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에즈 선박 좌초 나흘째…“통행 재개에 최소 2주 걸려”
입력 2021.03.27 (00:03)
수정 2021.03.27 (00: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변에 밀려온 거대한 고래 같다".
이집트 수에즈 운하에 좌초된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 '에버 기븐호'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벌써 나흘짼데요.
보시는 것처럼 수로를 완전히 가로막으면서 물류대란이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가이 플래튼/국제해운협회 사무총장 :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는 화물이 하루에 약 30억 달러 규모입니다. 한해 약 18,000척 선박이 오가는데요. 이렇게 컨테이너가 가로막고 있으니 세계 무역 흐름이 차단된 거죠."]
운하 양쪽에는 180여 척 선박들의 발이 묶인 상탠데요, 운하 통행이 재개되려면 최소 2주는 걸릴 것으로 보여 운송 지연에 따른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습니다.
일부 화물선과 유조선은 뱃머리를 돌려 남아프리카공화국 희망봉으로 우회를 결정하고 있는데요.
이 경우, 항해 노선이 9천 킬로미터 늘면서 연료비만 3억 원이 넘고 운송 기간도 1주일 이상 더 걸리지만, 불투명한 통행 재개를 기다리는 것보다 추가 부담을 지는 게 낫다고 판단한 겁니다.
[코닝스/국제무역 경제학자 : "지난해 코로나 여파가 지속되고 있는데요. 실제 보시는 것처럼 국제무역이 한번 붕괴되면 회복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죠."]
강풍에 좌초된 것으로 추정되는 '에버 기븐호'는 여덟 척의 예인선을 동원해서 배를 돌리는 작업을 하고 있지만 2만여 개의 컨테이너가 실려있는데다
제방 모래 2만 제곱미터도 제거해야 해서 사고 수습에 난항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이집트 수에즈 운하에 좌초된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 '에버 기븐호'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벌써 나흘짼데요.
보시는 것처럼 수로를 완전히 가로막으면서 물류대란이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가이 플래튼/국제해운협회 사무총장 :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는 화물이 하루에 약 30억 달러 규모입니다. 한해 약 18,000척 선박이 오가는데요. 이렇게 컨테이너가 가로막고 있으니 세계 무역 흐름이 차단된 거죠."]
운하 양쪽에는 180여 척 선박들의 발이 묶인 상탠데요, 운하 통행이 재개되려면 최소 2주는 걸릴 것으로 보여 운송 지연에 따른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습니다.
일부 화물선과 유조선은 뱃머리를 돌려 남아프리카공화국 희망봉으로 우회를 결정하고 있는데요.
이 경우, 항해 노선이 9천 킬로미터 늘면서 연료비만 3억 원이 넘고 운송 기간도 1주일 이상 더 걸리지만, 불투명한 통행 재개를 기다리는 것보다 추가 부담을 지는 게 낫다고 판단한 겁니다.
[코닝스/국제무역 경제학자 : "지난해 코로나 여파가 지속되고 있는데요. 실제 보시는 것처럼 국제무역이 한번 붕괴되면 회복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죠."]
강풍에 좌초된 것으로 추정되는 '에버 기븐호'는 여덟 척의 예인선을 동원해서 배를 돌리는 작업을 하고 있지만 2만여 개의 컨테이너가 실려있는데다
제방 모래 2만 제곱미터도 제거해야 해서 사고 수습에 난항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에즈 선박 좌초 나흘째…“통행 재개에 최소 2주 걸려”
-
- 입력 2021-03-27 00:03:19
- 수정2021-03-27 00:09:34

"해변에 밀려온 거대한 고래 같다".
이집트 수에즈 운하에 좌초된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 '에버 기븐호'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벌써 나흘짼데요.
보시는 것처럼 수로를 완전히 가로막으면서 물류대란이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가이 플래튼/국제해운협회 사무총장 :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는 화물이 하루에 약 30억 달러 규모입니다. 한해 약 18,000척 선박이 오가는데요. 이렇게 컨테이너가 가로막고 있으니 세계 무역 흐름이 차단된 거죠."]
운하 양쪽에는 180여 척 선박들의 발이 묶인 상탠데요, 운하 통행이 재개되려면 최소 2주는 걸릴 것으로 보여 운송 지연에 따른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습니다.
일부 화물선과 유조선은 뱃머리를 돌려 남아프리카공화국 희망봉으로 우회를 결정하고 있는데요.
이 경우, 항해 노선이 9천 킬로미터 늘면서 연료비만 3억 원이 넘고 운송 기간도 1주일 이상 더 걸리지만, 불투명한 통행 재개를 기다리는 것보다 추가 부담을 지는 게 낫다고 판단한 겁니다.
[코닝스/국제무역 경제학자 : "지난해 코로나 여파가 지속되고 있는데요. 실제 보시는 것처럼 국제무역이 한번 붕괴되면 회복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죠."]
강풍에 좌초된 것으로 추정되는 '에버 기븐호'는 여덟 척의 예인선을 동원해서 배를 돌리는 작업을 하고 있지만 2만여 개의 컨테이너가 실려있는데다
제방 모래 2만 제곱미터도 제거해야 해서 사고 수습에 난항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이집트 수에즈 운하에 좌초된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 '에버 기븐호'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벌써 나흘짼데요.
보시는 것처럼 수로를 완전히 가로막으면서 물류대란이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가이 플래튼/국제해운협회 사무총장 :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는 화물이 하루에 약 30억 달러 규모입니다. 한해 약 18,000척 선박이 오가는데요. 이렇게 컨테이너가 가로막고 있으니 세계 무역 흐름이 차단된 거죠."]
운하 양쪽에는 180여 척 선박들의 발이 묶인 상탠데요, 운하 통행이 재개되려면 최소 2주는 걸릴 것으로 보여 운송 지연에 따른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습니다.
일부 화물선과 유조선은 뱃머리를 돌려 남아프리카공화국 희망봉으로 우회를 결정하고 있는데요.
이 경우, 항해 노선이 9천 킬로미터 늘면서 연료비만 3억 원이 넘고 운송 기간도 1주일 이상 더 걸리지만, 불투명한 통행 재개를 기다리는 것보다 추가 부담을 지는 게 낫다고 판단한 겁니다.
[코닝스/국제무역 경제학자 : "지난해 코로나 여파가 지속되고 있는데요. 실제 보시는 것처럼 국제무역이 한번 붕괴되면 회복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죠."]
강풍에 좌초된 것으로 추정되는 '에버 기븐호'는 여덟 척의 예인선을 동원해서 배를 돌리는 작업을 하고 있지만 2만여 개의 컨테이너가 실려있는데다
제방 모래 2만 제곱미터도 제거해야 해서 사고 수습에 난항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