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 만에 고향으로… 6·25 호국영웅 안장
입력 2021.06.17 (19:30)
수정 2021.06.17 (19: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6·25 전쟁에서 순국한 뒤 66년 만에 유골로 확인된 참전 용사가 있습니다.
고 조창식 하사인데요.
유가족과의 유전자 대조를 거쳐 70년 만에 고향 호국원에 안장됐습니다.
정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23살, 꽃다운 나이에 6·25에 참전했던 한 전사자의 영현이 호국원으로 봉송됩니다.
1951년 8월, 강원도 인제 노전평 전투에서 숨을 거둔 고 조창식 하사입니다.
[조철주/고 조창식 하사 조카 :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신 셋째 삼촌의 명복을 기원하고 그곳에서는 사형제 분들과 재회하시고, 또, 부모님도 만나 뵙기를 바라며 평안하시길 바랍니다."]
조국을 지키기 위해 고향인 괴산을 떠난 지 70년 만에 유해로 돌아온 겁니다.
[고창준/육군 제37보병사단장 : "대한민국과 우리가 누리는 번영은 고 조창식 하사님을 비롯한 호국영웅들이 계셨기에 가능했습니다."]
조 하사의 유해는 순국 60년이 넘도록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2017년, 국방부 감식단이 유해를 발굴했지만 일치하는 유전자 대조군이 없어 신원이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지난해에야 조카가 유전자 시료 채취에 참여해 신원이 확인됐습니다.
[허욱구/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 : "유가족분들이 시료를 채취해 주신다면, 유해 유전자와 유가족 유전자를 저희가 비교해, 신원 확인 과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름 없는 호국 영웅으로 70년을 잠들어 있던 고 조창식 하사.
긴 기다림 끝에 그토록 그리워하던 고향의 호국원에서 이제야 영면에 들었습니다.
KBS 뉴스 정진규입니다.
촬영기자:김현기
6·25 전쟁에서 순국한 뒤 66년 만에 유골로 확인된 참전 용사가 있습니다.
고 조창식 하사인데요.
유가족과의 유전자 대조를 거쳐 70년 만에 고향 호국원에 안장됐습니다.
정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23살, 꽃다운 나이에 6·25에 참전했던 한 전사자의 영현이 호국원으로 봉송됩니다.
1951년 8월, 강원도 인제 노전평 전투에서 숨을 거둔 고 조창식 하사입니다.
[조철주/고 조창식 하사 조카 :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신 셋째 삼촌의 명복을 기원하고 그곳에서는 사형제 분들과 재회하시고, 또, 부모님도 만나 뵙기를 바라며 평안하시길 바랍니다."]
조국을 지키기 위해 고향인 괴산을 떠난 지 70년 만에 유해로 돌아온 겁니다.
[고창준/육군 제37보병사단장 : "대한민국과 우리가 누리는 번영은 고 조창식 하사님을 비롯한 호국영웅들이 계셨기에 가능했습니다."]
조 하사의 유해는 순국 60년이 넘도록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2017년, 국방부 감식단이 유해를 발굴했지만 일치하는 유전자 대조군이 없어 신원이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지난해에야 조카가 유전자 시료 채취에 참여해 신원이 확인됐습니다.
[허욱구/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 : "유가족분들이 시료를 채취해 주신다면, 유해 유전자와 유가족 유전자를 저희가 비교해, 신원 확인 과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름 없는 호국 영웅으로 70년을 잠들어 있던 고 조창식 하사.
긴 기다림 끝에 그토록 그리워하던 고향의 호국원에서 이제야 영면에 들었습니다.
KBS 뉴스 정진규입니다.
촬영기자:김현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70년 만에 고향으로… 6·25 호국영웅 안장
-
- 입력 2021-06-17 19:30:53
- 수정2021-06-17 19:32:43

[앵커]
6·25 전쟁에서 순국한 뒤 66년 만에 유골로 확인된 참전 용사가 있습니다.
고 조창식 하사인데요.
유가족과의 유전자 대조를 거쳐 70년 만에 고향 호국원에 안장됐습니다.
정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23살, 꽃다운 나이에 6·25에 참전했던 한 전사자의 영현이 호국원으로 봉송됩니다.
1951년 8월, 강원도 인제 노전평 전투에서 숨을 거둔 고 조창식 하사입니다.
[조철주/고 조창식 하사 조카 :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신 셋째 삼촌의 명복을 기원하고 그곳에서는 사형제 분들과 재회하시고, 또, 부모님도 만나 뵙기를 바라며 평안하시길 바랍니다."]
조국을 지키기 위해 고향인 괴산을 떠난 지 70년 만에 유해로 돌아온 겁니다.
[고창준/육군 제37보병사단장 : "대한민국과 우리가 누리는 번영은 고 조창식 하사님을 비롯한 호국영웅들이 계셨기에 가능했습니다."]
조 하사의 유해는 순국 60년이 넘도록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2017년, 국방부 감식단이 유해를 발굴했지만 일치하는 유전자 대조군이 없어 신원이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지난해에야 조카가 유전자 시료 채취에 참여해 신원이 확인됐습니다.
[허욱구/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 : "유가족분들이 시료를 채취해 주신다면, 유해 유전자와 유가족 유전자를 저희가 비교해, 신원 확인 과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름 없는 호국 영웅으로 70년을 잠들어 있던 고 조창식 하사.
긴 기다림 끝에 그토록 그리워하던 고향의 호국원에서 이제야 영면에 들었습니다.
KBS 뉴스 정진규입니다.
촬영기자:김현기
6·25 전쟁에서 순국한 뒤 66년 만에 유골로 확인된 참전 용사가 있습니다.
고 조창식 하사인데요.
유가족과의 유전자 대조를 거쳐 70년 만에 고향 호국원에 안장됐습니다.
정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23살, 꽃다운 나이에 6·25에 참전했던 한 전사자의 영현이 호국원으로 봉송됩니다.
1951년 8월, 강원도 인제 노전평 전투에서 숨을 거둔 고 조창식 하사입니다.
[조철주/고 조창식 하사 조카 :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신 셋째 삼촌의 명복을 기원하고 그곳에서는 사형제 분들과 재회하시고, 또, 부모님도 만나 뵙기를 바라며 평안하시길 바랍니다."]
조국을 지키기 위해 고향인 괴산을 떠난 지 70년 만에 유해로 돌아온 겁니다.
[고창준/육군 제37보병사단장 : "대한민국과 우리가 누리는 번영은 고 조창식 하사님을 비롯한 호국영웅들이 계셨기에 가능했습니다."]
조 하사의 유해는 순국 60년이 넘도록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2017년, 국방부 감식단이 유해를 발굴했지만 일치하는 유전자 대조군이 없어 신원이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지난해에야 조카가 유전자 시료 채취에 참여해 신원이 확인됐습니다.
[허욱구/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 : "유가족분들이 시료를 채취해 주신다면, 유해 유전자와 유가족 유전자를 저희가 비교해, 신원 확인 과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름 없는 호국 영웅으로 70년을 잠들어 있던 고 조창식 하사.
긴 기다림 끝에 그토록 그리워하던 고향의 호국원에서 이제야 영면에 들었습니다.
KBS 뉴스 정진규입니다.
촬영기자:김현기
-
-
정진규 기자 jin9@kbs.co.kr
정진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