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억원 기재차관 “원자재 가격 상승, 소비자 가격에 일부 반영될 수도”

입력 2021.05.21 (09:26) 수정 2021.05.21 (09: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최근 원자재 가격 급등 상황이 일부 공산품의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정부는 오늘(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 주재로 정책점검회의 겸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 차관은 “원유와 철강, 구리 등 원자재 수요는 주요국의 경기 부양책과 친환경 트렌드 전환 등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공급 회복 속도가 수요만큼 충분하지 않아 가격이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을 회복·웃돌고 있다”면서 “가격 상승과 사재기 등 시장교란행위로 우리 기업의 추가 부담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차관은 “중소기업은 원자재 가격 상승분을 납품단가에 반영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면서 “향후 원자재 가격 상승분이 시차를 두고 내구재 등의 소비자가격에 일부 반영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이어 “국제유가의 경우 2~3분기를 정점으로 배럴당 60달러대에서 안정되고 원자재도 글로벌 공급이 확대되면서 점차 수급균형을 찾아간다는 것이 주요 분석기관들의 전망”이라고 소개했습니다.

그는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충격 최소화를 위해 정부가 보유한 비축물자를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할인·외상 방출을 통해 기업의 구매 부담을 완화하는 등 원자재 가격이 우리 경제에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신속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수출입물류 지원 추진현황 및 후속조치도 논의했습니다.

이 차관은 “폭발적인 수출 증가세에 대응하고자 미주와 유럽항로 등에 선박 공급을 확대하고 중소·중견기업에 수출 바우처 물류비 지원 한도를 2배로 상향하는 등 운임 지원도 늘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기재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억원 기재차관 “원자재 가격 상승, 소비자 가격에 일부 반영될 수도”
    • 입력 2021-05-21 09:26:15
    • 수정2021-05-21 09:43:25
    경제
정부가 최근 원자재 가격 급등 상황이 일부 공산품의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정부는 오늘(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 주재로 정책점검회의 겸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 차관은 “원유와 철강, 구리 등 원자재 수요는 주요국의 경기 부양책과 친환경 트렌드 전환 등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공급 회복 속도가 수요만큼 충분하지 않아 가격이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을 회복·웃돌고 있다”면서 “가격 상승과 사재기 등 시장교란행위로 우리 기업의 추가 부담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차관은 “중소기업은 원자재 가격 상승분을 납품단가에 반영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면서 “향후 원자재 가격 상승분이 시차를 두고 내구재 등의 소비자가격에 일부 반영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이어 “국제유가의 경우 2~3분기를 정점으로 배럴당 60달러대에서 안정되고 원자재도 글로벌 공급이 확대되면서 점차 수급균형을 찾아간다는 것이 주요 분석기관들의 전망”이라고 소개했습니다.

그는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충격 최소화를 위해 정부가 보유한 비축물자를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할인·외상 방출을 통해 기업의 구매 부담을 완화하는 등 원자재 가격이 우리 경제에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신속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수출입물류 지원 추진현황 및 후속조치도 논의했습니다.

이 차관은 “폭발적인 수출 증가세에 대응하고자 미주와 유럽항로 등에 선박 공급을 확대하고 중소·중견기업에 수출 바우처 물류비 지원 한도를 2배로 상향하는 등 운임 지원도 늘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기재부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