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로 미래로] 달라진 통일 퀴즈쇼…“드라이브로 즐겨요!”

입력 2021.05.22 (08:23) 수정 2021.05.22 (08: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장기간 이어지고 있는 코로나19 사태.

백신 접종이 이뤄지고 있지만 전 세계적인 팬데믹 상황은 우리 삶의 많은 부분을 바꿔놨죠?

네, 이른바 '드라이브 스루' 방식의 코로나 검사가 도입되면서 검사소 앞에 긴 차량 행렬이 만들어지기도 했는데요.

이렇게 주로 코로나 검사 때 활용되던 '드라이브 스루' 방식이 이제 사회 각 부문으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최효은 리포터, '드라이브 스루' 방식으로 열린 통일 퀴즈쇼가 있다고요?

[답변]

네, 경남 창녕에서 퀴즈쇼가 있었는데요.

참가자들이 차량에 탑승한 채 퀴즈를 푸는 방식으로 진행이 됐습니다.

[앵커]

네, 차에 타서 문제를 푼다는 것은 사람 간 접촉을 최대한 줄이려고 그렇게 한 모양이죠?

[답변]

네, 퀴즈대회를 열려면 많은 사람이 한 장소에 모여야 하잖아요.

그런데 지금은 그럴 상황이 아니니까 주최 측이 이런 방식을 채택했다고 합니다.

통일의 염원을 담은 드라이브 스루 퀴즈쇼.

지금부터 함께 가보시죠.

[리포트]

온천 휴양지로 유명한 경남 창녕군 부곡면.

코로나19로 인해 관광객들 발길이 잦아들던 이곳이 오랜만에 활기를 되찾았습니다.

["양쪽에서 차가 내려오니까 잘 코치를 해서 안쪽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안전에 항상 유의해야 돼. 위험하니까."]

경남 도민들을 대상으로 한 통일 퀴즈쇼 준비가 한창인데요.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해 안전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었습니다.

퀴즈대회인 만큼 어떤 문제들이 출제되느냐가 가장 중요한데요.

[정나미/통일퀴즈쇼 진행자 : "퀴즈쇼 출제해야 하는데 문제 난이도 같은 거 한 번 더 확인해 보고요. 여기서 의미가 있을 만한 문제가 뭐가 있을지 같이 얘기하고 있었어요."]

시사적인 문제부터 남북한 단어를 비교하는 문제까지 약 30개의 문제가 준비돼 있었습니다.

[이명환/통일퀴즈쇼 진행자 : "문제가 재밌을 거 같은데. 이런 것도 재밌잖아요. 보통 북한에도 온라인 쇼핑몰 있다 없다. 보통 없다고 생각하잖아요. (있어요, 있어요.) 그러니까."]

리허설 이후 마지막 점검까지 하나하나 꼼꼼히 행사 준비를 했는데요.

[윤동보/민주평화통일협의회 경남지부 : "아무래도 통일에 관련된 사항을 이야기한다는 자체가 관심 없어 하시고 하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근데 이걸 어떻게 하면 쉽게 편하게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을 하다가 이런 기획을 하게 됐습니다."]

이제 본격적인 퀴즈쇼가 시작되고, 참가자들이 탑승한 차량이 줄을 지어 들어옵니다.

["(북한에서) 기름밥은 우리말의 무엇을 이야기할까요? (볶음밥이요!) 볶음밥? 정답입니다!"]

통일과 관련된 문제가 쉽지 않은데 어린아이까지 아주 진지하게 참여하는 모습입니다.

["아름다운 북한의 산 이름이거든요. 무슨 산이게요. ○○○도 식후경 자~ 정답은? (금강산!) 금강산 정답입니다. 초등학교 1학년이 이렇게 어려운 문제를! (엄마 내가 맞혔어!)"]

차에 탄 채로 문제를 풀기 때문에 사람 간 접촉을 최대한 줄일 수 있었는데요.

["창녕 특산물입니다. 오늘 저녁 맛있게 드세요! (감사합니다!)"]

정답을 맞히면 창녕군에서 생산한 농산물 등 다양한 상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통일퀴즈쇼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요.

총 100팀이 참가해서 통일을 염원하는 퀴즈를 풀게 됩니다.

퀴즈는 각 연령층에 따라서 달리 출제가 되는데요.

오늘 참가자들은 퀴즈를 모두 다 맞힐 수 있을까요.

참가자들은 통일에 대한 자신만의 생각을 표현하기도 했는데요.

모두 한마음으로 한반도의 평화를 바라고 있었습니다.

[송재석/경남 김해시 : "한반도 평화는 사랑이다. 우리 한반도가 평화통일을 통해서 남북이 하나가 되고 세계가 하나가 되고 어려움이 없는 전쟁이 없는 그런 세계가 되길 바라서 '사랑이라'라고 표현했습니다."]

저도 실력 발휘 좀 해볼까요?

막상 직접 문제를 풀어 보니 쉽지 않더라고요.

["어디서 오셨나요? (저희 서울 KBS에서 왔습니다.) 굉장히 멀리서 오셨네요. (네, 오늘 퀴즈 맞히러 여기까지 왔습니다.) 그렇다면 최상의 난이도 문제를 드려도 괜찮을까요? (제가 자신은 없지만 한번 최대한 노력을 해서 풀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휴전협정 혹은 정전협정이 군사적 목적으로 분쟁을 멈추는 의미를 지닌 협정이라고 한다면 ○○협정은 군사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등 여러 문제의 안정과 평화를 추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체결된 협정입니다. ○○ 안에 들어갈 협정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평화협정. (평화협정. 정답입니다!)"]

저는 무사히 통과! 이어서 다른 참가자가 문제를 풀기 위해 들어옵니다.

["자~ 북한 청소년들이 방탄소년단을 부르는 애칭이 있습니다. 1번 방탄 가방, 2번 방탄 주머니, 3번 방탄 배낭. 정답은?"]

["느낌에 3번! (느낌에 3번. 엄마의 느낌 좋습니다. 정답입니다!)"]

["(저희 온천 이용권 준비돼 있는데...) 감사합니다."]

이번 퀴즈쇼에는 어린 학생들 참여가 두드러졌는데요.

["통일이 되면 북한 여행을 하고 싶다. (북한 어디 가고 싶어, 제일 먼저?) 백두산. (백두산 좋다.)"]

통일에 대한 아이들의 순수한 마음도 엿볼 수 있었습니다.

[성다혜/초등학교 4학년 : "학교에서 하고 친구들이랑 상의해서 통일 얘기 했는데 영상 보고 울었어요. (그래서 북한 친구들이랑 수업도 듣고 놀고 싶은 거구나. 북한 친구들이랑 빨리 한 교실에서 만날 수 있길 기대해 볼게요.)"]

[성정경/경남 창녕군 : "오랜만에 가족들과 나와서 알찬 시간 보낸 거 같아서 좋았습니다. 지금은 통일이 안 됐지만, 우리 아이들이 컸을 때는 통일이 돼서 한반도가 하나 된 모습을 물려주고 싶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대면 접촉이 줄어드는 요즘.

'드라이브 스루' 방식으로 진행된 통일 퀴즈쇼가 한반도 평화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통일로 미래로] 달라진 통일 퀴즈쇼…“드라이브로 즐겨요!”
    • 입력 2021-05-22 08:23:24
    • 수정2021-05-22 08:47:35
    남북의 창
[앵커]

장기간 이어지고 있는 코로나19 사태.

백신 접종이 이뤄지고 있지만 전 세계적인 팬데믹 상황은 우리 삶의 많은 부분을 바꿔놨죠?

네, 이른바 '드라이브 스루' 방식의 코로나 검사가 도입되면서 검사소 앞에 긴 차량 행렬이 만들어지기도 했는데요.

이렇게 주로 코로나 검사 때 활용되던 '드라이브 스루' 방식이 이제 사회 각 부문으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최효은 리포터, '드라이브 스루' 방식으로 열린 통일 퀴즈쇼가 있다고요?

[답변]

네, 경남 창녕에서 퀴즈쇼가 있었는데요.

참가자들이 차량에 탑승한 채 퀴즈를 푸는 방식으로 진행이 됐습니다.

[앵커]

네, 차에 타서 문제를 푼다는 것은 사람 간 접촉을 최대한 줄이려고 그렇게 한 모양이죠?

[답변]

네, 퀴즈대회를 열려면 많은 사람이 한 장소에 모여야 하잖아요.

그런데 지금은 그럴 상황이 아니니까 주최 측이 이런 방식을 채택했다고 합니다.

통일의 염원을 담은 드라이브 스루 퀴즈쇼.

지금부터 함께 가보시죠.

[리포트]

온천 휴양지로 유명한 경남 창녕군 부곡면.

코로나19로 인해 관광객들 발길이 잦아들던 이곳이 오랜만에 활기를 되찾았습니다.

["양쪽에서 차가 내려오니까 잘 코치를 해서 안쪽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안전에 항상 유의해야 돼. 위험하니까."]

경남 도민들을 대상으로 한 통일 퀴즈쇼 준비가 한창인데요.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해 안전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었습니다.

퀴즈대회인 만큼 어떤 문제들이 출제되느냐가 가장 중요한데요.

[정나미/통일퀴즈쇼 진행자 : "퀴즈쇼 출제해야 하는데 문제 난이도 같은 거 한 번 더 확인해 보고요. 여기서 의미가 있을 만한 문제가 뭐가 있을지 같이 얘기하고 있었어요."]

시사적인 문제부터 남북한 단어를 비교하는 문제까지 약 30개의 문제가 준비돼 있었습니다.

[이명환/통일퀴즈쇼 진행자 : "문제가 재밌을 거 같은데. 이런 것도 재밌잖아요. 보통 북한에도 온라인 쇼핑몰 있다 없다. 보통 없다고 생각하잖아요. (있어요, 있어요.) 그러니까."]

리허설 이후 마지막 점검까지 하나하나 꼼꼼히 행사 준비를 했는데요.

[윤동보/민주평화통일협의회 경남지부 : "아무래도 통일에 관련된 사항을 이야기한다는 자체가 관심 없어 하시고 하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근데 이걸 어떻게 하면 쉽게 편하게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을 하다가 이런 기획을 하게 됐습니다."]

이제 본격적인 퀴즈쇼가 시작되고, 참가자들이 탑승한 차량이 줄을 지어 들어옵니다.

["(북한에서) 기름밥은 우리말의 무엇을 이야기할까요? (볶음밥이요!) 볶음밥? 정답입니다!"]

통일과 관련된 문제가 쉽지 않은데 어린아이까지 아주 진지하게 참여하는 모습입니다.

["아름다운 북한의 산 이름이거든요. 무슨 산이게요. ○○○도 식후경 자~ 정답은? (금강산!) 금강산 정답입니다. 초등학교 1학년이 이렇게 어려운 문제를! (엄마 내가 맞혔어!)"]

차에 탄 채로 문제를 풀기 때문에 사람 간 접촉을 최대한 줄일 수 있었는데요.

["창녕 특산물입니다. 오늘 저녁 맛있게 드세요! (감사합니다!)"]

정답을 맞히면 창녕군에서 생산한 농산물 등 다양한 상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통일퀴즈쇼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요.

총 100팀이 참가해서 통일을 염원하는 퀴즈를 풀게 됩니다.

퀴즈는 각 연령층에 따라서 달리 출제가 되는데요.

오늘 참가자들은 퀴즈를 모두 다 맞힐 수 있을까요.

참가자들은 통일에 대한 자신만의 생각을 표현하기도 했는데요.

모두 한마음으로 한반도의 평화를 바라고 있었습니다.

[송재석/경남 김해시 : "한반도 평화는 사랑이다. 우리 한반도가 평화통일을 통해서 남북이 하나가 되고 세계가 하나가 되고 어려움이 없는 전쟁이 없는 그런 세계가 되길 바라서 '사랑이라'라고 표현했습니다."]

저도 실력 발휘 좀 해볼까요?

막상 직접 문제를 풀어 보니 쉽지 않더라고요.

["어디서 오셨나요? (저희 서울 KBS에서 왔습니다.) 굉장히 멀리서 오셨네요. (네, 오늘 퀴즈 맞히러 여기까지 왔습니다.) 그렇다면 최상의 난이도 문제를 드려도 괜찮을까요? (제가 자신은 없지만 한번 최대한 노력을 해서 풀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휴전협정 혹은 정전협정이 군사적 목적으로 분쟁을 멈추는 의미를 지닌 협정이라고 한다면 ○○협정은 군사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등 여러 문제의 안정과 평화를 추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체결된 협정입니다. ○○ 안에 들어갈 협정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평화협정. (평화협정. 정답입니다!)"]

저는 무사히 통과! 이어서 다른 참가자가 문제를 풀기 위해 들어옵니다.

["자~ 북한 청소년들이 방탄소년단을 부르는 애칭이 있습니다. 1번 방탄 가방, 2번 방탄 주머니, 3번 방탄 배낭. 정답은?"]

["느낌에 3번! (느낌에 3번. 엄마의 느낌 좋습니다. 정답입니다!)"]

["(저희 온천 이용권 준비돼 있는데...) 감사합니다."]

이번 퀴즈쇼에는 어린 학생들 참여가 두드러졌는데요.

["통일이 되면 북한 여행을 하고 싶다. (북한 어디 가고 싶어, 제일 먼저?) 백두산. (백두산 좋다.)"]

통일에 대한 아이들의 순수한 마음도 엿볼 수 있었습니다.

[성다혜/초등학교 4학년 : "학교에서 하고 친구들이랑 상의해서 통일 얘기 했는데 영상 보고 울었어요. (그래서 북한 친구들이랑 수업도 듣고 놀고 싶은 거구나. 북한 친구들이랑 빨리 한 교실에서 만날 수 있길 기대해 볼게요.)"]

[성정경/경남 창녕군 : "오랜만에 가족들과 나와서 알찬 시간 보낸 거 같아서 좋았습니다. 지금은 통일이 안 됐지만, 우리 아이들이 컸을 때는 통일이 돼서 한반도가 하나 된 모습을 물려주고 싶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대면 접촉이 줄어드는 요즘.

'드라이브 스루' 방식으로 진행된 통일 퀴즈쇼가 한반도 평화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