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신브리핑] 광산구, ‘광산구 홍보파트너’ 33명 위촉 외

입력 2021.03.16 (07:47) 수정 2021.03.16 (09: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광주 광산구가 광산구의 정책과 공연 그리고 관광정보 등을 SNS와 유튜브에서 홍보하는 '광산구 홍보파트너' 33명을 위촉했습니다.

올 연말까지 활동할 예정인 홍보파트너는 10대에서 70대까지 회사원과 학생 등 다양한 계층으로 구성됐고 시민의 눈높이에 맞는 내용들이 많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동구 평생 학습관’ 개관…사회참여 기회 확대

광주 동구 주민들의 새로운 배움터 역할을 하게 될 평생학습 거점시설인 '동구평생학습관'이 문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습니다.

'동구평생학습관'은 세대별 특화프로그램 운영과 코로나 상황에 대비한 비대면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평생학습 자기계발을 통해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사회참여 기회를 확대할 예정입니다.

‘진도 농수특산물 명품관 판매장’ 재개관

지역의 청정 농수특산물 판매장인 진도 명품관 판매장이 매장을 새롭게 단장하고 재개관했습니다.

이번에 재개관한 판매장에는 기존의 전복과 미역 등 진도의 농수특산품 판매는 물론 청년 농어부와 귀농인 등이 직접 생산·가공한 432개 품목도 진열 및 판매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여수시, 치매 어르신 센터 ‘지혜마루’ 운영

여수시가 초고령화 사회에 발맞춰 건립한 치매 어르신 주·야간 보호센터 ‘지혜마루’가 개원식을 갖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습니다.

지혜마루는 치매 어르신과 일반 어르신 45명의 입소가 가능하고 치매 어르신의 인지·신체 기능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단신 브리핑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신브리핑] 광산구, ‘광산구 홍보파트너’ 33명 위촉 외
    • 입력 2021-03-16 07:47:50
    • 수정2021-03-16 09:03:28
    뉴스광장(광주)
광주 광산구가 광산구의 정책과 공연 그리고 관광정보 등을 SNS와 유튜브에서 홍보하는 '광산구 홍보파트너' 33명을 위촉했습니다.

올 연말까지 활동할 예정인 홍보파트너는 10대에서 70대까지 회사원과 학생 등 다양한 계층으로 구성됐고 시민의 눈높이에 맞는 내용들이 많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동구 평생 학습관’ 개관…사회참여 기회 확대

광주 동구 주민들의 새로운 배움터 역할을 하게 될 평생학습 거점시설인 '동구평생학습관'이 문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습니다.

'동구평생학습관'은 세대별 특화프로그램 운영과 코로나 상황에 대비한 비대면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평생학습 자기계발을 통해 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사회참여 기회를 확대할 예정입니다.

‘진도 농수특산물 명품관 판매장’ 재개관

지역의 청정 농수특산물 판매장인 진도 명품관 판매장이 매장을 새롭게 단장하고 재개관했습니다.

이번에 재개관한 판매장에는 기존의 전복과 미역 등 진도의 농수특산품 판매는 물론 청년 농어부와 귀농인 등이 직접 생산·가공한 432개 품목도 진열 및 판매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여수시, 치매 어르신 센터 ‘지혜마루’ 운영

여수시가 초고령화 사회에 발맞춰 건립한 치매 어르신 주·야간 보호센터 ‘지혜마루’가 개원식을 갖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습니다.

지혜마루는 치매 어르신과 일반 어르신 45명의 입소가 가능하고 치매 어르신의 인지·신체 기능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단신 브리핑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