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기피 대상 ‘교도소’…주민 상생 시설로 탈바꿈
입력 2021.05.13 (21:43)
수정 2021.05.13 (22: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범죄자들을 수용하는 교도소는 일반적으로 지역 주민들에게 혐오와 기피 대상이었습니다.
하지만, 50년 만에 이전하는 대구교도소는 주민 친화시설로 탈바꿈할 전망입니다.
다음달 말 이전을 앞두고 곽근아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지상 3층 규모의 깔끔한 건물 여러 동이 새단장을 마쳤습니다.
이전을 한 달여 앞두고 준공을 마친 대구교도소입니다.
직원 6백여 명과 재소자 2천 명이 상주할 예정인데, 지역에서는 인구 유입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들이 소비할 식재료로 지역 농산물이 우선 공급됩니다.
[권민희/대구 달성군 하빈면 : "한적하고 그런 곳인데, 외진 곳인데 교도소가 들어오면 좀 나을 거라는 그런 많은 기대를 하고 있어요."]
테니스장과 체육관, 운동장도 지역 주민들에게 개방합니다.
시설 내 들어선 어린이집은 교도관 등 교정공무원뿐 아니라 인근 주민의 자녀들도 다닐 수 있도록 운영됩니다.
교도소가 더 이상 사회와 단절된 곳이 아니라는 발상의 전환이 시도되는 것입니다.
달성군청과 대구시는 일대 시내버스의 배차간격을 줄이고 노선도 확대.신설합니다.
나아가 대구교도소와 지역민 우선 고용 협약도 체결했습니다.
[김문오/달성군수 : "공무직 직원을 채용하게 되면 주민을 우선해서 해주고 모범재소자들을 활용한 노동력 제공을 해서..."]
지난 1971년 이후 50년 만에 새롭게 둥지를 트는 대구교도소.
주민 상생시설의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곽근아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범죄자들을 수용하는 교도소는 일반적으로 지역 주민들에게 혐오와 기피 대상이었습니다.
하지만, 50년 만에 이전하는 대구교도소는 주민 친화시설로 탈바꿈할 전망입니다.
다음달 말 이전을 앞두고 곽근아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지상 3층 규모의 깔끔한 건물 여러 동이 새단장을 마쳤습니다.
이전을 한 달여 앞두고 준공을 마친 대구교도소입니다.
직원 6백여 명과 재소자 2천 명이 상주할 예정인데, 지역에서는 인구 유입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들이 소비할 식재료로 지역 농산물이 우선 공급됩니다.
[권민희/대구 달성군 하빈면 : "한적하고 그런 곳인데, 외진 곳인데 교도소가 들어오면 좀 나을 거라는 그런 많은 기대를 하고 있어요."]
테니스장과 체육관, 운동장도 지역 주민들에게 개방합니다.
시설 내 들어선 어린이집은 교도관 등 교정공무원뿐 아니라 인근 주민의 자녀들도 다닐 수 있도록 운영됩니다.
교도소가 더 이상 사회와 단절된 곳이 아니라는 발상의 전환이 시도되는 것입니다.
달성군청과 대구시는 일대 시내버스의 배차간격을 줄이고 노선도 확대.신설합니다.
나아가 대구교도소와 지역민 우선 고용 협약도 체결했습니다.
[김문오/달성군수 : "공무직 직원을 채용하게 되면 주민을 우선해서 해주고 모범재소자들을 활용한 노동력 제공을 해서..."]
지난 1971년 이후 50년 만에 새롭게 둥지를 트는 대구교도소.
주민 상생시설의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곽근아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혐오·기피 대상 ‘교도소’…주민 상생 시설로 탈바꿈
-
- 입력 2021-05-13 21:43:34
- 수정2021-05-13 22:00:24

[앵커]
범죄자들을 수용하는 교도소는 일반적으로 지역 주민들에게 혐오와 기피 대상이었습니다.
하지만, 50년 만에 이전하는 대구교도소는 주민 친화시설로 탈바꿈할 전망입니다.
다음달 말 이전을 앞두고 곽근아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지상 3층 규모의 깔끔한 건물 여러 동이 새단장을 마쳤습니다.
이전을 한 달여 앞두고 준공을 마친 대구교도소입니다.
직원 6백여 명과 재소자 2천 명이 상주할 예정인데, 지역에서는 인구 유입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들이 소비할 식재료로 지역 농산물이 우선 공급됩니다.
[권민희/대구 달성군 하빈면 : "한적하고 그런 곳인데, 외진 곳인데 교도소가 들어오면 좀 나을 거라는 그런 많은 기대를 하고 있어요."]
테니스장과 체육관, 운동장도 지역 주민들에게 개방합니다.
시설 내 들어선 어린이집은 교도관 등 교정공무원뿐 아니라 인근 주민의 자녀들도 다닐 수 있도록 운영됩니다.
교도소가 더 이상 사회와 단절된 곳이 아니라는 발상의 전환이 시도되는 것입니다.
달성군청과 대구시는 일대 시내버스의 배차간격을 줄이고 노선도 확대.신설합니다.
나아가 대구교도소와 지역민 우선 고용 협약도 체결했습니다.
[김문오/달성군수 : "공무직 직원을 채용하게 되면 주민을 우선해서 해주고 모범재소자들을 활용한 노동력 제공을 해서..."]
지난 1971년 이후 50년 만에 새롭게 둥지를 트는 대구교도소.
주민 상생시설의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곽근아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범죄자들을 수용하는 교도소는 일반적으로 지역 주민들에게 혐오와 기피 대상이었습니다.
하지만, 50년 만에 이전하는 대구교도소는 주민 친화시설로 탈바꿈할 전망입니다.
다음달 말 이전을 앞두고 곽근아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지상 3층 규모의 깔끔한 건물 여러 동이 새단장을 마쳤습니다.
이전을 한 달여 앞두고 준공을 마친 대구교도소입니다.
직원 6백여 명과 재소자 2천 명이 상주할 예정인데, 지역에서는 인구 유입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들이 소비할 식재료로 지역 농산물이 우선 공급됩니다.
[권민희/대구 달성군 하빈면 : "한적하고 그런 곳인데, 외진 곳인데 교도소가 들어오면 좀 나을 거라는 그런 많은 기대를 하고 있어요."]
테니스장과 체육관, 운동장도 지역 주민들에게 개방합니다.
시설 내 들어선 어린이집은 교도관 등 교정공무원뿐 아니라 인근 주민의 자녀들도 다닐 수 있도록 운영됩니다.
교도소가 더 이상 사회와 단절된 곳이 아니라는 발상의 전환이 시도되는 것입니다.
달성군청과 대구시는 일대 시내버스의 배차간격을 줄이고 노선도 확대.신설합니다.
나아가 대구교도소와 지역민 우선 고용 협약도 체결했습니다.
[김문오/달성군수 : "공무직 직원을 채용하게 되면 주민을 우선해서 해주고 모범재소자들을 활용한 노동력 제공을 해서..."]
지난 1971년 이후 50년 만에 새롭게 둥지를 트는 대구교도소.
주민 상생시설의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곽근아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
-
곽근아 기자 charter77@kbs.co.kr
곽근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