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개장 앞둔 해수욕장…방역은 ‘글쎄’
입력 2021.05.29 (21:36)
수정 2021.05.29 (22: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맑고 화창한 날씨 속에 주말을 맞은 해수욕장에는 나들이 인파가 몰렸습니다.
다음 주에는 부산의 해수욕장 2곳이 조기 개장하는 데요,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한 방역수칙 등이 제대로 지켜질지 걱정입니다.
보도에 황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초여름 햇살이 내리쬐는 해수욕장.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해변을 거닐거나 바닷물에 발도 담급니다.
아이들에겐 백사장이 놀이텁니다.
[김이영/울산시 남구 : "사람 많아서 좀 걱정은 됐는데, 그래도 괜찮은 것 같아요. 왔다 갔다 하시면서 마스크 끼는 것도 잘 점검해 주시고요."]
다음 달 1일부터 이곳 해운대와 송정 해수욕장이 한 달 일찍 문을 엽니다.
조기 개장하는 해수욕장 2곳에는 수상 안전요원도 배치되는데요,
다만 파라솔이나 샤워장 등 편의시설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
입수 가능한 구간도 해운대 300m, 송정 150m로 제한합니다.
지난해 여름 부산의 해수욕장을 찾은 피서객은 천 4백여만 명.
부산시는 나머지 5개 해수욕장까지 개장하면 전국에서 더 많은 피서객이 몰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문제는 해수욕장 방역입니다.
백사장에서 무리 지어 공놀이를 하거나 일광욕을 즐기는 외국인 관광객들.
대부분 마스크를 쓰지 않았습니다.
방역수칙 위반으로 과태료를 물릴 수 있다는 안내문을 내걸고 계도 활동도 벌이지만 그때뿐입니다.
[해운대 관광시설관리사업소 관계자 : "(마스크를) 차라고 하면 차는데 돌아서면 또 바로 벗습니다. 5인 이상 못 모이게 돼 있는데, 외국 분들은 7~8명, 10명씩…."]
일부 피서객은 높은 파도가 치는 곳에서 위험한 물놀이도 아랑곳하지 않습니다.
본격적인 피서철을 앞두고 해수욕장 방역은 물론 안전에 대한 우려는 여전합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
맑고 화창한 날씨 속에 주말을 맞은 해수욕장에는 나들이 인파가 몰렸습니다.
다음 주에는 부산의 해수욕장 2곳이 조기 개장하는 데요,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한 방역수칙 등이 제대로 지켜질지 걱정입니다.
보도에 황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초여름 햇살이 내리쬐는 해수욕장.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해변을 거닐거나 바닷물에 발도 담급니다.
아이들에겐 백사장이 놀이텁니다.
[김이영/울산시 남구 : "사람 많아서 좀 걱정은 됐는데, 그래도 괜찮은 것 같아요. 왔다 갔다 하시면서 마스크 끼는 것도 잘 점검해 주시고요."]
다음 달 1일부터 이곳 해운대와 송정 해수욕장이 한 달 일찍 문을 엽니다.
조기 개장하는 해수욕장 2곳에는 수상 안전요원도 배치되는데요,
다만 파라솔이나 샤워장 등 편의시설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
입수 가능한 구간도 해운대 300m, 송정 150m로 제한합니다.
지난해 여름 부산의 해수욕장을 찾은 피서객은 천 4백여만 명.
부산시는 나머지 5개 해수욕장까지 개장하면 전국에서 더 많은 피서객이 몰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문제는 해수욕장 방역입니다.
백사장에서 무리 지어 공놀이를 하거나 일광욕을 즐기는 외국인 관광객들.
대부분 마스크를 쓰지 않았습니다.
방역수칙 위반으로 과태료를 물릴 수 있다는 안내문을 내걸고 계도 활동도 벌이지만 그때뿐입니다.
[해운대 관광시설관리사업소 관계자 : "(마스크를) 차라고 하면 차는데 돌아서면 또 바로 벗습니다. 5인 이상 못 모이게 돼 있는데, 외국 분들은 7~8명, 10명씩…."]
일부 피서객은 높은 파도가 치는 곳에서 위험한 물놀이도 아랑곳하지 않습니다.
본격적인 피서철을 앞두고 해수욕장 방역은 물론 안전에 대한 우려는 여전합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조기 개장 앞둔 해수욕장…방역은 ‘글쎄’
-
- 입력 2021-05-29 21:36:53
- 수정2021-05-29 22:20:03
[앵커]
맑고 화창한 날씨 속에 주말을 맞은 해수욕장에는 나들이 인파가 몰렸습니다.
다음 주에는 부산의 해수욕장 2곳이 조기 개장하는 데요,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한 방역수칙 등이 제대로 지켜질지 걱정입니다.
보도에 황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초여름 햇살이 내리쬐는 해수욕장.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해변을 거닐거나 바닷물에 발도 담급니다.
아이들에겐 백사장이 놀이텁니다.
[김이영/울산시 남구 : "사람 많아서 좀 걱정은 됐는데, 그래도 괜찮은 것 같아요. 왔다 갔다 하시면서 마스크 끼는 것도 잘 점검해 주시고요."]
다음 달 1일부터 이곳 해운대와 송정 해수욕장이 한 달 일찍 문을 엽니다.
조기 개장하는 해수욕장 2곳에는 수상 안전요원도 배치되는데요,
다만 파라솔이나 샤워장 등 편의시설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
입수 가능한 구간도 해운대 300m, 송정 150m로 제한합니다.
지난해 여름 부산의 해수욕장을 찾은 피서객은 천 4백여만 명.
부산시는 나머지 5개 해수욕장까지 개장하면 전국에서 더 많은 피서객이 몰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문제는 해수욕장 방역입니다.
백사장에서 무리 지어 공놀이를 하거나 일광욕을 즐기는 외국인 관광객들.
대부분 마스크를 쓰지 않았습니다.
방역수칙 위반으로 과태료를 물릴 수 있다는 안내문을 내걸고 계도 활동도 벌이지만 그때뿐입니다.
[해운대 관광시설관리사업소 관계자 : "(마스크를) 차라고 하면 차는데 돌아서면 또 바로 벗습니다. 5인 이상 못 모이게 돼 있는데, 외국 분들은 7~8명, 10명씩…."]
일부 피서객은 높은 파도가 치는 곳에서 위험한 물놀이도 아랑곳하지 않습니다.
본격적인 피서철을 앞두고 해수욕장 방역은 물론 안전에 대한 우려는 여전합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
맑고 화창한 날씨 속에 주말을 맞은 해수욕장에는 나들이 인파가 몰렸습니다.
다음 주에는 부산의 해수욕장 2곳이 조기 개장하는 데요,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한 방역수칙 등이 제대로 지켜질지 걱정입니다.
보도에 황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초여름 햇살이 내리쬐는 해수욕장.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해변을 거닐거나 바닷물에 발도 담급니다.
아이들에겐 백사장이 놀이텁니다.
[김이영/울산시 남구 : "사람 많아서 좀 걱정은 됐는데, 그래도 괜찮은 것 같아요. 왔다 갔다 하시면서 마스크 끼는 것도 잘 점검해 주시고요."]
다음 달 1일부터 이곳 해운대와 송정 해수욕장이 한 달 일찍 문을 엽니다.
조기 개장하는 해수욕장 2곳에는 수상 안전요원도 배치되는데요,
다만 파라솔이나 샤워장 등 편의시설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
입수 가능한 구간도 해운대 300m, 송정 150m로 제한합니다.
지난해 여름 부산의 해수욕장을 찾은 피서객은 천 4백여만 명.
부산시는 나머지 5개 해수욕장까지 개장하면 전국에서 더 많은 피서객이 몰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문제는 해수욕장 방역입니다.
백사장에서 무리 지어 공놀이를 하거나 일광욕을 즐기는 외국인 관광객들.
대부분 마스크를 쓰지 않았습니다.
방역수칙 위반으로 과태료를 물릴 수 있다는 안내문을 내걸고 계도 활동도 벌이지만 그때뿐입니다.
[해운대 관광시설관리사업소 관계자 : "(마스크를) 차라고 하면 차는데 돌아서면 또 바로 벗습니다. 5인 이상 못 모이게 돼 있는데, 외국 분들은 7~8명, 10명씩…."]
일부 피서객은 높은 파도가 치는 곳에서 위험한 물놀이도 아랑곳하지 않습니다.
본격적인 피서철을 앞두고 해수욕장 방역은 물론 안전에 대한 우려는 여전합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
-
-
황현규 기자 true@kbs.co.kr
황현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코로나19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