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국민 77% “백신 접종할 것”…“물량보다 안전이 중요”

입력 2021.04.23 (06:28) 수정 2021.04.23 (06: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장기화한 코로나19 속에, 우리 국민들이 백신과 방역 등 현재 상황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KBS가 여론조사를 실시했습니다.

백신에 대해선 40%가 안전하지 않을 거라 생각하면서도, 접종하겠다는 사람은 10명 중 8명에 달했습니다.

먼저 김민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코로나19 백신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지 물었습니다.

10.2%는 '매우 그렇다', 43.1%는 '대체로 그렇다'로, 응답자 절반 이상이 긍정적인 답변을 했습니다.

'별로 그렇지 않다' 31.8, '전혀 그렇지 않다' 10.1%로, 10명 중 4명 이상은 안전하지 않다고 봤습니다.

연령별로는 50대에서 신뢰도가 가장 높았고(64.6%), 18세~29세 사이에서 가장 낮았습니다(43%).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자들은 '접종 후 부작용'(37.3%)과 '정부 발표를 믿지 못해서'(26.1%)를 주된 이유로 꼽았습니다.

그렇다면, 우리 국민의 백신 접종 의향은 어떨까요?

'반드시 하겠다' 38%, '아마도 할 것이다' 39.1%로, 응답자의 77.1%가 접종 의사를 표시했습니다.

특히 백신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했던 사람들의 절반 이상(55.8%)도 접종 의향을 드러낸 점이 눈에 띕니다.

접종하지 않겠다고 한 응답자는 10명 중 2명꼴인데, 접종 반대 이유로는 '접종 후 부작용 우려'를 꼽은 사람들이 가장 많았습니다.

최근 혈전 논란 등 백신의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같은 응답자에게 "백신 종류 선택권을 주면 접종하겠냐"고 물어봤더니 54.9%는 그래도 '하지 않겠다'고 답했습니다.

백신 접종으로 11월까지 집단면역을 달성하겠다는 정부의 목표가 가능하다고 보는지도 물어봤습니다.

가능성이 낮다 54.8%로, 높다는 답(39%)을 앞질렀습니다.

백신 수급의 아쉬운 점으로는 '국내 도입을 빠르게 결정하지 못한 점'을 꼽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앞으로 백신을 도입할 때 가장 역점을 둬야 할 사안으로 물량 확보보다는 '안전한 백신 확보'라고 답한 경우가 2배 이상 많았습니다.

KBS 뉴스 김민혁입니다.

영상편집:양다운/그래픽:최창준 김석훈

[내려받기] 코로나19 방역·백신 관련 여론조사 [PDF]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론조사] 국민 77% “백신 접종할 것”…“물량보다 안전이 중요”
    • 입력 2021-04-23 06:28:15
    • 수정2021-04-23 06:33:45
    뉴스광장 1부
[앵커]

장기화한 코로나19 속에, 우리 국민들이 백신과 방역 등 현재 상황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KBS가 여론조사를 실시했습니다.

백신에 대해선 40%가 안전하지 않을 거라 생각하면서도, 접종하겠다는 사람은 10명 중 8명에 달했습니다.

먼저 김민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코로나19 백신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지 물었습니다.

10.2%는 '매우 그렇다', 43.1%는 '대체로 그렇다'로, 응답자 절반 이상이 긍정적인 답변을 했습니다.

'별로 그렇지 않다' 31.8, '전혀 그렇지 않다' 10.1%로, 10명 중 4명 이상은 안전하지 않다고 봤습니다.

연령별로는 50대에서 신뢰도가 가장 높았고(64.6%), 18세~29세 사이에서 가장 낮았습니다(43%).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자들은 '접종 후 부작용'(37.3%)과 '정부 발표를 믿지 못해서'(26.1%)를 주된 이유로 꼽았습니다.

그렇다면, 우리 국민의 백신 접종 의향은 어떨까요?

'반드시 하겠다' 38%, '아마도 할 것이다' 39.1%로, 응답자의 77.1%가 접종 의사를 표시했습니다.

특히 백신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했던 사람들의 절반 이상(55.8%)도 접종 의향을 드러낸 점이 눈에 띕니다.

접종하지 않겠다고 한 응답자는 10명 중 2명꼴인데, 접종 반대 이유로는 '접종 후 부작용 우려'를 꼽은 사람들이 가장 많았습니다.

최근 혈전 논란 등 백신의 안전성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같은 응답자에게 "백신 종류 선택권을 주면 접종하겠냐"고 물어봤더니 54.9%는 그래도 '하지 않겠다'고 답했습니다.

백신 접종으로 11월까지 집단면역을 달성하겠다는 정부의 목표가 가능하다고 보는지도 물어봤습니다.

가능성이 낮다 54.8%로, 높다는 답(39%)을 앞질렀습니다.

백신 수급의 아쉬운 점으로는 '국내 도입을 빠르게 결정하지 못한 점'을 꼽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앞으로 백신을 도입할 때 가장 역점을 둬야 할 사안으로 물량 확보보다는 '안전한 백신 확보'라고 답한 경우가 2배 이상 많았습니다.

KBS 뉴스 김민혁입니다.

영상편집:양다운/그래픽:최창준 김석훈

[내려받기] 코로나19 방역·백신 관련 여론조사 [PDF]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