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약검증K]⑪ ‘단어’로 본 여야 선거 전략은?
입력 2021.04.06 (07:58)
수정 2021.04.06 (08: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부산시장 후보들의 공약을 '키워드'로 비교·분석하는 공약검증 K, 오늘은 마지막으로, 후보들의 선거 전략을 '단어'로 살펴봅니다.
KBS는 이번 보궐선거 기간 여야 후보가 어떤 단어를 가장 많이 썼는지 분석했는데요.
그 속엔 어떤 전략이 담겨 있을까요?
노준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5개월 간 여야 후보들은 출마 선언부터 당내 경선, 또 공식 선거운동에 이르기까지, 연설과 TV토론, 유세 등을 통해 시민들을 만났습니다.
김영춘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가장 많이 쓴 단어는 '경제'입니다. 모두 62차례, 압도적으로 많이 썼습니다.
이와 함께 '꿈' 31차례, '싱가포르'와 '위기'도 20여 차례 사용했습니다.
위기의 부산 경제를 바꿔놓을 적임자, 힘 있고 안정적인 여당 후보임을 강조한 전략과 맥이 닿아 있습니다.
[김영춘/더불어민주당 부산시장 후보 : "부산 경제를 다시 살리는 위기 해결사가 되겠다는, 그런 꿈을 부산시민들과 함께 꾸고…."]
국민의힘 박형준 후보가 가장 많이 쓴 단어는 '혁신'과 '대한민국'이었습니다. 모두 50차례씩 썼습니다.
다음으로 '대학' 42차례 '일'을 28차례 사용했습니다.
중도개혁층 표심을 흡수하기 위해 대한민국의 혁신적 일꾼을 뽑아야 한다는 전략이 담긴 것으로 풀이됩니다.
[박형준/국민의힘 부산시장 후보 : "대한민국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부산에 혁신의 바람을 새로 주입하는 선거로 만들어주시기를!"]
네거티브 공방이 치열한 이번 선거. 부정적 단어도 살펴봤습니다.
경쟁 후보를 견제할 때, 김영춘·박형준 후보는 순서대로 '땅', '부동산', '의혹'을 똑같이 많이 언급했습니다.
두 후보 모두 가족과 친인척의 '부 동산 투기 의혹'을 집중적으로 제기했기 때문입니다.
KBS가 분석한 두 후보의 단어는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된 지난해 12월부터 각 후보 출마선언문과 공천 수락 연설문, 출정식 연설문, 세차례 TV토론 연설, 기자회견문 등입니다.
분석은 단어 정형화에 '보이언트 툴즈'와 명사 추출에 '라이노' 프로그램을 썼으며 분석 단어 중 대명사와 조사, 호칭 등은 제외했습니다.
KBS 뉴스 노준철입니다.
촬영기자:류석민/영상편집:김종수
부산시장 후보들의 공약을 '키워드'로 비교·분석하는 공약검증 K, 오늘은 마지막으로, 후보들의 선거 전략을 '단어'로 살펴봅니다.
KBS는 이번 보궐선거 기간 여야 후보가 어떤 단어를 가장 많이 썼는지 분석했는데요.
그 속엔 어떤 전략이 담겨 있을까요?
노준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5개월 간 여야 후보들은 출마 선언부터 당내 경선, 또 공식 선거운동에 이르기까지, 연설과 TV토론, 유세 등을 통해 시민들을 만났습니다.
김영춘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가장 많이 쓴 단어는 '경제'입니다. 모두 62차례, 압도적으로 많이 썼습니다.
이와 함께 '꿈' 31차례, '싱가포르'와 '위기'도 20여 차례 사용했습니다.
위기의 부산 경제를 바꿔놓을 적임자, 힘 있고 안정적인 여당 후보임을 강조한 전략과 맥이 닿아 있습니다.
[김영춘/더불어민주당 부산시장 후보 : "부산 경제를 다시 살리는 위기 해결사가 되겠다는, 그런 꿈을 부산시민들과 함께 꾸고…."]
국민의힘 박형준 후보가 가장 많이 쓴 단어는 '혁신'과 '대한민국'이었습니다. 모두 50차례씩 썼습니다.
다음으로 '대학' 42차례 '일'을 28차례 사용했습니다.
중도개혁층 표심을 흡수하기 위해 대한민국의 혁신적 일꾼을 뽑아야 한다는 전략이 담긴 것으로 풀이됩니다.
[박형준/국민의힘 부산시장 후보 : "대한민국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부산에 혁신의 바람을 새로 주입하는 선거로 만들어주시기를!"]
네거티브 공방이 치열한 이번 선거. 부정적 단어도 살펴봤습니다.
경쟁 후보를 견제할 때, 김영춘·박형준 후보는 순서대로 '땅', '부동산', '의혹'을 똑같이 많이 언급했습니다.
두 후보 모두 가족과 친인척의 '부 동산 투기 의혹'을 집중적으로 제기했기 때문입니다.
KBS가 분석한 두 후보의 단어는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된 지난해 12월부터 각 후보 출마선언문과 공천 수락 연설문, 출정식 연설문, 세차례 TV토론 연설, 기자회견문 등입니다.
분석은 단어 정형화에 '보이언트 툴즈'와 명사 추출에 '라이노' 프로그램을 썼으며 분석 단어 중 대명사와 조사, 호칭 등은 제외했습니다.
KBS 뉴스 노준철입니다.
촬영기자:류석민/영상편집:김종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약검증K]⑪ ‘단어’로 본 여야 선거 전략은?
-
- 입력 2021-04-06 07:58:02
- 수정2021-04-06 08:41:23

[앵커]
부산시장 후보들의 공약을 '키워드'로 비교·분석하는 공약검증 K, 오늘은 마지막으로, 후보들의 선거 전략을 '단어'로 살펴봅니다.
KBS는 이번 보궐선거 기간 여야 후보가 어떤 단어를 가장 많이 썼는지 분석했는데요.
그 속엔 어떤 전략이 담겨 있을까요?
노준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5개월 간 여야 후보들은 출마 선언부터 당내 경선, 또 공식 선거운동에 이르기까지, 연설과 TV토론, 유세 등을 통해 시민들을 만났습니다.
김영춘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가장 많이 쓴 단어는 '경제'입니다. 모두 62차례, 압도적으로 많이 썼습니다.
이와 함께 '꿈' 31차례, '싱가포르'와 '위기'도 20여 차례 사용했습니다.
위기의 부산 경제를 바꿔놓을 적임자, 힘 있고 안정적인 여당 후보임을 강조한 전략과 맥이 닿아 있습니다.
[김영춘/더불어민주당 부산시장 후보 : "부산 경제를 다시 살리는 위기 해결사가 되겠다는, 그런 꿈을 부산시민들과 함께 꾸고…."]
국민의힘 박형준 후보가 가장 많이 쓴 단어는 '혁신'과 '대한민국'이었습니다. 모두 50차례씩 썼습니다.
다음으로 '대학' 42차례 '일'을 28차례 사용했습니다.
중도개혁층 표심을 흡수하기 위해 대한민국의 혁신적 일꾼을 뽑아야 한다는 전략이 담긴 것으로 풀이됩니다.
[박형준/국민의힘 부산시장 후보 : "대한민국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부산에 혁신의 바람을 새로 주입하는 선거로 만들어주시기를!"]
네거티브 공방이 치열한 이번 선거. 부정적 단어도 살펴봤습니다.
경쟁 후보를 견제할 때, 김영춘·박형준 후보는 순서대로 '땅', '부동산', '의혹'을 똑같이 많이 언급했습니다.
두 후보 모두 가족과 친인척의 '부 동산 투기 의혹'을 집중적으로 제기했기 때문입니다.
KBS가 분석한 두 후보의 단어는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된 지난해 12월부터 각 후보 출마선언문과 공천 수락 연설문, 출정식 연설문, 세차례 TV토론 연설, 기자회견문 등입니다.
분석은 단어 정형화에 '보이언트 툴즈'와 명사 추출에 '라이노' 프로그램을 썼으며 분석 단어 중 대명사와 조사, 호칭 등은 제외했습니다.
KBS 뉴스 노준철입니다.
촬영기자:류석민/영상편집:김종수
부산시장 후보들의 공약을 '키워드'로 비교·분석하는 공약검증 K, 오늘은 마지막으로, 후보들의 선거 전략을 '단어'로 살펴봅니다.
KBS는 이번 보궐선거 기간 여야 후보가 어떤 단어를 가장 많이 썼는지 분석했는데요.
그 속엔 어떤 전략이 담겨 있을까요?
노준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5개월 간 여야 후보들은 출마 선언부터 당내 경선, 또 공식 선거운동에 이르기까지, 연설과 TV토론, 유세 등을 통해 시민들을 만났습니다.
김영춘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가장 많이 쓴 단어는 '경제'입니다. 모두 62차례, 압도적으로 많이 썼습니다.
이와 함께 '꿈' 31차례, '싱가포르'와 '위기'도 20여 차례 사용했습니다.
위기의 부산 경제를 바꿔놓을 적임자, 힘 있고 안정적인 여당 후보임을 강조한 전략과 맥이 닿아 있습니다.
[김영춘/더불어민주당 부산시장 후보 : "부산 경제를 다시 살리는 위기 해결사가 되겠다는, 그런 꿈을 부산시민들과 함께 꾸고…."]
국민의힘 박형준 후보가 가장 많이 쓴 단어는 '혁신'과 '대한민국'이었습니다. 모두 50차례씩 썼습니다.
다음으로 '대학' 42차례 '일'을 28차례 사용했습니다.
중도개혁층 표심을 흡수하기 위해 대한민국의 혁신적 일꾼을 뽑아야 한다는 전략이 담긴 것으로 풀이됩니다.
[박형준/국민의힘 부산시장 후보 : "대한민국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부산에 혁신의 바람을 새로 주입하는 선거로 만들어주시기를!"]
네거티브 공방이 치열한 이번 선거. 부정적 단어도 살펴봤습니다.
경쟁 후보를 견제할 때, 김영춘·박형준 후보는 순서대로 '땅', '부동산', '의혹'을 똑같이 많이 언급했습니다.
두 후보 모두 가족과 친인척의 '부 동산 투기 의혹'을 집중적으로 제기했기 때문입니다.
KBS가 분석한 두 후보의 단어는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된 지난해 12월부터 각 후보 출마선언문과 공천 수락 연설문, 출정식 연설문, 세차례 TV토론 연설, 기자회견문 등입니다.
분석은 단어 정형화에 '보이언트 툴즈'와 명사 추출에 '라이노' 프로그램을 썼으며 분석 단어 중 대명사와 조사, 호칭 등은 제외했습니다.
KBS 뉴스 노준철입니다.
촬영기자:류석민/영상편집:김종수
-
-
노준철 기자 argos@kbs.co.kr
노준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