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가 무슨 죄가 있나요” 日 오염수 방류 규탄 해상 시위
입력 2021.04.30 (21:41)
수정 2021.04.30 (21: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지난 13일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로 발생한 다량의 방사성 물질 오염수를 바다에 배출하기로 결정했는데요.
벌써부터 어민들과 상인들의 시름이 깊습니다.
수산업 종사자들이 해상 시위를 벌이며 일본 정부의 결정을 규탄했습니다.
허솔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기와 인천 지역 수산업 종사자들이 조업이 아닌 항의를 위해 바다로 나갔습니다.
["원전 오염수의 해상 방류 결정을 즉각 철회하라! 철회하라!!"]
수십명의 어민과 수산업 관계자들이 어선 20척을 동원해 화성 궁평항 일대를 항해하며 일본 정부를 규탄했습니다.
[정승만/경기남부수협 조합장 : "(일본 원전 오염수를) 해양 방류한다는 얘기만으로도 수산물 판매가 위축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안을 정부에서 세워주면 고맙겠습니다."]
어민들의 시름은 더 큽니다.
가뜩이나 어획량이 크게 줄었는데, 일본의 원전 오염수 해양 방출은 엎친데 덮친 격이기 때문입니다.
[박래승/용두리 어촌계장 : "바다가 무슨 죄가 있다고 바다에 이런 행동을 하는지, 어선업하는 사람들에게는 생계가 막막한 일입니다."]
타격은 수산물 판매 상인들이 가장 먼저 체감하고 있습니다.
실제 오염수 방출이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도 관련 소식이 전해진 이후 벌써 매출이 30% 정도 줄었습니다.
[박근배/궁평항 수산물직판장 상인 : "'어디 산이냐' 물어보고 '일본산이다' 그러면 절대 안 먹는 분들이 많죠. 그러면서 국내산도 회 자체를 꺼려요. 그래서 매출이 떨어지면서 장사도 안되죠."]
실제 지난 2013년 발생한 일본의 원전 오염수 유출 사고로 국내 수산물 소비는 재래시장에서 40%, 대형마트에서는 20% 급감한 바 있습니다.
오염수 배출은 2년 뒤라지만 어민들의 시름은 이미 시작됐습니다.
KBS 뉴스 허솔지입니다.
지난 13일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로 발생한 다량의 방사성 물질 오염수를 바다에 배출하기로 결정했는데요.
벌써부터 어민들과 상인들의 시름이 깊습니다.
수산업 종사자들이 해상 시위를 벌이며 일본 정부의 결정을 규탄했습니다.
허솔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기와 인천 지역 수산업 종사자들이 조업이 아닌 항의를 위해 바다로 나갔습니다.
["원전 오염수의 해상 방류 결정을 즉각 철회하라! 철회하라!!"]
수십명의 어민과 수산업 관계자들이 어선 20척을 동원해 화성 궁평항 일대를 항해하며 일본 정부를 규탄했습니다.
[정승만/경기남부수협 조합장 : "(일본 원전 오염수를) 해양 방류한다는 얘기만으로도 수산물 판매가 위축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안을 정부에서 세워주면 고맙겠습니다."]
어민들의 시름은 더 큽니다.
가뜩이나 어획량이 크게 줄었는데, 일본의 원전 오염수 해양 방출은 엎친데 덮친 격이기 때문입니다.
[박래승/용두리 어촌계장 : "바다가 무슨 죄가 있다고 바다에 이런 행동을 하는지, 어선업하는 사람들에게는 생계가 막막한 일입니다."]
타격은 수산물 판매 상인들이 가장 먼저 체감하고 있습니다.
실제 오염수 방출이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도 관련 소식이 전해진 이후 벌써 매출이 30% 정도 줄었습니다.
[박근배/궁평항 수산물직판장 상인 : "'어디 산이냐' 물어보고 '일본산이다' 그러면 절대 안 먹는 분들이 많죠. 그러면서 국내산도 회 자체를 꺼려요. 그래서 매출이 떨어지면서 장사도 안되죠."]
실제 지난 2013년 발생한 일본의 원전 오염수 유출 사고로 국내 수산물 소비는 재래시장에서 40%, 대형마트에서는 20% 급감한 바 있습니다.
오염수 배출은 2년 뒤라지만 어민들의 시름은 이미 시작됐습니다.
KBS 뉴스 허솔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바다가 무슨 죄가 있나요” 日 오염수 방류 규탄 해상 시위
-
- 입력 2021-04-30 21:41:02
- 수정2021-04-30 21:52:58

[앵커]
지난 13일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로 발생한 다량의 방사성 물질 오염수를 바다에 배출하기로 결정했는데요.
벌써부터 어민들과 상인들의 시름이 깊습니다.
수산업 종사자들이 해상 시위를 벌이며 일본 정부의 결정을 규탄했습니다.
허솔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기와 인천 지역 수산업 종사자들이 조업이 아닌 항의를 위해 바다로 나갔습니다.
["원전 오염수의 해상 방류 결정을 즉각 철회하라! 철회하라!!"]
수십명의 어민과 수산업 관계자들이 어선 20척을 동원해 화성 궁평항 일대를 항해하며 일본 정부를 규탄했습니다.
[정승만/경기남부수협 조합장 : "(일본 원전 오염수를) 해양 방류한다는 얘기만으로도 수산물 판매가 위축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안을 정부에서 세워주면 고맙겠습니다."]
어민들의 시름은 더 큽니다.
가뜩이나 어획량이 크게 줄었는데, 일본의 원전 오염수 해양 방출은 엎친데 덮친 격이기 때문입니다.
[박래승/용두리 어촌계장 : "바다가 무슨 죄가 있다고 바다에 이런 행동을 하는지, 어선업하는 사람들에게는 생계가 막막한 일입니다."]
타격은 수산물 판매 상인들이 가장 먼저 체감하고 있습니다.
실제 오염수 방출이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도 관련 소식이 전해진 이후 벌써 매출이 30% 정도 줄었습니다.
[박근배/궁평항 수산물직판장 상인 : "'어디 산이냐' 물어보고 '일본산이다' 그러면 절대 안 먹는 분들이 많죠. 그러면서 국내산도 회 자체를 꺼려요. 그래서 매출이 떨어지면서 장사도 안되죠."]
실제 지난 2013년 발생한 일본의 원전 오염수 유출 사고로 국내 수산물 소비는 재래시장에서 40%, 대형마트에서는 20% 급감한 바 있습니다.
오염수 배출은 2년 뒤라지만 어민들의 시름은 이미 시작됐습니다.
KBS 뉴스 허솔지입니다.
지난 13일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로 발생한 다량의 방사성 물질 오염수를 바다에 배출하기로 결정했는데요.
벌써부터 어민들과 상인들의 시름이 깊습니다.
수산업 종사자들이 해상 시위를 벌이며 일본 정부의 결정을 규탄했습니다.
허솔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기와 인천 지역 수산업 종사자들이 조업이 아닌 항의를 위해 바다로 나갔습니다.
["원전 오염수의 해상 방류 결정을 즉각 철회하라! 철회하라!!"]
수십명의 어민과 수산업 관계자들이 어선 20척을 동원해 화성 궁평항 일대를 항해하며 일본 정부를 규탄했습니다.
[정승만/경기남부수협 조합장 : "(일본 원전 오염수를) 해양 방류한다는 얘기만으로도 수산물 판매가 위축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안을 정부에서 세워주면 고맙겠습니다."]
어민들의 시름은 더 큽니다.
가뜩이나 어획량이 크게 줄었는데, 일본의 원전 오염수 해양 방출은 엎친데 덮친 격이기 때문입니다.
[박래승/용두리 어촌계장 : "바다가 무슨 죄가 있다고 바다에 이런 행동을 하는지, 어선업하는 사람들에게는 생계가 막막한 일입니다."]
타격은 수산물 판매 상인들이 가장 먼저 체감하고 있습니다.
실제 오염수 방출이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도 관련 소식이 전해진 이후 벌써 매출이 30% 정도 줄었습니다.
[박근배/궁평항 수산물직판장 상인 : "'어디 산이냐' 물어보고 '일본산이다' 그러면 절대 안 먹는 분들이 많죠. 그러면서 국내산도 회 자체를 꺼려요. 그래서 매출이 떨어지면서 장사도 안되죠."]
실제 지난 2013년 발생한 일본의 원전 오염수 유출 사고로 국내 수산물 소비는 재래시장에서 40%, 대형마트에서는 20% 급감한 바 있습니다.
오염수 배출은 2년 뒤라지만 어민들의 시름은 이미 시작됐습니다.
KBS 뉴스 허솔지입니다.
-
-
허솔지 기자 solji26@kbs.co.kr
허솔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