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 1차 때보다 2차 접종 때 이상반응 더 흔해

입력 2021.05.20 (23:47) 수정 2021.05.20 (23: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현재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사전 예약이 진행 중인 가운데 오는 27일부터 접종하는 65세 이상 예약은 이미 마감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백신 이상반응에 대한 우려는 여전한 상황인데요.

화이자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은 대부분 경미하고 1차 때보다 2차 때 더 흔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신민혜 의학전문기자 나와 있습니다.

화이자 코로나19 백신을 맞은 후 이상반응이 1차 접종 때 보다 2차 접종 때 더 흔하다는 게 백신 이상반응과 관련한 첫번째 국내 연구 결과죠?

[기자]

서울아산병원 연구팀 코로나19 환자를 돌보는 의료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3주 간격으로 화이자 백신 1,2차 접종 완료한 265명을 분석을 했는데요.

분석 결과, 백신 접종 후 3일 이내에 이상반응이 나타났다고 응답한 비율이 1차 접종 때 80%, 2차 접종 때 89%로 2차 접종 때 더 높았습니다.

[앵커]

이상반응은 주로 어떤 것들이 있었나요?

대부분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가벼운 이상반응이라면서요?

[기자]

그래프 보시면, 2차 접종 후가 1차 접종 후에 비해 모든 이상반응 증상에서 더 많이 발생했습니다.

2차 접종 후 나타난 이상반응을 증상별로 보면요.

국소적으로는 주사 부위 통증 호소한 접종자가 212명(80.0%)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전신 이상반응 중에서는 근육통이 183명(69.1%)로 가장 많았고, 피로, 두통, 오한, 발열 순이었습니다.

특히, 전신반응은 2차 접종 후에 1차 접종이 비해 20% 넘게 발생률이 높았습니다.

또, 해열제나 진통제 복용이 1차(34%)보다 2차(67%)에서 더 많았습니다.

[앵커]

접종 후 이상 반응 연구 결과인데 왜 화이자 백신 것만 있죠?

AZ 백신 이상반응 조사는 안 했나요?

[기자]

이번 연구는 서울아산병원이 병원 의료진 대상으로 화이자 백신을 접종한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됐습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본격적으로 AZ 2차 접종이 진행되지 않아서 AZ 백신 1차와 2차 접종 이상반응 발생을 비교하긴 어렵습니다.

영국에서 벌인 대규모 연구에서는, 화이자 2차 접종 후 이상반응이 1차 접종 때보다 흔했지만, AZ백신 1차 접종 때 보다는 적었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앵커]

백신 접종이 확대되면 백신 맞고 이상반응 신고 건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서 응급실에 사람들이 몰릴 수 있다는 우려가 많은데요?

[기자]

백신접종 뒤 대표적 증상이 발열인데, 코로나 감염시에도 발열이 나타나는데요.

따라서 발열 환자가 응급실을 찾게되면 코로나19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격리 공간에서 치료를 받게됩니다.

접종 후 48시간 이내 가벼운 증상에는 응급실 방문을 자제하는게 좋습니다.

대한응급학회가 백신 접종 뒤 이상반응이 생겼을 때 대처방법에 대해서 발표를 했는데요.

접종 뒤 48시간 이내에 가벼운 이상 반응증상만 있다면 해열제를 먹고 증상 관찰해야 합니다.

만약, 48시간이 지나도 증상이 사라지지 않거나, 48시간 이내라도 38.5도 이상 발열과 함께 호흡기 증상 또는 후각, 미각 상실 등 코로나 특이 증상이 있을 때는 격리와 코로나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화이자, 1차 때보다 2차 접종 때 이상반응 더 흔해
    • 입력 2021-05-20 23:47:29
    • 수정2021-05-20 23:55:46
    뉴스라인 W
[앵커]

현재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사전 예약이 진행 중인 가운데 오는 27일부터 접종하는 65세 이상 예약은 이미 마감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백신 이상반응에 대한 우려는 여전한 상황인데요.

화이자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은 대부분 경미하고 1차 때보다 2차 때 더 흔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신민혜 의학전문기자 나와 있습니다.

화이자 코로나19 백신을 맞은 후 이상반응이 1차 접종 때 보다 2차 접종 때 더 흔하다는 게 백신 이상반응과 관련한 첫번째 국내 연구 결과죠?

[기자]

서울아산병원 연구팀 코로나19 환자를 돌보는 의료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3주 간격으로 화이자 백신 1,2차 접종 완료한 265명을 분석을 했는데요.

분석 결과, 백신 접종 후 3일 이내에 이상반응이 나타났다고 응답한 비율이 1차 접종 때 80%, 2차 접종 때 89%로 2차 접종 때 더 높았습니다.

[앵커]

이상반응은 주로 어떤 것들이 있었나요?

대부분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가벼운 이상반응이라면서요?

[기자]

그래프 보시면, 2차 접종 후가 1차 접종 후에 비해 모든 이상반응 증상에서 더 많이 발생했습니다.

2차 접종 후 나타난 이상반응을 증상별로 보면요.

국소적으로는 주사 부위 통증 호소한 접종자가 212명(80.0%)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전신 이상반응 중에서는 근육통이 183명(69.1%)로 가장 많았고, 피로, 두통, 오한, 발열 순이었습니다.

특히, 전신반응은 2차 접종 후에 1차 접종이 비해 20% 넘게 발생률이 높았습니다.

또, 해열제나 진통제 복용이 1차(34%)보다 2차(67%)에서 더 많았습니다.

[앵커]

접종 후 이상 반응 연구 결과인데 왜 화이자 백신 것만 있죠?

AZ 백신 이상반응 조사는 안 했나요?

[기자]

이번 연구는 서울아산병원이 병원 의료진 대상으로 화이자 백신을 접종한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됐습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본격적으로 AZ 2차 접종이 진행되지 않아서 AZ 백신 1차와 2차 접종 이상반응 발생을 비교하긴 어렵습니다.

영국에서 벌인 대규모 연구에서는, 화이자 2차 접종 후 이상반응이 1차 접종 때보다 흔했지만, AZ백신 1차 접종 때 보다는 적었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앵커]

백신 접종이 확대되면 백신 맞고 이상반응 신고 건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서 응급실에 사람들이 몰릴 수 있다는 우려가 많은데요?

[기자]

백신접종 뒤 대표적 증상이 발열인데, 코로나 감염시에도 발열이 나타나는데요.

따라서 발열 환자가 응급실을 찾게되면 코로나19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격리 공간에서 치료를 받게됩니다.

접종 후 48시간 이내 가벼운 증상에는 응급실 방문을 자제하는게 좋습니다.

대한응급학회가 백신 접종 뒤 이상반응이 생겼을 때 대처방법에 대해서 발표를 했는데요.

접종 뒤 48시간 이내에 가벼운 이상 반응증상만 있다면 해열제를 먹고 증상 관찰해야 합니다.

만약, 48시간이 지나도 증상이 사라지지 않거나, 48시간 이내라도 38.5도 이상 발열과 함께 호흡기 증상 또는 후각, 미각 상실 등 코로나 특이 증상이 있을 때는 격리와 코로나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