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신규 확진자 이틀째 300명대…백신 접종 60만 2천여 명
입력 2021.03.16 (14:07)
수정 2021.03.16 (14: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오늘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63명으로 이틀 연속 300명대로 집계됐습니다.
전국 곳곳에서 집단감염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제 백신 접종자는 누적 60만 2,000명을 넘었습니다.
재난방송센터 연결합니다.
신방실 기자, 오늘 발표된 확진자 현황부터 정리해주시죠.
[기자]
네, 하루만에 신규 확진자 수가 363명 늘었습니다.
전날보다 19명이 줄면서 이틀째 300명대를 이어갔는데요.
위중증 환자는 4명, 사망자는 3명 늘었습니다.
신규 확진자 분포를 지역별로 보겠습니다.
경기도가 146명으로 가장 많고요, 서울 75명 등 수도권에 지역 발생 확진자의 68%가 집중됐습니다.
수도권의 비율이 70% 아래로 떨어진 건 비수도권의 확진자가 늘었기 때문인데요.
경남지역에선 진주의 목욕탕 관련 확진자가 많이 나오면서, 전날보다 2배 이상 많은 64명의 확진자가 나왔습니다.
최근 하루 확진자 수가 300~400명대에서 정체하는 가운데 전국 곳곳에서 집단발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주요 현황을 보면, 음식점과 목욕탕 등 일상 속 다중이용시설에서 확진자가 계속 추가되고 있고요.
병원과 어린이집, 사업체에서도 꾸준히 확진자가 나오고 있는데 잠시 후 새로운 집계가 발표됩니다.
방역당국은 개학과 봄철 여행 등으로 이동량과 접촉이 증가하고 있다며 다시 경각심을 가져달라고 강조했습니다.
[앵커]
3월 등교 개학과 함께 학생들 사이에서 집단감염이 나오는 거 아닐까 우려했는데, 현재 상황이 어떤가요?
[기자]
네, 방역당국이 관련 분석 결과를 어제 발표했습니다.
올들어 18세 이하 유아나 어린이, 청소년이 확진된 사례는 모두 3,507건으로 전체의 11%를 차지했습니다.
보고된 집단감염은 모두 26건으로, 어린이집과 유치원이 13건, 학원 8건 등이었습니다.
국내에서 확진된 외국인의 비율 통계도 나왔는데요. 지난 설 연휴를 기점으로 증가세입니다.
3월 첫째주엔 14.4%까지 높아졌는데, 산업단지 등이 밀집돼 있는 충청과 경기, 인천 등지에서 외국인 확진자들이 집중적으로 나왔습니다.
정부는 외국인 밀집지역에서 선제 검사를 강화하고 있지만, 작업환경이 밀집, 밀접, 밀폐 등 이른바 '3밀' 조건이어서 추가 감염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예방접종 건수를 살펴보면, 이제 누적 접종자 수는 60만 2,000명을 넘었습니다.
인구 대비 접종률은 1.16%로 집계됐는데요.
접종 후 이상 반응 신고 가운데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는 77건, 중증 의심 사례는 8건으로 각각 1건씩 늘었습니다.
또 지금까지 사망 신고 사례는 총 16건으로 방역 당국이 백신 접종과의 인과관계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 계획이 나왔습니다.
다음 달 75세 이상 고령층, 또 유치원과 학교의 보건교사 등을 시작으로 상반기 안에 순차적으로 1,200만 명이 1차 접종을 마친다는 내용인데요.
집단면역 형성까지는 시간이 많이 남은 만큼 거리두기의 원칙을 계속 지켜야겠습니다.
지금까지 재난방송센터에서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그래픽:최유현
오늘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63명으로 이틀 연속 300명대로 집계됐습니다.
전국 곳곳에서 집단감염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제 백신 접종자는 누적 60만 2,000명을 넘었습니다.
재난방송센터 연결합니다.
신방실 기자, 오늘 발표된 확진자 현황부터 정리해주시죠.
[기자]
네, 하루만에 신규 확진자 수가 363명 늘었습니다.
전날보다 19명이 줄면서 이틀째 300명대를 이어갔는데요.
위중증 환자는 4명, 사망자는 3명 늘었습니다.
신규 확진자 분포를 지역별로 보겠습니다.
경기도가 146명으로 가장 많고요, 서울 75명 등 수도권에 지역 발생 확진자의 68%가 집중됐습니다.
수도권의 비율이 70% 아래로 떨어진 건 비수도권의 확진자가 늘었기 때문인데요.
경남지역에선 진주의 목욕탕 관련 확진자가 많이 나오면서, 전날보다 2배 이상 많은 64명의 확진자가 나왔습니다.
최근 하루 확진자 수가 300~400명대에서 정체하는 가운데 전국 곳곳에서 집단발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주요 현황을 보면, 음식점과 목욕탕 등 일상 속 다중이용시설에서 확진자가 계속 추가되고 있고요.
병원과 어린이집, 사업체에서도 꾸준히 확진자가 나오고 있는데 잠시 후 새로운 집계가 발표됩니다.
방역당국은 개학과 봄철 여행 등으로 이동량과 접촉이 증가하고 있다며 다시 경각심을 가져달라고 강조했습니다.
[앵커]
3월 등교 개학과 함께 학생들 사이에서 집단감염이 나오는 거 아닐까 우려했는데, 현재 상황이 어떤가요?
[기자]
네, 방역당국이 관련 분석 결과를 어제 발표했습니다.
올들어 18세 이하 유아나 어린이, 청소년이 확진된 사례는 모두 3,507건으로 전체의 11%를 차지했습니다.
보고된 집단감염은 모두 26건으로, 어린이집과 유치원이 13건, 학원 8건 등이었습니다.
국내에서 확진된 외국인의 비율 통계도 나왔는데요. 지난 설 연휴를 기점으로 증가세입니다.
3월 첫째주엔 14.4%까지 높아졌는데, 산업단지 등이 밀집돼 있는 충청과 경기, 인천 등지에서 외국인 확진자들이 집중적으로 나왔습니다.
정부는 외국인 밀집지역에서 선제 검사를 강화하고 있지만, 작업환경이 밀집, 밀접, 밀폐 등 이른바 '3밀' 조건이어서 추가 감염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예방접종 건수를 살펴보면, 이제 누적 접종자 수는 60만 2,000명을 넘었습니다.
인구 대비 접종률은 1.16%로 집계됐는데요.
접종 후 이상 반응 신고 가운데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는 77건, 중증 의심 사례는 8건으로 각각 1건씩 늘었습니다.
또 지금까지 사망 신고 사례는 총 16건으로 방역 당국이 백신 접종과의 인과관계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 계획이 나왔습니다.
다음 달 75세 이상 고령층, 또 유치원과 학교의 보건교사 등을 시작으로 상반기 안에 순차적으로 1,200만 명이 1차 접종을 마친다는 내용인데요.
집단면역 형성까지는 시간이 많이 남은 만큼 거리두기의 원칙을 계속 지켜야겠습니다.
지금까지 재난방송센터에서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그래픽:최유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코로나 신규 확진자 이틀째 300명대…백신 접종 60만 2천여 명
-
- 입력 2021-03-16 14:07:50
- 수정2021-03-16 14:18:14

[앵커]
오늘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63명으로 이틀 연속 300명대로 집계됐습니다.
전국 곳곳에서 집단감염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제 백신 접종자는 누적 60만 2,000명을 넘었습니다.
재난방송센터 연결합니다.
신방실 기자, 오늘 발표된 확진자 현황부터 정리해주시죠.
[기자]
네, 하루만에 신규 확진자 수가 363명 늘었습니다.
전날보다 19명이 줄면서 이틀째 300명대를 이어갔는데요.
위중증 환자는 4명, 사망자는 3명 늘었습니다.
신규 확진자 분포를 지역별로 보겠습니다.
경기도가 146명으로 가장 많고요, 서울 75명 등 수도권에 지역 발생 확진자의 68%가 집중됐습니다.
수도권의 비율이 70% 아래로 떨어진 건 비수도권의 확진자가 늘었기 때문인데요.
경남지역에선 진주의 목욕탕 관련 확진자가 많이 나오면서, 전날보다 2배 이상 많은 64명의 확진자가 나왔습니다.
최근 하루 확진자 수가 300~400명대에서 정체하는 가운데 전국 곳곳에서 집단발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주요 현황을 보면, 음식점과 목욕탕 등 일상 속 다중이용시설에서 확진자가 계속 추가되고 있고요.
병원과 어린이집, 사업체에서도 꾸준히 확진자가 나오고 있는데 잠시 후 새로운 집계가 발표됩니다.
방역당국은 개학과 봄철 여행 등으로 이동량과 접촉이 증가하고 있다며 다시 경각심을 가져달라고 강조했습니다.
[앵커]
3월 등교 개학과 함께 학생들 사이에서 집단감염이 나오는 거 아닐까 우려했는데, 현재 상황이 어떤가요?
[기자]
네, 방역당국이 관련 분석 결과를 어제 발표했습니다.
올들어 18세 이하 유아나 어린이, 청소년이 확진된 사례는 모두 3,507건으로 전체의 11%를 차지했습니다.
보고된 집단감염은 모두 26건으로, 어린이집과 유치원이 13건, 학원 8건 등이었습니다.
국내에서 확진된 외국인의 비율 통계도 나왔는데요. 지난 설 연휴를 기점으로 증가세입니다.
3월 첫째주엔 14.4%까지 높아졌는데, 산업단지 등이 밀집돼 있는 충청과 경기, 인천 등지에서 외국인 확진자들이 집중적으로 나왔습니다.
정부는 외국인 밀집지역에서 선제 검사를 강화하고 있지만, 작업환경이 밀집, 밀접, 밀폐 등 이른바 '3밀' 조건이어서 추가 감염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예방접종 건수를 살펴보면, 이제 누적 접종자 수는 60만 2,000명을 넘었습니다.
인구 대비 접종률은 1.16%로 집계됐는데요.
접종 후 이상 반응 신고 가운데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는 77건, 중증 의심 사례는 8건으로 각각 1건씩 늘었습니다.
또 지금까지 사망 신고 사례는 총 16건으로 방역 당국이 백신 접종과의 인과관계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 계획이 나왔습니다.
다음 달 75세 이상 고령층, 또 유치원과 학교의 보건교사 등을 시작으로 상반기 안에 순차적으로 1,200만 명이 1차 접종을 마친다는 내용인데요.
집단면역 형성까지는 시간이 많이 남은 만큼 거리두기의 원칙을 계속 지켜야겠습니다.
지금까지 재난방송센터에서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그래픽:최유현
오늘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63명으로 이틀 연속 300명대로 집계됐습니다.
전국 곳곳에서 집단감염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제 백신 접종자는 누적 60만 2,000명을 넘었습니다.
재난방송센터 연결합니다.
신방실 기자, 오늘 발표된 확진자 현황부터 정리해주시죠.
[기자]
네, 하루만에 신규 확진자 수가 363명 늘었습니다.
전날보다 19명이 줄면서 이틀째 300명대를 이어갔는데요.
위중증 환자는 4명, 사망자는 3명 늘었습니다.
신규 확진자 분포를 지역별로 보겠습니다.
경기도가 146명으로 가장 많고요, 서울 75명 등 수도권에 지역 발생 확진자의 68%가 집중됐습니다.
수도권의 비율이 70% 아래로 떨어진 건 비수도권의 확진자가 늘었기 때문인데요.
경남지역에선 진주의 목욕탕 관련 확진자가 많이 나오면서, 전날보다 2배 이상 많은 64명의 확진자가 나왔습니다.
최근 하루 확진자 수가 300~400명대에서 정체하는 가운데 전국 곳곳에서 집단발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주요 현황을 보면, 음식점과 목욕탕 등 일상 속 다중이용시설에서 확진자가 계속 추가되고 있고요.
병원과 어린이집, 사업체에서도 꾸준히 확진자가 나오고 있는데 잠시 후 새로운 집계가 발표됩니다.
방역당국은 개학과 봄철 여행 등으로 이동량과 접촉이 증가하고 있다며 다시 경각심을 가져달라고 강조했습니다.
[앵커]
3월 등교 개학과 함께 학생들 사이에서 집단감염이 나오는 거 아닐까 우려했는데, 현재 상황이 어떤가요?
[기자]
네, 방역당국이 관련 분석 결과를 어제 발표했습니다.
올들어 18세 이하 유아나 어린이, 청소년이 확진된 사례는 모두 3,507건으로 전체의 11%를 차지했습니다.
보고된 집단감염은 모두 26건으로, 어린이집과 유치원이 13건, 학원 8건 등이었습니다.
국내에서 확진된 외국인의 비율 통계도 나왔는데요. 지난 설 연휴를 기점으로 증가세입니다.
3월 첫째주엔 14.4%까지 높아졌는데, 산업단지 등이 밀집돼 있는 충청과 경기, 인천 등지에서 외국인 확진자들이 집중적으로 나왔습니다.
정부는 외국인 밀집지역에서 선제 검사를 강화하고 있지만, 작업환경이 밀집, 밀접, 밀폐 등 이른바 '3밀' 조건이어서 추가 감염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예방접종 건수를 살펴보면, 이제 누적 접종자 수는 60만 2,000명을 넘었습니다.
인구 대비 접종률은 1.16%로 집계됐는데요.
접종 후 이상 반응 신고 가운데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는 77건, 중증 의심 사례는 8건으로 각각 1건씩 늘었습니다.
또 지금까지 사망 신고 사례는 총 16건으로 방역 당국이 백신 접종과의 인과관계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 계획이 나왔습니다.
다음 달 75세 이상 고령층, 또 유치원과 학교의 보건교사 등을 시작으로 상반기 안에 순차적으로 1,200만 명이 1차 접종을 마친다는 내용인데요.
집단면역 형성까지는 시간이 많이 남은 만큼 거리두기의 원칙을 계속 지켜야겠습니다.
지금까지 재난방송센터에서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그래픽:최유현
-
-
신방실 기자 weezer@kbs.co.kr
신방실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