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일 빠른 매미나방 유충 부화…방제 비상
입력 2021.04.26 (07:36)
수정 2021.04.26 (07: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전국 곳곳에서 집단으로 출몰해 눈살을 찌푸리게 했던 매미나방을 기억하십니까?
올해도 이 매미나방 애벌레가 이른 시기부터 알에서 부화하기 시작해 대량 발생과 산림 피해가 우려됩니다.
양민오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 야산의 나무 곳곳에서 누런 알집이 눈에 띕니다.
일부 알집에서는 부화한 애벌레가 떼로 모여 있습니다.
매미나방의 애벌레입니다.
[김학준/천안시 산림보호팀장 : "알에서 부화하고 있는 과정이고요, 일부 부화해서 유충이 성장하고 있는 단계에 있습니다."]
산림청이 매미나방 월동란의 부화 시기를 지켜본 결과, 올해는 부산시 동래구에서 지난달 23일 최초 부화가 관찰됐습니다.
지난해와 비교해 8일 더 빠릅니다.
지난 연말 매미나방의 알집에서 기생벌에 의해 폐사한 알의 비율이 13.9%에 불과한 것으로 볼 때 매미나방의 다량 출몰이 우려됩니다.
[정종국/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박사 : "작년, 또는 재작년 수준의 꽤나 많은 유충들이 발생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산림과학원은 지난해 매미나방이 특히 많이 발생한 수도권과 강원, 충남북 등 8개 시군에 발생 예보를 '주의단계'로 격상했습니다.
산림청은 애벌레가 서너 차례 허물을 벗고 성장해 나뭇잎을 본격적으로 먹기 전 방제에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김창현/산림청 산림병해충방제과 임업사무관 : "지자체와 협력해서 매미나방 유충기부터 생활사별 방제로 피해 저감을 위한 총력 방제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지난해 매미나방으로 피해가 발생한 지역은 전국 6,183ha.
올해도 매미나방 피해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철저한 방제 작업이 요구됩니다.
KBS 뉴스 양민오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지난해 전국 곳곳에서 집단으로 출몰해 눈살을 찌푸리게 했던 매미나방을 기억하십니까?
올해도 이 매미나방 애벌레가 이른 시기부터 알에서 부화하기 시작해 대량 발생과 산림 피해가 우려됩니다.
양민오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 야산의 나무 곳곳에서 누런 알집이 눈에 띕니다.
일부 알집에서는 부화한 애벌레가 떼로 모여 있습니다.
매미나방의 애벌레입니다.
[김학준/천안시 산림보호팀장 : "알에서 부화하고 있는 과정이고요, 일부 부화해서 유충이 성장하고 있는 단계에 있습니다."]
산림청이 매미나방 월동란의 부화 시기를 지켜본 결과, 올해는 부산시 동래구에서 지난달 23일 최초 부화가 관찰됐습니다.
지난해와 비교해 8일 더 빠릅니다.
지난 연말 매미나방의 알집에서 기생벌에 의해 폐사한 알의 비율이 13.9%에 불과한 것으로 볼 때 매미나방의 다량 출몰이 우려됩니다.
[정종국/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박사 : "작년, 또는 재작년 수준의 꽤나 많은 유충들이 발생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산림과학원은 지난해 매미나방이 특히 많이 발생한 수도권과 강원, 충남북 등 8개 시군에 발생 예보를 '주의단계'로 격상했습니다.
산림청은 애벌레가 서너 차례 허물을 벗고 성장해 나뭇잎을 본격적으로 먹기 전 방제에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김창현/산림청 산림병해충방제과 임업사무관 : "지자체와 협력해서 매미나방 유충기부터 생활사별 방제로 피해 저감을 위한 총력 방제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지난해 매미나방으로 피해가 발생한 지역은 전국 6,183ha.
올해도 매미나방 피해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철저한 방제 작업이 요구됩니다.
KBS 뉴스 양민오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주일 빠른 매미나방 유충 부화…방제 비상
-
- 입력 2021-04-26 07:36:27
- 수정2021-04-26 07:49:54

[앵커]
지난해 전국 곳곳에서 집단으로 출몰해 눈살을 찌푸리게 했던 매미나방을 기억하십니까?
올해도 이 매미나방 애벌레가 이른 시기부터 알에서 부화하기 시작해 대량 발생과 산림 피해가 우려됩니다.
양민오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 야산의 나무 곳곳에서 누런 알집이 눈에 띕니다.
일부 알집에서는 부화한 애벌레가 떼로 모여 있습니다.
매미나방의 애벌레입니다.
[김학준/천안시 산림보호팀장 : "알에서 부화하고 있는 과정이고요, 일부 부화해서 유충이 성장하고 있는 단계에 있습니다."]
산림청이 매미나방 월동란의 부화 시기를 지켜본 결과, 올해는 부산시 동래구에서 지난달 23일 최초 부화가 관찰됐습니다.
지난해와 비교해 8일 더 빠릅니다.
지난 연말 매미나방의 알집에서 기생벌에 의해 폐사한 알의 비율이 13.9%에 불과한 것으로 볼 때 매미나방의 다량 출몰이 우려됩니다.
[정종국/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박사 : "작년, 또는 재작년 수준의 꽤나 많은 유충들이 발생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산림과학원은 지난해 매미나방이 특히 많이 발생한 수도권과 강원, 충남북 등 8개 시군에 발생 예보를 '주의단계'로 격상했습니다.
산림청은 애벌레가 서너 차례 허물을 벗고 성장해 나뭇잎을 본격적으로 먹기 전 방제에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김창현/산림청 산림병해충방제과 임업사무관 : "지자체와 협력해서 매미나방 유충기부터 생활사별 방제로 피해 저감을 위한 총력 방제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지난해 매미나방으로 피해가 발생한 지역은 전국 6,183ha.
올해도 매미나방 피해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철저한 방제 작업이 요구됩니다.
KBS 뉴스 양민오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지난해 전국 곳곳에서 집단으로 출몰해 눈살을 찌푸리게 했던 매미나방을 기억하십니까?
올해도 이 매미나방 애벌레가 이른 시기부터 알에서 부화하기 시작해 대량 발생과 산림 피해가 우려됩니다.
양민오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 야산의 나무 곳곳에서 누런 알집이 눈에 띕니다.
일부 알집에서는 부화한 애벌레가 떼로 모여 있습니다.
매미나방의 애벌레입니다.
[김학준/천안시 산림보호팀장 : "알에서 부화하고 있는 과정이고요, 일부 부화해서 유충이 성장하고 있는 단계에 있습니다."]
산림청이 매미나방 월동란의 부화 시기를 지켜본 결과, 올해는 부산시 동래구에서 지난달 23일 최초 부화가 관찰됐습니다.
지난해와 비교해 8일 더 빠릅니다.
지난 연말 매미나방의 알집에서 기생벌에 의해 폐사한 알의 비율이 13.9%에 불과한 것으로 볼 때 매미나방의 다량 출몰이 우려됩니다.
[정종국/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박사 : "작년, 또는 재작년 수준의 꽤나 많은 유충들이 발생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산림과학원은 지난해 매미나방이 특히 많이 발생한 수도권과 강원, 충남북 등 8개 시군에 발생 예보를 '주의단계'로 격상했습니다.
산림청은 애벌레가 서너 차례 허물을 벗고 성장해 나뭇잎을 본격적으로 먹기 전 방제에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김창현/산림청 산림병해충방제과 임업사무관 : "지자체와 협력해서 매미나방 유충기부터 생활사별 방제로 피해 저감을 위한 총력 방제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지난해 매미나방으로 피해가 발생한 지역은 전국 6,183ha.
올해도 매미나방 피해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철저한 방제 작업이 요구됩니다.
KBS 뉴스 양민오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
-
양민오 기자 yangmino@kbs.co.kr
양민오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