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 위 ‘시한폭탄’ 항만 노후 크레인, 노동자 안전 위협

입력 2021.05.28 (06:53) 수정 2021.05.28 (08: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부산항에서 운영 중인 컨테이너 크레인 절반이 20년이 넘었는데요.

크레인이 낡다보니 안전사고가 잇따르고 있지만 내구 연한에 대한 기준마저 없어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보도에 정민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트럭에 실려야 할 대형 컨테이너가 바닥에 떨어져 있습니다.

크레인에서 떨어진 이 컨테이너에 하역 노동자가 깔려 목숨을 잃었습니다.

3년 전 일어난 이 사고의 주요 원인은 20년 넘게 사용한 크레인에 있었습니다.

제동 장치가 작동 안 해 컨테이너 추락을 제때 막지 못한 겁니다.

이 부두에선 40년 가까이 된 크레인이 지금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른 부두 사정도 비슷합니다.

부산항 북항에서 사용하는 안벽 크레인과 컨테이너 크레인은 모두 174기.

이 가운데 20년이 넘어 노후 장비로 분류되는 것만 절반이 넘습니다.

문제는 이런 크레인의 노후화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는 건데, 이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 또한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 3년 사이 하역용 안벽 크레인에서만 구조물이 추락한 낙하사고만 6건입니다.

역시 크레인 노후화가 주된 사고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항만 크레인은 법적으로 사용 연한이 20년으로 정해진 공사장 타워크레인과 달리 내구연한이 없습니다.

1년에 두 차례 정기 안전 점검만 하면 언제까지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선 설비 개선 등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오현수/한국항만연수원 교수 : "능력치를 강화하는 추가 보강이 필요하고요. 또한 근로자들이 안전하게 하역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역방법론을 바꾸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할 거라고 생각됩니다."]

부산항만공사는 크레인의 유지와 보수는 각 부두 운영사가 맡고 있고, 장비 가격이 수백 억 원에 달하는 만큼 민간 업체에 교체나 시설 보강을 강제하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정민규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영상편집:전은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머리 위 ‘시한폭탄’ 항만 노후 크레인, 노동자 안전 위협
    • 입력 2021-05-28 06:53:30
    • 수정2021-05-28 08:07:44
    뉴스광장 1부
[앵커]

부산항에서 운영 중인 컨테이너 크레인 절반이 20년이 넘었는데요.

크레인이 낡다보니 안전사고가 잇따르고 있지만 내구 연한에 대한 기준마저 없어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보도에 정민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트럭에 실려야 할 대형 컨테이너가 바닥에 떨어져 있습니다.

크레인에서 떨어진 이 컨테이너에 하역 노동자가 깔려 목숨을 잃었습니다.

3년 전 일어난 이 사고의 주요 원인은 20년 넘게 사용한 크레인에 있었습니다.

제동 장치가 작동 안 해 컨테이너 추락을 제때 막지 못한 겁니다.

이 부두에선 40년 가까이 된 크레인이 지금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른 부두 사정도 비슷합니다.

부산항 북항에서 사용하는 안벽 크레인과 컨테이너 크레인은 모두 174기.

이 가운데 20년이 넘어 노후 장비로 분류되는 것만 절반이 넘습니다.

문제는 이런 크레인의 노후화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는 건데, 이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 또한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 3년 사이 하역용 안벽 크레인에서만 구조물이 추락한 낙하사고만 6건입니다.

역시 크레인 노후화가 주된 사고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항만 크레인은 법적으로 사용 연한이 20년으로 정해진 공사장 타워크레인과 달리 내구연한이 없습니다.

1년에 두 차례 정기 안전 점검만 하면 언제까지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선 설비 개선 등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오현수/한국항만연수원 교수 : "능력치를 강화하는 추가 보강이 필요하고요. 또한 근로자들이 안전하게 하역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역방법론을 바꾸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할 거라고 생각됩니다."]

부산항만공사는 크레인의 유지와 보수는 각 부두 운영사가 맡고 있고, 장비 가격이 수백 억 원에 달하는 만큼 민간 업체에 교체나 시설 보강을 강제하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정민규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영상편집:전은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