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기 의혹’ 부산 대저지구…숨 죽인채 ‘전전긍긍’

입력 2021.03.16 (14: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 강서구 대저동 전경부산 강서구 대저동 전경
“이렇게 떠들어대는데 누가 사겠어요.”

정부가 공공택지 개발 예정지로 지정한 부산 대저지구는 지금 그야말로 ‘적막강산’ 입니다. 투기 의혹이 제기된 이후 부산시가 자체 조사에 착수하고, 경찰이 전담팀을 꾸려 수사를 예고한 지난주부터는 아예 납작 엎드린 채 숨죽이고 있는데요.

지역의 숙원이던 개발이 눈앞으로 다가왔지만 정작 웃을 수 없는 상황에 놓인 대저지구 일대를 돌아봤습니다.

■ 3.3㎡당 천만 원까지 치솟던 대저동…지금은 거래 ‘뚝’

대저지구 개발 예정지와 바로 맞닿은 지역으로 가봤습니다. 논밭이 주를 이루는 개발 예정지와 달리 소규모 공장과 창고가 늘어선 곳입니다. 건물 사이 비어있는 땅에는 쓰레기까지 나뒹굴어 주민들마저 이곳을 ‘난개발’ 지역이라고 표현할 정도인데요.

공장과 창고 등이 들어선 대저지구 개발 예정지 인근 지역공장과 창고 등이 들어선 대저지구 개발 예정지 인근 지역
지난 달 만해도 이 일대 땅값이 3.3㎡당 최대 천만 원을 호가했습니다. 근처 한 공인중개사는 “평소라면 이렇게까지 비싸게 거래될 이유가 없다.” 며 “개발 정보를 미리 알았는지는 모르겠지만, 정부 발표 전에 토지를 선점한 사람들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이 일대 토지 거래는 뚝 끊긴 상태입니다. 내놨던 매물도 모두 거둬들이고 있다는데요. 실수요자가 아니면 토지 거래에 제한을 받는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영향도 있지만, 요즘 분위기상 선뜻 사려고 나서는 사람도 없다는 게 공인중개사들의 이야기입니다.

혹시 거래되고 있는 매물이 있느냐는 질문에 한 공인중개사는 “살 사람이 없는데 매물이 있을리가 있나. 이렇게 떠들어대는데 돈 좀 벌어보려다 자금 추적 나오고 하면 골치만 아파진다.”고 말했습니다.

■ 보상 제대로 못 받을까 ‘전전긍긍’…‘또 개발 취소?’ 낙담도

이번에는 왕복 2차선 도로를 건너 공공택지 개발 예정 지역으로 향했습니다.

수십 년 간 이곳에서 터를 잡고 농사를 지은 농민들은 대저지구가 ‘투기 지역’으로 변했다는 사실에 망연자실하고 있는데요. 개발이 본격화되면 보상을 받고 떠나야 하는 처지인데, 여론이 악화해 보상마저 제대로 받지 못할까 걱정된다는 겁니다.
부산 강서구 대저동에서 6년 째 농사를 짓고있는 농민부산 강서구 대저동에서 6년 째 농사를 짓고있는 농민
한 농민은 “실제로 돈을 버는 건 외지인들이고 우리는 손해를 떠안아야 할 상황인데 분위기가 이렇다 보니 나중에 보상금이라도 제대로 받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며 답답한 심정을 토로하기도 했습니다.

사태가 점입가경으로 치닫다 보니, 정부가 개발 계획을 아예 취소하는 건 아닐까 하는 우려도 벌써 나오고 있습니다. 대저지구는 여러 차례 개발 계획이 추진됐다가 무산된 경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강서구청 인근의 한 가게 주인은 “주민들은 이제 개발 발표에도 감흥이 없다. 언제 또 없던 일이 될지 모르기 때문이다.”라며 “이번에도 투기 의혹이 제대로 풀리지 않으면 개발이 쉽지 않을 것 같다.”고 쓴웃음을 지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투기 의혹’ 부산 대저지구…숨 죽인채 ‘전전긍긍’
    • 입력 2021-03-16 14:53:40
    취재K
부산 강서구 대저동 전경 “이렇게 떠들어대는데 누가 사겠어요.”

정부가 공공택지 개발 예정지로 지정한 부산 대저지구는 지금 그야말로 ‘적막강산’ 입니다. 투기 의혹이 제기된 이후 부산시가 자체 조사에 착수하고, 경찰이 전담팀을 꾸려 수사를 예고한 지난주부터는 아예 납작 엎드린 채 숨죽이고 있는데요.

지역의 숙원이던 개발이 눈앞으로 다가왔지만 정작 웃을 수 없는 상황에 놓인 대저지구 일대를 돌아봤습니다.

■ 3.3㎡당 천만 원까지 치솟던 대저동…지금은 거래 ‘뚝’

대저지구 개발 예정지와 바로 맞닿은 지역으로 가봤습니다. 논밭이 주를 이루는 개발 예정지와 달리 소규모 공장과 창고가 늘어선 곳입니다. 건물 사이 비어있는 땅에는 쓰레기까지 나뒹굴어 주민들마저 이곳을 ‘난개발’ 지역이라고 표현할 정도인데요.

공장과 창고 등이 들어선 대저지구 개발 예정지 인근 지역 지난 달 만해도 이 일대 땅값이 3.3㎡당 최대 천만 원을 호가했습니다. 근처 한 공인중개사는 “평소라면 이렇게까지 비싸게 거래될 이유가 없다.” 며 “개발 정보를 미리 알았는지는 모르겠지만, 정부 발표 전에 토지를 선점한 사람들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이 일대 토지 거래는 뚝 끊긴 상태입니다. 내놨던 매물도 모두 거둬들이고 있다는데요. 실수요자가 아니면 토지 거래에 제한을 받는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영향도 있지만, 요즘 분위기상 선뜻 사려고 나서는 사람도 없다는 게 공인중개사들의 이야기입니다.

혹시 거래되고 있는 매물이 있느냐는 질문에 한 공인중개사는 “살 사람이 없는데 매물이 있을리가 있나. 이렇게 떠들어대는데 돈 좀 벌어보려다 자금 추적 나오고 하면 골치만 아파진다.”고 말했습니다.

■ 보상 제대로 못 받을까 ‘전전긍긍’…‘또 개발 취소?’ 낙담도

이번에는 왕복 2차선 도로를 건너 공공택지 개발 예정 지역으로 향했습니다.

수십 년 간 이곳에서 터를 잡고 농사를 지은 농민들은 대저지구가 ‘투기 지역’으로 변했다는 사실에 망연자실하고 있는데요. 개발이 본격화되면 보상을 받고 떠나야 하는 처지인데, 여론이 악화해 보상마저 제대로 받지 못할까 걱정된다는 겁니다.
부산 강서구 대저동에서 6년 째 농사를 짓고있는 농민한 농민은 “실제로 돈을 버는 건 외지인들이고 우리는 손해를 떠안아야 할 상황인데 분위기가 이렇다 보니 나중에 보상금이라도 제대로 받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며 답답한 심정을 토로하기도 했습니다.

사태가 점입가경으로 치닫다 보니, 정부가 개발 계획을 아예 취소하는 건 아닐까 하는 우려도 벌써 나오고 있습니다. 대저지구는 여러 차례 개발 계획이 추진됐다가 무산된 경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강서구청 인근의 한 가게 주인은 “주민들은 이제 개발 발표에도 감흥이 없다. 언제 또 없던 일이 될지 모르기 때문이다.”라며 “이번에도 투기 의혹이 제대로 풀리지 않으면 개발이 쉽지 않을 것 같다.”고 쓴웃음을 지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