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중국은 안기다려”…반도체 패권 본격화

입력 2021.04.13 (21:46) 수정 2021.04.13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세계적인 반도체 부족 사태 속에서 백악관이 관련 기업들과 회의를 열었습니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 이 자리에서 반도체 분야에 공격적 투자를 하겠다며 중국을 견제하겠다는 뜻을 분명히했습니다.

워싱턴 김양순 특파원의 보돕니다.

[리포트]

바이든 미 대통령이 반도체 재료인 웨이퍼를 손에 들었습니다.

[바이든/미 대통령 : "이 반도체 칩들, 웨이퍼가 동력입니다. 초고소통신망 이런 게 모두 사회기반시설입니다. 우리는 사회기반시설을 건설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도체 칩 품귀 현상으로 미국 자동차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자 백악관이 19개 글로벌 기업을 긴급 소집한 자리에섭니다.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언급하며 미국도 공격적 투자에 나서겠다고 밝혀 대중국 견제 의지를 분명히 했습니다.

[바이든/미 대통령 : "중국과 다른 나라들은 (반도체 투자를) 기다리지 않아요. 미국이 기다려야 할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백악관은 회의에서 단기적으로는 반도체 공급망의 투명성을 개선하고 장기적으로는 수요 예측을 개선할 것을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내 반도체 공장 증설과 대규모 사회기반시설 건설 등 적극적인 투자를 촉구하는 발언도 나온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회의 직후 인텔은 우리돈 22조 원 가량을 투자해 차량용 반도체를 만들겠다고 전격 발표했습니다.

[펫 겔싱어/인텔 최고 경영자 : "인텔은 세계 최대 공장 네트워크를 건설하며 앞으로 몇 년 간 의미있는 투자를 이어나가야 한다고 믿습니다."]

삼성전자도 미국에 20조 원 가량의 투자계획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동맹을 강조해온 바이든 정부는 반도체가 미국 경제와 안보의 최우선적이고 시급한 현안이라고 짚었습니다.

중국을 겨냥한 반도체 회의가 단발적으로 끝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하는 대목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양순입니다.

영상편집:이진이/그래픽:한종헌/자료조사:권도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바이든 “중국은 안기다려”…반도체 패권 본격화
    • 입력 2021-04-13 21:46:38
    • 수정2021-04-13 22:08:33
    뉴스 9
[앵커]

세계적인 반도체 부족 사태 속에서 백악관이 관련 기업들과 회의를 열었습니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 이 자리에서 반도체 분야에 공격적 투자를 하겠다며 중국을 견제하겠다는 뜻을 분명히했습니다.

워싱턴 김양순 특파원의 보돕니다.

[리포트]

바이든 미 대통령이 반도체 재료인 웨이퍼를 손에 들었습니다.

[바이든/미 대통령 : "이 반도체 칩들, 웨이퍼가 동력입니다. 초고소통신망 이런 게 모두 사회기반시설입니다. 우리는 사회기반시설을 건설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도체 칩 품귀 현상으로 미국 자동차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자 백악관이 19개 글로벌 기업을 긴급 소집한 자리에섭니다.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언급하며 미국도 공격적 투자에 나서겠다고 밝혀 대중국 견제 의지를 분명히 했습니다.

[바이든/미 대통령 : "중국과 다른 나라들은 (반도체 투자를) 기다리지 않아요. 미국이 기다려야 할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백악관은 회의에서 단기적으로는 반도체 공급망의 투명성을 개선하고 장기적으로는 수요 예측을 개선할 것을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내 반도체 공장 증설과 대규모 사회기반시설 건설 등 적극적인 투자를 촉구하는 발언도 나온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회의 직후 인텔은 우리돈 22조 원 가량을 투자해 차량용 반도체를 만들겠다고 전격 발표했습니다.

[펫 겔싱어/인텔 최고 경영자 : "인텔은 세계 최대 공장 네트워크를 건설하며 앞으로 몇 년 간 의미있는 투자를 이어나가야 한다고 믿습니다."]

삼성전자도 미국에 20조 원 가량의 투자계획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동맹을 강조해온 바이든 정부는 반도체가 미국 경제와 안보의 최우선적이고 시급한 현안이라고 짚었습니다.

중국을 겨냥한 반도체 회의가 단발적으로 끝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하는 대목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양순입니다.

영상편집:이진이/그래픽:한종헌/자료조사:권도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