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수산물 안전성 검증’ 장비·인력 태부족

입력 2021.04.20 (08:12) 수정 2021.04.20 (08: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남해안 어민과 수산업계 상인들과 마찬가지로, 수산물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도 큰 상황인데요,

하지만, 방사능 검사를 포함해 수산물 안전성을 검증할 경남 자치단체의 장비와 인력은 턱없이 부족합니다.

보도에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현재 일본 정부의 오염수 방류 계획은 2년 뒤, 하지만 상인들은 벌써 걱정이 앞섭니다.

[창원 마산어시장 상인 : "지나가는 손님들이 이제 고기도 못 먹겠다. 방사능을 일본에서 풀면, 고기가 그거(오염) 되어서 그런 말을 하더라고요."]

소비자들도 우려하기는 마찬가지.

[김재열/창원시 교방동 : "먹기가 조금 꺼림칙할 것 같은데요. 아무래도 일본산이 아니래도…."]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 직후, 경상남도도 원산지 단속과 방사능 검사를 강화하겠다고 발표했지만 당장 장비와 인력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경남수산안전기술원의 한해 검사 건수는 불과 150건 안팎.

장비 1대와 인력의 한계로 건수를 더 늘릴 수도 없습니다.

경상남도 보건환경연구원의 검사 건수도 수산물 240건 정도가 최대치입니다.

서울시 한해 검사 건수 3분의 2도 되지 않습니다.

지난해 11월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관련해 경남과 부산, 울산, 전남과 제주가 모여 대책 실무협의회를 꾸렸지만 후속 대책도 내지 못한 채 2차 회의도 열리지 않고 있습니다.

남해안 자치단체들은 공동협의체를 구축해 협력과제를 발굴하자고 했지만, 지난해 12월 17개 시도 공동건의문을 발표한 것 말고는 특별한 활동을 이어가지 못했습니다.

[경상남도 관계자/음성변조 : "그 부분(대책협의회)도 활성화되지 싶습니다. 그 당시에는 (오염수 방류) 논의만 있었고. 결정된 부분이 아니었기 때문에…."]

환경단체들은 자치단체의 역할 강화를 주문합니다.

[최경숙/시민방사능감시센터 활동가 : "지역 내 유통되는 식품에 대해서는 도에서 책임지고 검사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런데 그 검사 건수가 너무 적고, (시료 구입) 예산이 너무 적어서…."]

지난해 국내에 들여온 일본산 수산물은 2만 7천여 톤.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자치단체의 중장기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이하우·지승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남 ‘수산물 안전성 검증’ 장비·인력 태부족
    • 입력 2021-04-20 08:12:22
    • 수정2021-04-20 08:51:02
    뉴스광장(창원)
[앵커]

남해안 어민과 수산업계 상인들과 마찬가지로, 수산물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도 큰 상황인데요,

하지만, 방사능 검사를 포함해 수산물 안전성을 검증할 경남 자치단체의 장비와 인력은 턱없이 부족합니다.

보도에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현재 일본 정부의 오염수 방류 계획은 2년 뒤, 하지만 상인들은 벌써 걱정이 앞섭니다.

[창원 마산어시장 상인 : "지나가는 손님들이 이제 고기도 못 먹겠다. 방사능을 일본에서 풀면, 고기가 그거(오염) 되어서 그런 말을 하더라고요."]

소비자들도 우려하기는 마찬가지.

[김재열/창원시 교방동 : "먹기가 조금 꺼림칙할 것 같은데요. 아무래도 일본산이 아니래도…."]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 직후, 경상남도도 원산지 단속과 방사능 검사를 강화하겠다고 발표했지만 당장 장비와 인력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경남수산안전기술원의 한해 검사 건수는 불과 150건 안팎.

장비 1대와 인력의 한계로 건수를 더 늘릴 수도 없습니다.

경상남도 보건환경연구원의 검사 건수도 수산물 240건 정도가 최대치입니다.

서울시 한해 검사 건수 3분의 2도 되지 않습니다.

지난해 11월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관련해 경남과 부산, 울산, 전남과 제주가 모여 대책 실무협의회를 꾸렸지만 후속 대책도 내지 못한 채 2차 회의도 열리지 않고 있습니다.

남해안 자치단체들은 공동협의체를 구축해 협력과제를 발굴하자고 했지만, 지난해 12월 17개 시도 공동건의문을 발표한 것 말고는 특별한 활동을 이어가지 못했습니다.

[경상남도 관계자/음성변조 : "그 부분(대책협의회)도 활성화되지 싶습니다. 그 당시에는 (오염수 방류) 논의만 있었고. 결정된 부분이 아니었기 때문에…."]

환경단체들은 자치단체의 역할 강화를 주문합니다.

[최경숙/시민방사능감시센터 활동가 : "지역 내 유통되는 식품에 대해서는 도에서 책임지고 검사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런데 그 검사 건수가 너무 적고, (시료 구입) 예산이 너무 적어서…."]

지난해 국내에 들여온 일본산 수산물은 2만 7천여 톤.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자치단체의 중장기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이하우·지승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