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 도시 트윗’은 32억 원, 그렇다면 ‘노벨상 수상자 메모’는 얼마?
입력 2021.05.29 (04:36)
수정 2021.05.29 (04: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각종 예술 작품과 결합해 투자 대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NFT(Non-Fungible Token·대체불가토큰) 기술이 과학자의 메모에 적용돼 경매에 나옵니다.
뉴욕타임스(NYT)는 28일(현지시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UC버클리)이 1996년 제임스 앨리슨이 작성한 항암치료법 관련 서류를 디지털화해 경매에 내놓기로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당시 UC버클리 교수였던 앨리슨은 인체 면역체계에서 제동기 기능을 하는 특정 단백질을 연구했습니다. 그는 이 같은 단백질을 인위적으로 조작해 면역세포가 종양을 공격하도록 하는 항암치료를 고안했고, 이 공로를 인정받아 201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했습니다.
UC버클리는 앨리슨의 서류와 함께 지난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제니퍼 다우드나 교수의 유전자 편집 기술 관련 서류도 NFT 기술을 적용해 경매에 내놓았습니다.
UC버클리 측은 과학사에서 손에 꼽힐 정도로 중요한 발견과 관련한 서류인 만큼 수집가들의 관심이 쏠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최근 경매에서 NFT 기술이 적용된 수집품이 예상을 뛰어넘는 고가에 낙찰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잭 도시 트위터 CEO가 2006년 3월 남긴 트윗은 NFT 시장에 나와 290만 달러(한화 약 32억 9천만 원), NFT 기술을 다룬 NYT의 칼럼은 56만 달러(약 6억 3천만 원)에 팔렸습니다.
또한, 지난달에는 16년 전 미국 주택가의 화재 현장에서 찍어 유명해진 사진 '재난의 소녀'가 NFT가 적용돼 50만 달러(약 5억 5천만 원)에 육박하는 고가에 팔렸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뉴욕타임스(NYT)는 28일(현지시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UC버클리)이 1996년 제임스 앨리슨이 작성한 항암치료법 관련 서류를 디지털화해 경매에 내놓기로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당시 UC버클리 교수였던 앨리슨은 인체 면역체계에서 제동기 기능을 하는 특정 단백질을 연구했습니다. 그는 이 같은 단백질을 인위적으로 조작해 면역세포가 종양을 공격하도록 하는 항암치료를 고안했고, 이 공로를 인정받아 201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했습니다.
UC버클리는 앨리슨의 서류와 함께 지난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제니퍼 다우드나 교수의 유전자 편집 기술 관련 서류도 NFT 기술을 적용해 경매에 내놓았습니다.
UC버클리 측은 과학사에서 손에 꼽힐 정도로 중요한 발견과 관련한 서류인 만큼 수집가들의 관심이 쏠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최근 경매에서 NFT 기술이 적용된 수집품이 예상을 뛰어넘는 고가에 낙찰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잭 도시 트위터 CEO가 2006년 3월 남긴 트윗은 NFT 시장에 나와 290만 달러(한화 약 32억 9천만 원), NFT 기술을 다룬 NYT의 칼럼은 56만 달러(약 6억 3천만 원)에 팔렸습니다.
또한, 지난달에는 16년 전 미국 주택가의 화재 현장에서 찍어 유명해진 사진 '재난의 소녀'가 NFT가 적용돼 50만 달러(약 5억 5천만 원)에 육박하는 고가에 팔렸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잭 도시 트윗’은 32억 원, 그렇다면 ‘노벨상 수상자 메모’는 얼마?
-
- 입력 2021-05-29 04:36:41
- 수정2021-05-29 04:50:27
최근 각종 예술 작품과 결합해 투자 대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NFT(Non-Fungible Token·대체불가토큰) 기술이 과학자의 메모에 적용돼 경매에 나옵니다.
뉴욕타임스(NYT)는 28일(현지시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UC버클리)이 1996년 제임스 앨리슨이 작성한 항암치료법 관련 서류를 디지털화해 경매에 내놓기로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당시 UC버클리 교수였던 앨리슨은 인체 면역체계에서 제동기 기능을 하는 특정 단백질을 연구했습니다. 그는 이 같은 단백질을 인위적으로 조작해 면역세포가 종양을 공격하도록 하는 항암치료를 고안했고, 이 공로를 인정받아 201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했습니다.
UC버클리는 앨리슨의 서류와 함께 지난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제니퍼 다우드나 교수의 유전자 편집 기술 관련 서류도 NFT 기술을 적용해 경매에 내놓았습니다.
UC버클리 측은 과학사에서 손에 꼽힐 정도로 중요한 발견과 관련한 서류인 만큼 수집가들의 관심이 쏠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최근 경매에서 NFT 기술이 적용된 수집품이 예상을 뛰어넘는 고가에 낙찰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잭 도시 트위터 CEO가 2006년 3월 남긴 트윗은 NFT 시장에 나와 290만 달러(한화 약 32억 9천만 원), NFT 기술을 다룬 NYT의 칼럼은 56만 달러(약 6억 3천만 원)에 팔렸습니다.
또한, 지난달에는 16년 전 미국 주택가의 화재 현장에서 찍어 유명해진 사진 '재난의 소녀'가 NFT가 적용돼 50만 달러(약 5억 5천만 원)에 육박하는 고가에 팔렸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뉴욕타임스(NYT)는 28일(현지시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UC버클리)이 1996년 제임스 앨리슨이 작성한 항암치료법 관련 서류를 디지털화해 경매에 내놓기로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당시 UC버클리 교수였던 앨리슨은 인체 면역체계에서 제동기 기능을 하는 특정 단백질을 연구했습니다. 그는 이 같은 단백질을 인위적으로 조작해 면역세포가 종양을 공격하도록 하는 항암치료를 고안했고, 이 공로를 인정받아 201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했습니다.
UC버클리는 앨리슨의 서류와 함께 지난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제니퍼 다우드나 교수의 유전자 편집 기술 관련 서류도 NFT 기술을 적용해 경매에 내놓았습니다.
UC버클리 측은 과학사에서 손에 꼽힐 정도로 중요한 발견과 관련한 서류인 만큼 수집가들의 관심이 쏠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최근 경매에서 NFT 기술이 적용된 수집품이 예상을 뛰어넘는 고가에 낙찰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잭 도시 트위터 CEO가 2006년 3월 남긴 트윗은 NFT 시장에 나와 290만 달러(한화 약 32억 9천만 원), NFT 기술을 다룬 NYT의 칼럼은 56만 달러(약 6억 3천만 원)에 팔렸습니다.
또한, 지난달에는 16년 전 미국 주택가의 화재 현장에서 찍어 유명해진 사진 '재난의 소녀'가 NFT가 적용돼 50만 달러(약 5억 5천만 원)에 육박하는 고가에 팔렸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
김기흥 기자 heung@kbs.co.kr
김기흥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