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전남] 전남 ‘작은 학교’ 통합 논란 재연

입력 2021.05.31 (19:52) 수정 2021.05.31 (20: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여건이 열악한 전남의 교육이 코로나19 사태 이후엔 오히려 상대적으로 선방한 셈이었는데요.

다름 아니라, 등교가 가능한 소규모학교가 많았기 때문인데, 인구감소와 노령화라는 현실을 비켜가긴 어려워 다시 통합논란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김광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전라남도교육청이 요즘 홍보는 않지만 내심 알아줬으면 하는 일이 있습니다.

진단검사 결과 초등학교 3학년 만 5천명 중 기초학력에 문제가 있는 학생의 비율이 2019년에 비해 20%나 줄었습니다.

초등 1, 2학년 교사들에게 의무적으로 30시간의 기초학력 관련 연수를 받게 하고 전담교사를 둔 정책 등이 효과를 봤습니다.

여기에 이른바 소규모학교가 가장 많았던 전남의 약점이 오히려 강점이 됐습니다.

[이세은/전남교육청 유초등교육과 장학관 : "지난해 코로나19 상황임에도 전남은 60명 이하 작은 학교. 농산어촌 학교는 등교수업을 했습니다. 원격수업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학습결손을 최소화화 할 수 있어서…."]

그러나,기초학력과 학력 양극화 문제가 사회적 국가적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농산어촌 유학프로그램 인기의 이유도 됐던 이 소규모 학교를 놓고 최근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전남교육청이 학생들에게 최소한의 교육여건을 제공하기 위해서라며 조용히 작은학교 통합을 추진해섭니다.

장석웅 교육감이 위원장을 지낸 전교조와 교육청노조,교육시민단체까지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박성근/전교조 전남지부 정책실장 : "작은 학교 살리기 정책이 교육청에도 중요하고 교사들에게도 중요하지만, 지역과 마을에도 중요하다고 봅니다. 작은 학교를 살릴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방법들을 같이 고민해 봤으면 좋겠습니다."]

내년 교육감 선거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일단은 보류하고 공론화를 거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혀가고는 있지만, 코로나 사태 이후 정상화를 염두에 두면 논란은 언제든 재연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광상입니다.

촬영기자:이성현

도의회 운영위장 ‘광주·전남 맹목적 통합 반대’

전경선 전남도의회 운영위원장이 전라남도가 제출한 1차 추경안에 광주·전남 통합 연구용역 예산이 포함됐다며 맹목적 통합은 안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전경선 위원장은 지방소멸 극복을 위한 연합과 연대는 필요하나, 공론화 과정이 부족한 것은 문제가 있고 행정통합 추진 순서가 잘못됐다고 말했습니다.

‘명예섬 공유 정책’ 신안군-하남시 선포식 가져

신안군이 최근 경기도 하남시와 함께 '하남시의 섬, 도초도 선포식'을 개최하고 조형물 제막식을 가졌습니다.

지난 28일 치러진 이날 행사에는 김상호 하남시장, 박우량 신안군수 그리고 양 시군 의회 의원들이 참석했습니다.

신안군의 ‘명예섬 공유 정책’은 섬이 없는 자치단체에 신안군의 섬 중 하나를 명예 섬으로 부여하여 소속감과 친밀감을 높이고 해당 지자체 주민이 섬을 방문하게 되면 교통비와 관광지 할인혜택 등을 제공하는 정책 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기는 전남] 전남 ‘작은 학교’ 통합 논란 재연
    • 입력 2021-05-31 19:52:45
    • 수정2021-05-31 20:05:49
    뉴스7(광주)
[앵커]

여건이 열악한 전남의 교육이 코로나19 사태 이후엔 오히려 상대적으로 선방한 셈이었는데요.

다름 아니라, 등교가 가능한 소규모학교가 많았기 때문인데, 인구감소와 노령화라는 현실을 비켜가긴 어려워 다시 통합논란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김광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전라남도교육청이 요즘 홍보는 않지만 내심 알아줬으면 하는 일이 있습니다.

진단검사 결과 초등학교 3학년 만 5천명 중 기초학력에 문제가 있는 학생의 비율이 2019년에 비해 20%나 줄었습니다.

초등 1, 2학년 교사들에게 의무적으로 30시간의 기초학력 관련 연수를 받게 하고 전담교사를 둔 정책 등이 효과를 봤습니다.

여기에 이른바 소규모학교가 가장 많았던 전남의 약점이 오히려 강점이 됐습니다.

[이세은/전남교육청 유초등교육과 장학관 : "지난해 코로나19 상황임에도 전남은 60명 이하 작은 학교. 농산어촌 학교는 등교수업을 했습니다. 원격수업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학습결손을 최소화화 할 수 있어서…."]

그러나,기초학력과 학력 양극화 문제가 사회적 국가적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농산어촌 유학프로그램 인기의 이유도 됐던 이 소규모 학교를 놓고 최근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전남교육청이 학생들에게 최소한의 교육여건을 제공하기 위해서라며 조용히 작은학교 통합을 추진해섭니다.

장석웅 교육감이 위원장을 지낸 전교조와 교육청노조,교육시민단체까지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박성근/전교조 전남지부 정책실장 : "작은 학교 살리기 정책이 교육청에도 중요하고 교사들에게도 중요하지만, 지역과 마을에도 중요하다고 봅니다. 작은 학교를 살릴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방법들을 같이 고민해 봤으면 좋겠습니다."]

내년 교육감 선거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일단은 보류하고 공론화를 거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혀가고는 있지만, 코로나 사태 이후 정상화를 염두에 두면 논란은 언제든 재연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광상입니다.

촬영기자:이성현

도의회 운영위장 ‘광주·전남 맹목적 통합 반대’

전경선 전남도의회 운영위원장이 전라남도가 제출한 1차 추경안에 광주·전남 통합 연구용역 예산이 포함됐다며 맹목적 통합은 안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전경선 위원장은 지방소멸 극복을 위한 연합과 연대는 필요하나, 공론화 과정이 부족한 것은 문제가 있고 행정통합 추진 순서가 잘못됐다고 말했습니다.

‘명예섬 공유 정책’ 신안군-하남시 선포식 가져

신안군이 최근 경기도 하남시와 함께 '하남시의 섬, 도초도 선포식'을 개최하고 조형물 제막식을 가졌습니다.

지난 28일 치러진 이날 행사에는 김상호 하남시장, 박우량 신안군수 그리고 양 시군 의회 의원들이 참석했습니다.

신안군의 ‘명예섬 공유 정책’은 섬이 없는 자치단체에 신안군의 섬 중 하나를 명예 섬으로 부여하여 소속감과 친밀감을 높이고 해당 지자체 주민이 섬을 방문하게 되면 교통비와 관광지 할인혜택 등을 제공하는 정책 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