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택시 몰던 가장 살해…범인 기소됐지만, 매일이 고통

입력 2021.06.08 (06:58) 수정 2021.06.08 (07: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30년째 택시를 몰며 가족을 부양했던 가장을 살해한 '묻지마 범죄' 피의자가 어제 구속 기소됐습니다.

다른 여성을 살해하려다 여의치 않자 홧김에 택시기사를 살해한 거로 드러났는데, 끔찍한 범죄를 당한 피해자의 가족들은 하루하루 큰 고통 속에 살고 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갈매기 진짜 많다, 여기!"]

손주를 끔찍이도 아끼던 할아버지였습니다.

택시 운전만 30년째, 성실하게 가족을 부양했던 69살 이 모 씨는 사건이 난 당일도 저녁 택시 영업 중이었습니다.

[KBS 뉴스/5월 15일 아침 : "운행 중인 택시에 탄 승객이 흉기를 휘둘러 택시기사가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아버지의 숨이 멎은 날, 가족들의 시간도 함께 멈췄습니다.

[이○○/피해자 딸/음성변조 : "그냥 목소리가 자꾸 들리는 것 같아서... 현관문 소리를 들으면 아버지가 들어오실 것 같은데, 이제 아버지가 없으니까..."]

갑자기 눈물을 흘리거나, 제대로 잠을 자지 못하는 등 심각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고 있습니다.

처참했던 마지막 모습은 지울 수 없는 정신적 상처로 남았습니다.

[이○○/피해자 딸/음성변조 : "저희가 아버지 흉터 있는 데를 다 봤잖아요. 그 (돌아가신) 과정이 상상되니까 그게 너무 고통스러운 거예요."]

악성 댓글도 유족들의 상처를 후벼 팝니다.

[이○○/피해자 동생/음성변조 : "'정신병력 내세우고 사람 죽였는데, 얘(가해자)는 너희들이 아무리 애써도 집행유예다' 이런 댓글도 봤어요."]

경찰이 제공한 심리상담은,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이○○/피해자 동생/음성변조 : "상담해주시는 분이 '어머, 어머 그런 일 겪으셔서 어떡하냐'고... '너네한테 이런 것 했어'하는 과시용밖에 안 되는 거잖아요."]

가해자에 대한 엄중한 처벌을 간절히 원하지만, 할 수 있는 거라곤 국민 청원을 올린 뒤 직접 알리는 일뿐입니다.

[이○○/피해자 딸/음성변조 : "이게 사실 어떻게 힘이 될지는 모르겠는데, 그래도 그냥 마냥 기다릴 수밖에 없으니까..."]

전문가들은 가해자에 대한 합당한 처벌이 유족 심리 회복의 시작점이라고 강조합니다.

[김태경/우석대 상담심리학과 교수 : "가족을 살인으로 잃은 만큼의 벌이, 가해자에게 내려지길 바라는 마음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야만 사회가 정의롭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고요."]

또 사건 직후 4주에서 8주 안에, 전담자를 지정해 1:1로 심리적·경제적 지원을 집중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박장빈/영상편집:유지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30년 택시 몰던 가장 살해…범인 기소됐지만, 매일이 고통
    • 입력 2021-06-08 06:58:52
    • 수정2021-06-08 07:05:15
    뉴스광장 1부
[앵커]

30년째 택시를 몰며 가족을 부양했던 가장을 살해한 '묻지마 범죄' 피의자가 어제 구속 기소됐습니다.

다른 여성을 살해하려다 여의치 않자 홧김에 택시기사를 살해한 거로 드러났는데, 끔찍한 범죄를 당한 피해자의 가족들은 하루하루 큰 고통 속에 살고 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갈매기 진짜 많다, 여기!"]

손주를 끔찍이도 아끼던 할아버지였습니다.

택시 운전만 30년째, 성실하게 가족을 부양했던 69살 이 모 씨는 사건이 난 당일도 저녁 택시 영업 중이었습니다.

[KBS 뉴스/5월 15일 아침 : "운행 중인 택시에 탄 승객이 흉기를 휘둘러 택시기사가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아버지의 숨이 멎은 날, 가족들의 시간도 함께 멈췄습니다.

[이○○/피해자 딸/음성변조 : "그냥 목소리가 자꾸 들리는 것 같아서... 현관문 소리를 들으면 아버지가 들어오실 것 같은데, 이제 아버지가 없으니까..."]

갑자기 눈물을 흘리거나, 제대로 잠을 자지 못하는 등 심각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고 있습니다.

처참했던 마지막 모습은 지울 수 없는 정신적 상처로 남았습니다.

[이○○/피해자 딸/음성변조 : "저희가 아버지 흉터 있는 데를 다 봤잖아요. 그 (돌아가신) 과정이 상상되니까 그게 너무 고통스러운 거예요."]

악성 댓글도 유족들의 상처를 후벼 팝니다.

[이○○/피해자 동생/음성변조 : "'정신병력 내세우고 사람 죽였는데, 얘(가해자)는 너희들이 아무리 애써도 집행유예다' 이런 댓글도 봤어요."]

경찰이 제공한 심리상담은,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이○○/피해자 동생/음성변조 : "상담해주시는 분이 '어머, 어머 그런 일 겪으셔서 어떡하냐'고... '너네한테 이런 것 했어'하는 과시용밖에 안 되는 거잖아요."]

가해자에 대한 엄중한 처벌을 간절히 원하지만, 할 수 있는 거라곤 국민 청원을 올린 뒤 직접 알리는 일뿐입니다.

[이○○/피해자 딸/음성변조 : "이게 사실 어떻게 힘이 될지는 모르겠는데, 그래도 그냥 마냥 기다릴 수밖에 없으니까..."]

전문가들은 가해자에 대한 합당한 처벌이 유족 심리 회복의 시작점이라고 강조합니다.

[김태경/우석대 상담심리학과 교수 : "가족을 살인으로 잃은 만큼의 벌이, 가해자에게 내려지길 바라는 마음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야만 사회가 정의롭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고요."]

또 사건 직후 4주에서 8주 안에, 전담자를 지정해 1:1로 심리적·경제적 지원을 집중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박장빈/영상편집:유지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