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연구팀 “뇌 외상에 의한 뇌졸중 위험, 최장 5년 간다”
입력 2021.04.12 (09:38)
수정 2021.04.12 (09: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진탕으로 불리는 외상성 뇌 손상으로 인한 뇌졸중 위험은 최장 5년까지 지속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외상성 뇌 손상은 노인 낙상, 병영 내 사고, 스포츠 부상, 교통사고 등이 원인으로 세계적으로 매년 6천만 명이 겪고 있습니다.
영국 버밍엄 대학 응용 보건연구소의 그레이스 터너 박사 연구팀이 4개국에서 발표된 관련 연구 논문 18편의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가 10일 보도했습니다.
전체적으로 외상성 뇌 손상을 겪은 사람은 겪지 않은 사람보다 뇌졸중 발생률이 86%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뇌졸중 위험은 외상성 뇌 손상 발생 첫 4개월 동안이 가장 높으며 최장 5년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특히 중요한 사실은 이러한 뇌졸중 위험 상승이 외상성 뇌 손상의 중증도(severity)나 외상성 뇌 손상의 유형과 무관하게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이는 외상성 뇌 손상의 70~90%가 경증임을 감안할 때 주목할 만한 사실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외상성 뇌 손상은 노인 낙상, 병영 내 사고, 스포츠 부상, 교통사고 등이 원인으로 세계적으로 매년 6천만 명이 겪고 있습니다.
영국 버밍엄 대학 응용 보건연구소의 그레이스 터너 박사 연구팀이 4개국에서 발표된 관련 연구 논문 18편의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가 10일 보도했습니다.
전체적으로 외상성 뇌 손상을 겪은 사람은 겪지 않은 사람보다 뇌졸중 발생률이 86%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뇌졸중 위험은 외상성 뇌 손상 발생 첫 4개월 동안이 가장 높으며 최장 5년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특히 중요한 사실은 이러한 뇌졸중 위험 상승이 외상성 뇌 손상의 중증도(severity)나 외상성 뇌 손상의 유형과 무관하게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이는 외상성 뇌 손상의 70~90%가 경증임을 감안할 때 주목할 만한 사실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영국 연구팀 “뇌 외상에 의한 뇌졸중 위험, 최장 5년 간다”
-
- 입력 2021-04-12 09:38:38
- 수정2021-04-12 09:45:40

뇌진탕으로 불리는 외상성 뇌 손상으로 인한 뇌졸중 위험은 최장 5년까지 지속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외상성 뇌 손상은 노인 낙상, 병영 내 사고, 스포츠 부상, 교통사고 등이 원인으로 세계적으로 매년 6천만 명이 겪고 있습니다.
영국 버밍엄 대학 응용 보건연구소의 그레이스 터너 박사 연구팀이 4개국에서 발표된 관련 연구 논문 18편의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가 10일 보도했습니다.
전체적으로 외상성 뇌 손상을 겪은 사람은 겪지 않은 사람보다 뇌졸중 발생률이 86%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뇌졸중 위험은 외상성 뇌 손상 발생 첫 4개월 동안이 가장 높으며 최장 5년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특히 중요한 사실은 이러한 뇌졸중 위험 상승이 외상성 뇌 손상의 중증도(severity)나 외상성 뇌 손상의 유형과 무관하게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이는 외상성 뇌 손상의 70~90%가 경증임을 감안할 때 주목할 만한 사실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외상성 뇌 손상은 노인 낙상, 병영 내 사고, 스포츠 부상, 교통사고 등이 원인으로 세계적으로 매년 6천만 명이 겪고 있습니다.
영국 버밍엄 대학 응용 보건연구소의 그레이스 터너 박사 연구팀이 4개국에서 발표된 관련 연구 논문 18편의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가 10일 보도했습니다.
전체적으로 외상성 뇌 손상을 겪은 사람은 겪지 않은 사람보다 뇌졸중 발생률이 86%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뇌졸중 위험은 외상성 뇌 손상 발생 첫 4개월 동안이 가장 높으며 최장 5년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특히 중요한 사실은 이러한 뇌졸중 위험 상승이 외상성 뇌 손상의 중증도(severity)나 외상성 뇌 손상의 유형과 무관하게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이는 외상성 뇌 손상의 70~90%가 경증임을 감안할 때 주목할 만한 사실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
-
이동환 기자 leedong@kbs.co.kr
이동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