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74세 AZ백신 예약…보호자 대리예약도 가능
입력 2021.05.07 (08:01)
수정 2021.05.07 (08: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70~74세 사이 어르신을 대상으로 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예약이 어제 시작됐습니다.
온라인이나 전화 예약이 서툰 분들을 위해 보호자 대리 예약도 가능합니다.
정부가 연령별로 일정을 조절해가며 백신 수요공급 조절에 나섰지만, 현장에선 예약 후 나타나지 않는 이른바 '노 쇼' 때문에 백신이 버려지고 있어 체계적인 예약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이승재 기자입니다.
[리포트]
백신 접종 예약 대상자인 73세 할머니 한 분이 인터넷으로 예약을 해 봅니다.
[이순덕/73세 : "어디에서부터 순서로 해야 되는 것인지 이게 좀 생소하네요."]
다시 시도한 전화 예약.
["상담원과 연결해드리겠습니다. (......)"]
한 때 전화가 쇄도하면서 통화까진 수차례가 걸렸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사전예약 대상자는 70세에서 74세 사이 어르신 210만 5천여 명과 만성중증호흡기질환자 만 2천여 명입니다.
온라인과 전화, 방문 예약 모두 가능하고, 신분증과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를 들고 주민센터를 방문해도 됩니다.
이마저도 어려운 어르신들을 위해 배우자나 자녀 등 보호자를 통한 대리 예약도 가능합니다.
접종은 전국의 위탁의료기관 만2천여 곳에서 오는 27일부터 진행됩니다.
첫날 예약이 몰리면서 온라인 시스템 에러 등 일부 혼란이 빚어진 가운데, 막상 접종 현장에선 폐기되는 백신이 더 큰 문젭니다.
한정된 백신으로 접종은 순차적으로 이뤄지고 있는데요.
이른바 '노 쇼' 등이 발생할 경우는 이 아까운 백신이 사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개봉 후 6시간 안에 다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예약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대기자를 급히 찾아야 합니다.
[신승주/병원 직원 : "(백신) 노쇼 대기 명단 올려주셨던 걸로 오늘 접종 가능하셔서 연락드렸는데..."]
폐기되는 전체 백신량이 파악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접종 예약자와 대기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김소희/간호사 : "한 센터에서 일정 시간 이후에서는 같이 잔량을 공유한다고 하면 폐기되는 양들이 많이 적어질 것 같습니다."]
정부는 예약 후 접종이 어려울 경우, 다른 이들이 접종을 맞을 수 있도록 미리 접종기관에 연락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KBS 뉴스 이승재입니다.
촬영기자:송혜성/영상편집:황종원
70~74세 사이 어르신을 대상으로 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예약이 어제 시작됐습니다.
온라인이나 전화 예약이 서툰 분들을 위해 보호자 대리 예약도 가능합니다.
정부가 연령별로 일정을 조절해가며 백신 수요공급 조절에 나섰지만, 현장에선 예약 후 나타나지 않는 이른바 '노 쇼' 때문에 백신이 버려지고 있어 체계적인 예약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이승재 기자입니다.
[리포트]
백신 접종 예약 대상자인 73세 할머니 한 분이 인터넷으로 예약을 해 봅니다.
[이순덕/73세 : "어디에서부터 순서로 해야 되는 것인지 이게 좀 생소하네요."]
다시 시도한 전화 예약.
["상담원과 연결해드리겠습니다. (......)"]
한 때 전화가 쇄도하면서 통화까진 수차례가 걸렸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사전예약 대상자는 70세에서 74세 사이 어르신 210만 5천여 명과 만성중증호흡기질환자 만 2천여 명입니다.
온라인과 전화, 방문 예약 모두 가능하고, 신분증과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를 들고 주민센터를 방문해도 됩니다.
이마저도 어려운 어르신들을 위해 배우자나 자녀 등 보호자를 통한 대리 예약도 가능합니다.
접종은 전국의 위탁의료기관 만2천여 곳에서 오는 27일부터 진행됩니다.
첫날 예약이 몰리면서 온라인 시스템 에러 등 일부 혼란이 빚어진 가운데, 막상 접종 현장에선 폐기되는 백신이 더 큰 문젭니다.
한정된 백신으로 접종은 순차적으로 이뤄지고 있는데요.
이른바 '노 쇼' 등이 발생할 경우는 이 아까운 백신이 사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개봉 후 6시간 안에 다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예약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대기자를 급히 찾아야 합니다.
[신승주/병원 직원 : "(백신) 노쇼 대기 명단 올려주셨던 걸로 오늘 접종 가능하셔서 연락드렸는데..."]
폐기되는 전체 백신량이 파악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접종 예약자와 대기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김소희/간호사 : "한 센터에서 일정 시간 이후에서는 같이 잔량을 공유한다고 하면 폐기되는 양들이 많이 적어질 것 같습니다."]
정부는 예약 후 접종이 어려울 경우, 다른 이들이 접종을 맞을 수 있도록 미리 접종기관에 연락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KBS 뉴스 이승재입니다.
촬영기자:송혜성/영상편집:황종원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70~74세 AZ백신 예약…보호자 대리예약도 가능
-
- 입력 2021-05-07 08:01:05
- 수정2021-05-07 08:18:18

[앵커]
70~74세 사이 어르신을 대상으로 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예약이 어제 시작됐습니다.
온라인이나 전화 예약이 서툰 분들을 위해 보호자 대리 예약도 가능합니다.
정부가 연령별로 일정을 조절해가며 백신 수요공급 조절에 나섰지만, 현장에선 예약 후 나타나지 않는 이른바 '노 쇼' 때문에 백신이 버려지고 있어 체계적인 예약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이승재 기자입니다.
[리포트]
백신 접종 예약 대상자인 73세 할머니 한 분이 인터넷으로 예약을 해 봅니다.
[이순덕/73세 : "어디에서부터 순서로 해야 되는 것인지 이게 좀 생소하네요."]
다시 시도한 전화 예약.
["상담원과 연결해드리겠습니다. (......)"]
한 때 전화가 쇄도하면서 통화까진 수차례가 걸렸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사전예약 대상자는 70세에서 74세 사이 어르신 210만 5천여 명과 만성중증호흡기질환자 만 2천여 명입니다.
온라인과 전화, 방문 예약 모두 가능하고, 신분증과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를 들고 주민센터를 방문해도 됩니다.
이마저도 어려운 어르신들을 위해 배우자나 자녀 등 보호자를 통한 대리 예약도 가능합니다.
접종은 전국의 위탁의료기관 만2천여 곳에서 오는 27일부터 진행됩니다.
첫날 예약이 몰리면서 온라인 시스템 에러 등 일부 혼란이 빚어진 가운데, 막상 접종 현장에선 폐기되는 백신이 더 큰 문젭니다.
한정된 백신으로 접종은 순차적으로 이뤄지고 있는데요.
이른바 '노 쇼' 등이 발생할 경우는 이 아까운 백신이 사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개봉 후 6시간 안에 다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예약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대기자를 급히 찾아야 합니다.
[신승주/병원 직원 : "(백신) 노쇼 대기 명단 올려주셨던 걸로 오늘 접종 가능하셔서 연락드렸는데..."]
폐기되는 전체 백신량이 파악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접종 예약자와 대기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김소희/간호사 : "한 센터에서 일정 시간 이후에서는 같이 잔량을 공유한다고 하면 폐기되는 양들이 많이 적어질 것 같습니다."]
정부는 예약 후 접종이 어려울 경우, 다른 이들이 접종을 맞을 수 있도록 미리 접종기관에 연락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KBS 뉴스 이승재입니다.
촬영기자:송혜성/영상편집:황종원
70~74세 사이 어르신을 대상으로 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예약이 어제 시작됐습니다.
온라인이나 전화 예약이 서툰 분들을 위해 보호자 대리 예약도 가능합니다.
정부가 연령별로 일정을 조절해가며 백신 수요공급 조절에 나섰지만, 현장에선 예약 후 나타나지 않는 이른바 '노 쇼' 때문에 백신이 버려지고 있어 체계적인 예약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이승재 기자입니다.
[리포트]
백신 접종 예약 대상자인 73세 할머니 한 분이 인터넷으로 예약을 해 봅니다.
[이순덕/73세 : "어디에서부터 순서로 해야 되는 것인지 이게 좀 생소하네요."]
다시 시도한 전화 예약.
["상담원과 연결해드리겠습니다. (......)"]
한 때 전화가 쇄도하면서 통화까진 수차례가 걸렸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사전예약 대상자는 70세에서 74세 사이 어르신 210만 5천여 명과 만성중증호흡기질환자 만 2천여 명입니다.
온라인과 전화, 방문 예약 모두 가능하고, 신분증과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를 들고 주민센터를 방문해도 됩니다.
이마저도 어려운 어르신들을 위해 배우자나 자녀 등 보호자를 통한 대리 예약도 가능합니다.
접종은 전국의 위탁의료기관 만2천여 곳에서 오는 27일부터 진행됩니다.
첫날 예약이 몰리면서 온라인 시스템 에러 등 일부 혼란이 빚어진 가운데, 막상 접종 현장에선 폐기되는 백신이 더 큰 문젭니다.
한정된 백신으로 접종은 순차적으로 이뤄지고 있는데요.
이른바 '노 쇼' 등이 발생할 경우는 이 아까운 백신이 사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개봉 후 6시간 안에 다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예약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대기자를 급히 찾아야 합니다.
[신승주/병원 직원 : "(백신) 노쇼 대기 명단 올려주셨던 걸로 오늘 접종 가능하셔서 연락드렸는데..."]
폐기되는 전체 백신량이 파악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접종 예약자와 대기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김소희/간호사 : "한 센터에서 일정 시간 이후에서는 같이 잔량을 공유한다고 하면 폐기되는 양들이 많이 적어질 것 같습니다."]
정부는 예약 후 접종이 어려울 경우, 다른 이들이 접종을 맞을 수 있도록 미리 접종기관에 연락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KBS 뉴스 이승재입니다.
촬영기자:송혜성/영상편집:황종원
-
-
이승재 기자 sjl@kbs.co.kr
이승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