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격당한 미 송유관 업체, 해커들에 57억원 가상화폐로 지급”

입력 2021.05.14 (05:00) 수정 2021.05.14 (05: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이버 공격을 받은 미국 최대 송유관 운영사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해킹 범죄단체에 '몸값'을 지불했다고 블룸버그통신과 CNBC방송이 이 사안을 잘 아는 소식통을 인용해 현지시간 13일 보도했습니다.

블룸버그통신은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지난 7일 해킹 공격을 당한 지 수 시간 만에 해커들에게 약 500만 달러(약 56억 7천만 원)를 지불했다고 전했습니다.

회사 측은 추적이 어려운 가상화폐로 이 금액을 전달했고, 미 연방정부도 이 사실을 알고 있다고 또 다른 관계자가 밝혔습니다.

해킹 발생 이후 미 연방수사국(FBI)은 지난해 급부상한 신생 해킹단체 '다크사이드'를 범인으로 지목했고, 다크사이드도 자신들의 소행임을 시사하는 성명을 올린 바 있습니다.

동유럽에 기반을 둔 것으로 추정되는 다크사이드는 지난해 8월 이후 주로 영어권 서방 국가들의 80개 이상 기업을 상대로 랜섬웨어 공격을 저질러 수백억 달러의 손실을 입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커들은 돈을 받자마자 네트워크를 복구할 수 있는 '복호화 툴'을 보내줬지만, 작동이 너무 느려 회사 측은 시스템 복구를 지원하기 위해 자체 백업을 계속 활용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습니다.

FBI는 통상 비슷한 유형의 범죄를 부를 수 있다는 이유로 몸값을 지불하지 말 것을 권고하지만, 이번 사건의 경우에는 "콜로니얼은 민간 기업"이라며 지급 여부에 관해 아무런 조언을 하지 않았다고 앤 뉴버거 백악관 사이버·신흥기술 담당 국가안보 부보좌관이 지난 10일 브리핑에서 밝혔습니다.

콜로니얼이 다크사이드에 몸값을 지불했다는 CNBC 보도는 회사 측이 시스템 재가동에 들어간 이후에 나왔습니다.

콜로니얼은 전날 저녁 성명을 통해 파이프라인 재가동을 시작했다고 발표한 데 이어 전체 시스템에 걸쳐 서비스를 재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텍사스주 걸프만에서 동부 뉴저지주까지 총연장 8천850㎞의 송유관을 운영하는 콜로니얼은 지난 7일 랜섬웨어 공격으로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자 모든 시설 가동을 중단했습니다.

미국 동부 해안 일대 석유 공급의 45%를 책임지는 콜로니얼 송유관이 엿새 동안 가동 중단되면서 남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사재기' 현상이 벌어지고, 휘발유 소비자가격이 7년 만에 갤런당 3달러를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격당한 미 송유관 업체, 해커들에 57억원 가상화폐로 지급”
    • 입력 2021-05-14 05:00:13
    • 수정2021-05-14 05:47:52
    국제
사이버 공격을 받은 미국 최대 송유관 운영사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해킹 범죄단체에 '몸값'을 지불했다고 블룸버그통신과 CNBC방송이 이 사안을 잘 아는 소식통을 인용해 현지시간 13일 보도했습니다.

블룸버그통신은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지난 7일 해킹 공격을 당한 지 수 시간 만에 해커들에게 약 500만 달러(약 56억 7천만 원)를 지불했다고 전했습니다.

회사 측은 추적이 어려운 가상화폐로 이 금액을 전달했고, 미 연방정부도 이 사실을 알고 있다고 또 다른 관계자가 밝혔습니다.

해킹 발생 이후 미 연방수사국(FBI)은 지난해 급부상한 신생 해킹단체 '다크사이드'를 범인으로 지목했고, 다크사이드도 자신들의 소행임을 시사하는 성명을 올린 바 있습니다.

동유럽에 기반을 둔 것으로 추정되는 다크사이드는 지난해 8월 이후 주로 영어권 서방 국가들의 80개 이상 기업을 상대로 랜섬웨어 공격을 저질러 수백억 달러의 손실을 입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커들은 돈을 받자마자 네트워크를 복구할 수 있는 '복호화 툴'을 보내줬지만, 작동이 너무 느려 회사 측은 시스템 복구를 지원하기 위해 자체 백업을 계속 활용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습니다.

FBI는 통상 비슷한 유형의 범죄를 부를 수 있다는 이유로 몸값을 지불하지 말 것을 권고하지만, 이번 사건의 경우에는 "콜로니얼은 민간 기업"이라며 지급 여부에 관해 아무런 조언을 하지 않았다고 앤 뉴버거 백악관 사이버·신흥기술 담당 국가안보 부보좌관이 지난 10일 브리핑에서 밝혔습니다.

콜로니얼이 다크사이드에 몸값을 지불했다는 CNBC 보도는 회사 측이 시스템 재가동에 들어간 이후에 나왔습니다.

콜로니얼은 전날 저녁 성명을 통해 파이프라인 재가동을 시작했다고 발표한 데 이어 전체 시스템에 걸쳐 서비스를 재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텍사스주 걸프만에서 동부 뉴저지주까지 총연장 8천850㎞의 송유관을 운영하는 콜로니얼은 지난 7일 랜섬웨어 공격으로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자 모든 시설 가동을 중단했습니다.

미국 동부 해안 일대 석유 공급의 45%를 책임지는 콜로니얼 송유관이 엿새 동안 가동 중단되면서 남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사재기' 현상이 벌어지고, 휘발유 소비자가격이 7년 만에 갤런당 3달러를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