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암 발병, 소각장과 무관”…주민 반발 거세
입력 2021.05.14 (07:43)
수정 2021.05.14 (08: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충북 청주에서 소각장 주변에 사는 주민 수십 명이 암에 걸려 숨지면서 환경부가 인과 관계를 조사했는데요.
소각장 운영과 암 발병의 연관성을 입증하기 어렵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주민들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정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마을 반경 2km에 소각장 3곳이 가동 중인 충북 청주의 한 마을입니다.
이 3곳이 하루 처리하는 소각량은 542톤으로 20년 새 36배 늘었습니다.
최근 10년 동안 일대 주민 60명이 암으로 숨지면서 마을이 발칵 뒤집혔습니다.
[손옥순/충북 청주시 북이면/위암 환자 : "여기서 사람 사는 게 (소각장 악취), 그런 냄새가 없어야 살고 이러는데 냄새가 자꾸 오고 그러니까 사람이 어떻게 살아요."]
피해가 잇따르자 환경부가 전국 최초로 주민 건강영향조사를 벌였습니다.
1년여 조사 결과, 소각장 가동과 집단 암 발병의 인과 관계를 확인하기 어렵다고 환경부는 결론 냈습니다.
대기 중 유해 물질인 다이옥신과 카드뮴 농도가 대조 지역보다는 높았지만, 배출 허용 기준보다는 낮게 측정돼섭니다.
하지만 일부 오염물질은 대조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소변 중 카드뮴 농도 등은 성인 평균의 최대 5.7배나 됐습니다.
다른 지역과 비교했을 때, 담낭암과 신장암 발생도 3배 가까이 높았습니다.
[유민채/충북 청주시 북이면 주민협의체 사무국장 : "'술은 먹었지만, 음주운전은 아니다'라는 그런 이상한 결론이 나온 게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들어요."]
조사에 참여했던 한 전문가도 조사에 한계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용대/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교수 : "암 발생이나 이런 것들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것이 확인이 됐고, (소각장 밀집과) 건강 영향은 일부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주민들은 조사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집단 대응을 논의하는 등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촬영기자:김현기
충북 청주에서 소각장 주변에 사는 주민 수십 명이 암에 걸려 숨지면서 환경부가 인과 관계를 조사했는데요.
소각장 운영과 암 발병의 연관성을 입증하기 어렵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주민들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정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마을 반경 2km에 소각장 3곳이 가동 중인 충북 청주의 한 마을입니다.
이 3곳이 하루 처리하는 소각량은 542톤으로 20년 새 36배 늘었습니다.
최근 10년 동안 일대 주민 60명이 암으로 숨지면서 마을이 발칵 뒤집혔습니다.
[손옥순/충북 청주시 북이면/위암 환자 : "여기서 사람 사는 게 (소각장 악취), 그런 냄새가 없어야 살고 이러는데 냄새가 자꾸 오고 그러니까 사람이 어떻게 살아요."]
피해가 잇따르자 환경부가 전국 최초로 주민 건강영향조사를 벌였습니다.
1년여 조사 결과, 소각장 가동과 집단 암 발병의 인과 관계를 확인하기 어렵다고 환경부는 결론 냈습니다.
대기 중 유해 물질인 다이옥신과 카드뮴 농도가 대조 지역보다는 높았지만, 배출 허용 기준보다는 낮게 측정돼섭니다.
하지만 일부 오염물질은 대조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소변 중 카드뮴 농도 등은 성인 평균의 최대 5.7배나 됐습니다.
다른 지역과 비교했을 때, 담낭암과 신장암 발생도 3배 가까이 높았습니다.
[유민채/충북 청주시 북이면 주민협의체 사무국장 : "'술은 먹었지만, 음주운전은 아니다'라는 그런 이상한 결론이 나온 게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들어요."]
조사에 참여했던 한 전문가도 조사에 한계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용대/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교수 : "암 발생이나 이런 것들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것이 확인이 됐고, (소각장 밀집과) 건강 영향은 일부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주민들은 조사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집단 대응을 논의하는 등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촬영기자:김현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단 암 발병, 소각장과 무관”…주민 반발 거세
-
- 입력 2021-05-14 07:43:58
- 수정2021-05-14 08:08:31

[앵커]
충북 청주에서 소각장 주변에 사는 주민 수십 명이 암에 걸려 숨지면서 환경부가 인과 관계를 조사했는데요.
소각장 운영과 암 발병의 연관성을 입증하기 어렵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주민들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정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마을 반경 2km에 소각장 3곳이 가동 중인 충북 청주의 한 마을입니다.
이 3곳이 하루 처리하는 소각량은 542톤으로 20년 새 36배 늘었습니다.
최근 10년 동안 일대 주민 60명이 암으로 숨지면서 마을이 발칵 뒤집혔습니다.
[손옥순/충북 청주시 북이면/위암 환자 : "여기서 사람 사는 게 (소각장 악취), 그런 냄새가 없어야 살고 이러는데 냄새가 자꾸 오고 그러니까 사람이 어떻게 살아요."]
피해가 잇따르자 환경부가 전국 최초로 주민 건강영향조사를 벌였습니다.
1년여 조사 결과, 소각장 가동과 집단 암 발병의 인과 관계를 확인하기 어렵다고 환경부는 결론 냈습니다.
대기 중 유해 물질인 다이옥신과 카드뮴 농도가 대조 지역보다는 높았지만, 배출 허용 기준보다는 낮게 측정돼섭니다.
하지만 일부 오염물질은 대조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소변 중 카드뮴 농도 등은 성인 평균의 최대 5.7배나 됐습니다.
다른 지역과 비교했을 때, 담낭암과 신장암 발생도 3배 가까이 높았습니다.
[유민채/충북 청주시 북이면 주민협의체 사무국장 : "'술은 먹었지만, 음주운전은 아니다'라는 그런 이상한 결론이 나온 게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들어요."]
조사에 참여했던 한 전문가도 조사에 한계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용대/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교수 : "암 발생이나 이런 것들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것이 확인이 됐고, (소각장 밀집과) 건강 영향은 일부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주민들은 조사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집단 대응을 논의하는 등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촬영기자:김현기
충북 청주에서 소각장 주변에 사는 주민 수십 명이 암에 걸려 숨지면서 환경부가 인과 관계를 조사했는데요.
소각장 운영과 암 발병의 연관성을 입증하기 어렵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주민들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정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마을 반경 2km에 소각장 3곳이 가동 중인 충북 청주의 한 마을입니다.
이 3곳이 하루 처리하는 소각량은 542톤으로 20년 새 36배 늘었습니다.
최근 10년 동안 일대 주민 60명이 암으로 숨지면서 마을이 발칵 뒤집혔습니다.
[손옥순/충북 청주시 북이면/위암 환자 : "여기서 사람 사는 게 (소각장 악취), 그런 냄새가 없어야 살고 이러는데 냄새가 자꾸 오고 그러니까 사람이 어떻게 살아요."]
피해가 잇따르자 환경부가 전국 최초로 주민 건강영향조사를 벌였습니다.
1년여 조사 결과, 소각장 가동과 집단 암 발병의 인과 관계를 확인하기 어렵다고 환경부는 결론 냈습니다.
대기 중 유해 물질인 다이옥신과 카드뮴 농도가 대조 지역보다는 높았지만, 배출 허용 기준보다는 낮게 측정돼섭니다.
하지만 일부 오염물질은 대조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소변 중 카드뮴 농도 등은 성인 평균의 최대 5.7배나 됐습니다.
다른 지역과 비교했을 때, 담낭암과 신장암 발생도 3배 가까이 높았습니다.
[유민채/충북 청주시 북이면 주민협의체 사무국장 : "'술은 먹었지만, 음주운전은 아니다'라는 그런 이상한 결론이 나온 게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들어요."]
조사에 참여했던 한 전문가도 조사에 한계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용대/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교수 : "암 발생이나 이런 것들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것이 확인이 됐고, (소각장 밀집과) 건강 영향은 일부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주민들은 조사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집단 대응을 논의하는 등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정훈입니다.
촬영기자:김현기
-
-
이정훈 기자 hwarang08@kbs.co.kr
이정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