 키울 수 있는 것들은 모종 판매가 크게 늘었다고 합니다.

가격이 오른 것은 대파 뿐만이 아닌데요,

양파, 마늘, 고추도 반입량이 줄면서 가격이 올랐고, 사과나 배 같은 과일류에 달걀 같은 축산물마저 비싸졌습니다.

소매 가격을 기준으로 대파는 227.5%, 사과는 55.2%, 달걀은 41.7%올라 밥상 물가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개별 농가들이 수요 공급을 조절하기란 쉽지 않죠.

농산물 가격 안정을 위한 국가차원의 대책이 필요해보입니다.

지금까지 뉴스 픽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