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쩍 않는 금융당국 “가상화폐 제도권 편입은 잘못된 시그널”
입력 2021.04.26 (21:30)
수정 2021.04.27 (07: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가상화폐를 제도권 안으로 끌어들여 규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 나오지만 금융당국은 여전히 부정적입니다.
일부 거래소들은 자체적으로 규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임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시장 개입은 안 하지만 세금은 물리겠다는 정부 방침에 가상화폐 투자자들은 불만입니다.
[가상화폐 투자자/음성변조 : "과세한다는 것 자체가 일단은 화폐로 인정한 뒤에 세금이 나오는 거잖아요. 근데 왜 인정하지 않고 세금만 내라고 하는지 모르겠어요."]
[가상화폐 투자자/음성변조 : "코인은 도박이라고...이걸 자꾸 막으니까 화나죠."]
거래소 폐쇄 가능성을 언급한 금융위원장에 대해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올라왔지만 금융당국의 입장은 변함이 없습니다.
금융위 관계자는 KBS와의 통화에서 가상화폐의 내재적 가치가 없다고 정부가 밝힌 상황에서 제도권으로 편입시키는 건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투자자들에게 '잘못된 시그널'을 줄 수 있다는 겁니다.
여기에 거래를 금지한 중국 등의 예를 들며 가상화폐 제도화가 국제적인 추세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제도권 편입을 요구해온 가상화폐 전문가들은 금융당국이 가상화폐 거래의 실상을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박성준/동국대 블록체인연구센터장 : "중국은 암호화폐를 금지했어요. 근데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중에서 세계적으로 발전되고 앞서가는 거(플랫폼) 를 3개 정도 가지고 있습니다. 겉으로 드러나는 거 하고는 다르다고 제가 말씀드리는 거예요."]
금융당국의 계속된 경고 속에 가상화폐 거래소들은 몸을 낮추고 있습니다.
가상화폐 상장 과정에서 일어난 사기를 종류별로 분류해 홈페이지에 올리거나, 하루 입금 한도를 무제한에서 5억 원으로 낮추는 등 자체 규제 조치를 단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상화폐 하루 거래액이 20조 원이나 되고 가격 변동 폭까지 큰 상황에서 민간 거래소 규제에만 맡기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임주영입니다.
촬영기자:민창호 박세준/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김지혜
가상화폐를 제도권 안으로 끌어들여 규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 나오지만 금융당국은 여전히 부정적입니다.
일부 거래소들은 자체적으로 규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임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시장 개입은 안 하지만 세금은 물리겠다는 정부 방침에 가상화폐 투자자들은 불만입니다.
[가상화폐 투자자/음성변조 : "과세한다는 것 자체가 일단은 화폐로 인정한 뒤에 세금이 나오는 거잖아요. 근데 왜 인정하지 않고 세금만 내라고 하는지 모르겠어요."]
[가상화폐 투자자/음성변조 : "코인은 도박이라고...이걸 자꾸 막으니까 화나죠."]
거래소 폐쇄 가능성을 언급한 금융위원장에 대해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올라왔지만 금융당국의 입장은 변함이 없습니다.
금융위 관계자는 KBS와의 통화에서 가상화폐의 내재적 가치가 없다고 정부가 밝힌 상황에서 제도권으로 편입시키는 건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투자자들에게 '잘못된 시그널'을 줄 수 있다는 겁니다.
여기에 거래를 금지한 중국 등의 예를 들며 가상화폐 제도화가 국제적인 추세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제도권 편입을 요구해온 가상화폐 전문가들은 금융당국이 가상화폐 거래의 실상을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박성준/동국대 블록체인연구센터장 : "중국은 암호화폐를 금지했어요. 근데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중에서 세계적으로 발전되고 앞서가는 거(플랫폼) 를 3개 정도 가지고 있습니다. 겉으로 드러나는 거 하고는 다르다고 제가 말씀드리는 거예요."]
금융당국의 계속된 경고 속에 가상화폐 거래소들은 몸을 낮추고 있습니다.
가상화폐 상장 과정에서 일어난 사기를 종류별로 분류해 홈페이지에 올리거나, 하루 입금 한도를 무제한에서 5억 원으로 낮추는 등 자체 규제 조치를 단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상화폐 하루 거래액이 20조 원이나 되고 가격 변동 폭까지 큰 상황에서 민간 거래소 규제에만 맡기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임주영입니다.
촬영기자:민창호 박세준/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김지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꿈쩍 않는 금융당국 “가상화폐 제도권 편입은 잘못된 시그널”
-
- 입력 2021-04-26 21:30:17
- 수정2021-04-27 07:59:00

[앵커]
가상화폐를 제도권 안으로 끌어들여 규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 나오지만 금융당국은 여전히 부정적입니다.
일부 거래소들은 자체적으로 규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임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시장 개입은 안 하지만 세금은 물리겠다는 정부 방침에 가상화폐 투자자들은 불만입니다.
[가상화폐 투자자/음성변조 : "과세한다는 것 자체가 일단은 화폐로 인정한 뒤에 세금이 나오는 거잖아요. 근데 왜 인정하지 않고 세금만 내라고 하는지 모르겠어요."]
[가상화폐 투자자/음성변조 : "코인은 도박이라고...이걸 자꾸 막으니까 화나죠."]
거래소 폐쇄 가능성을 언급한 금융위원장에 대해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올라왔지만 금융당국의 입장은 변함이 없습니다.
금융위 관계자는 KBS와의 통화에서 가상화폐의 내재적 가치가 없다고 정부가 밝힌 상황에서 제도권으로 편입시키는 건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투자자들에게 '잘못된 시그널'을 줄 수 있다는 겁니다.
여기에 거래를 금지한 중국 등의 예를 들며 가상화폐 제도화가 국제적인 추세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제도권 편입을 요구해온 가상화폐 전문가들은 금융당국이 가상화폐 거래의 실상을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박성준/동국대 블록체인연구센터장 : "중국은 암호화폐를 금지했어요. 근데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중에서 세계적으로 발전되고 앞서가는 거(플랫폼) 를 3개 정도 가지고 있습니다. 겉으로 드러나는 거 하고는 다르다고 제가 말씀드리는 거예요."]
금융당국의 계속된 경고 속에 가상화폐 거래소들은 몸을 낮추고 있습니다.
가상화폐 상장 과정에서 일어난 사기를 종류별로 분류해 홈페이지에 올리거나, 하루 입금 한도를 무제한에서 5억 원으로 낮추는 등 자체 규제 조치를 단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상화폐 하루 거래액이 20조 원이나 되고 가격 변동 폭까지 큰 상황에서 민간 거래소 규제에만 맡기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임주영입니다.
촬영기자:민창호 박세준/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김지혜
가상화폐를 제도권 안으로 끌어들여 규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 나오지만 금융당국은 여전히 부정적입니다.
일부 거래소들은 자체적으로 규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임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시장 개입은 안 하지만 세금은 물리겠다는 정부 방침에 가상화폐 투자자들은 불만입니다.
[가상화폐 투자자/음성변조 : "과세한다는 것 자체가 일단은 화폐로 인정한 뒤에 세금이 나오는 거잖아요. 근데 왜 인정하지 않고 세금만 내라고 하는지 모르겠어요."]
[가상화폐 투자자/음성변조 : "코인은 도박이라고...이걸 자꾸 막으니까 화나죠."]
거래소 폐쇄 가능성을 언급한 금융위원장에 대해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올라왔지만 금융당국의 입장은 변함이 없습니다.
금융위 관계자는 KBS와의 통화에서 가상화폐의 내재적 가치가 없다고 정부가 밝힌 상황에서 제도권으로 편입시키는 건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투자자들에게 '잘못된 시그널'을 줄 수 있다는 겁니다.
여기에 거래를 금지한 중국 등의 예를 들며 가상화폐 제도화가 국제적인 추세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제도권 편입을 요구해온 가상화폐 전문가들은 금융당국이 가상화폐 거래의 실상을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박성준/동국대 블록체인연구센터장 : "중국은 암호화폐를 금지했어요. 근데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중에서 세계적으로 발전되고 앞서가는 거(플랫폼) 를 3개 정도 가지고 있습니다. 겉으로 드러나는 거 하고는 다르다고 제가 말씀드리는 거예요."]
금융당국의 계속된 경고 속에 가상화폐 거래소들은 몸을 낮추고 있습니다.
가상화폐 상장 과정에서 일어난 사기를 종류별로 분류해 홈페이지에 올리거나, 하루 입금 한도를 무제한에서 5억 원으로 낮추는 등 자체 규제 조치를 단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상화폐 하루 거래액이 20조 원이나 되고 가격 변동 폭까지 큰 상황에서 민간 거래소 규제에만 맡기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임주영입니다.
촬영기자:민창호 박세준/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김지혜
-
-
임주영 기자 magnolia@kbs.co.kr
임주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