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가구 전쟁 시작…지역 가구업계 이중고
입력 2021.06.24 (19:28)
수정 2021.06.24 (20: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기장군 오시리아 관광단지에, 유명 유럽 가구 브랜드가 문을 열었는데요,
이번에는 국내 업체가 초대형 가구·인테리어 전문 쇼핑몰을 또 열었습니다.
가뜩이나 손님이 줄어든 지역 가구업체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공웅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내 최대 규모 가구와 인테리어 전문 쇼핑몰이 문을 열었습니다.
3층 규모에 만 3천여 제곱미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38곳의 고급 가구와 생활용품 브랜드가 입점했습니다.
가상 공간에서 바닥재나 벽지 색깔, 가구 배치를 바꿔볼 수도 있습니다.
[안흥국/입점 브랜드 사장 : "(부산에서 입주한 지) 15년 이상 된 가구들이 500만 정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고객들이 리모델링(개조)를 한다 그러면 연 50만 정도 가구들은 아마 이곳을 찾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 쇼핑몰에서 500미터 떨어진 곳에는 지난해 2월 앞서 문을 연 외국계 가구·인테리어 쇼핑몰이 있습니다.
경쟁이 예상되지만, 직접 가구 조립하기를 즐기는 20~40대가 주력이라 고객층이 겹치진 않을 것으로 업체는 보고 있습니다.
[권상덕/외국계 가구 쇼핑몰 기획총괄매니저 : "홈퍼니싱(인테리어) 업계가 전반적으로 발전하고 소비자들이 더 많은 선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어서 환영하는 바입니다."]
소비자에겐 선택의 폭이 넓어졌지만 지역 가구업체들은 고민거리가 늘었습니다.
편의시설이 잘 갖춰진 데다 한 자리에서 가구를 사고 식사와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쇼핑몰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박창제/좌천동 가구거리 업주 : "이 거리에 공영 주차장이 없기 때문에 손님들이 주차할 곳이 마련되지 않아서 오기가 불편한 점이 많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역 가구업체들은 소상공인 살리기 차원에서 유통 공룡들과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호소합니다.
KBS 뉴스 공웅조입니다.
촬영기자:한석규/영상편집:박민주
지난해 기장군 오시리아 관광단지에, 유명 유럽 가구 브랜드가 문을 열었는데요,
이번에는 국내 업체가 초대형 가구·인테리어 전문 쇼핑몰을 또 열었습니다.
가뜩이나 손님이 줄어든 지역 가구업체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공웅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내 최대 규모 가구와 인테리어 전문 쇼핑몰이 문을 열었습니다.
3층 규모에 만 3천여 제곱미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38곳의 고급 가구와 생활용품 브랜드가 입점했습니다.
가상 공간에서 바닥재나 벽지 색깔, 가구 배치를 바꿔볼 수도 있습니다.
[안흥국/입점 브랜드 사장 : "(부산에서 입주한 지) 15년 이상 된 가구들이 500만 정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고객들이 리모델링(개조)를 한다 그러면 연 50만 정도 가구들은 아마 이곳을 찾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 쇼핑몰에서 500미터 떨어진 곳에는 지난해 2월 앞서 문을 연 외국계 가구·인테리어 쇼핑몰이 있습니다.
경쟁이 예상되지만, 직접 가구 조립하기를 즐기는 20~40대가 주력이라 고객층이 겹치진 않을 것으로 업체는 보고 있습니다.
[권상덕/외국계 가구 쇼핑몰 기획총괄매니저 : "홈퍼니싱(인테리어) 업계가 전반적으로 발전하고 소비자들이 더 많은 선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어서 환영하는 바입니다."]
소비자에겐 선택의 폭이 넓어졌지만 지역 가구업체들은 고민거리가 늘었습니다.
편의시설이 잘 갖춰진 데다 한 자리에서 가구를 사고 식사와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쇼핑몰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박창제/좌천동 가구거리 업주 : "이 거리에 공영 주차장이 없기 때문에 손님들이 주차할 곳이 마련되지 않아서 오기가 불편한 점이 많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역 가구업체들은 소상공인 살리기 차원에서 유통 공룡들과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호소합니다.
KBS 뉴스 공웅조입니다.
촬영기자:한석규/영상편집:박민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남권 가구 전쟁 시작…지역 가구업계 이중고
-
- 입력 2021-06-24 19:28:06
- 수정2021-06-24 20:11:10

[앵커]
지난해 기장군 오시리아 관광단지에, 유명 유럽 가구 브랜드가 문을 열었는데요,
이번에는 국내 업체가 초대형 가구·인테리어 전문 쇼핑몰을 또 열었습니다.
가뜩이나 손님이 줄어든 지역 가구업체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공웅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내 최대 규모 가구와 인테리어 전문 쇼핑몰이 문을 열었습니다.
3층 규모에 만 3천여 제곱미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38곳의 고급 가구와 생활용품 브랜드가 입점했습니다.
가상 공간에서 바닥재나 벽지 색깔, 가구 배치를 바꿔볼 수도 있습니다.
[안흥국/입점 브랜드 사장 : "(부산에서 입주한 지) 15년 이상 된 가구들이 500만 정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고객들이 리모델링(개조)를 한다 그러면 연 50만 정도 가구들은 아마 이곳을 찾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 쇼핑몰에서 500미터 떨어진 곳에는 지난해 2월 앞서 문을 연 외국계 가구·인테리어 쇼핑몰이 있습니다.
경쟁이 예상되지만, 직접 가구 조립하기를 즐기는 20~40대가 주력이라 고객층이 겹치진 않을 것으로 업체는 보고 있습니다.
[권상덕/외국계 가구 쇼핑몰 기획총괄매니저 : "홈퍼니싱(인테리어) 업계가 전반적으로 발전하고 소비자들이 더 많은 선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어서 환영하는 바입니다."]
소비자에겐 선택의 폭이 넓어졌지만 지역 가구업체들은 고민거리가 늘었습니다.
편의시설이 잘 갖춰진 데다 한 자리에서 가구를 사고 식사와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쇼핑몰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박창제/좌천동 가구거리 업주 : "이 거리에 공영 주차장이 없기 때문에 손님들이 주차할 곳이 마련되지 않아서 오기가 불편한 점이 많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역 가구업체들은 소상공인 살리기 차원에서 유통 공룡들과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호소합니다.
KBS 뉴스 공웅조입니다.
촬영기자:한석규/영상편집:박민주
지난해 기장군 오시리아 관광단지에, 유명 유럽 가구 브랜드가 문을 열었는데요,
이번에는 국내 업체가 초대형 가구·인테리어 전문 쇼핑몰을 또 열었습니다.
가뜩이나 손님이 줄어든 지역 가구업체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공웅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내 최대 규모 가구와 인테리어 전문 쇼핑몰이 문을 열었습니다.
3층 규모에 만 3천여 제곱미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38곳의 고급 가구와 생활용품 브랜드가 입점했습니다.
가상 공간에서 바닥재나 벽지 색깔, 가구 배치를 바꿔볼 수도 있습니다.
[안흥국/입점 브랜드 사장 : "(부산에서 입주한 지) 15년 이상 된 가구들이 500만 정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고객들이 리모델링(개조)를 한다 그러면 연 50만 정도 가구들은 아마 이곳을 찾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 쇼핑몰에서 500미터 떨어진 곳에는 지난해 2월 앞서 문을 연 외국계 가구·인테리어 쇼핑몰이 있습니다.
경쟁이 예상되지만, 직접 가구 조립하기를 즐기는 20~40대가 주력이라 고객층이 겹치진 않을 것으로 업체는 보고 있습니다.
[권상덕/외국계 가구 쇼핑몰 기획총괄매니저 : "홈퍼니싱(인테리어) 업계가 전반적으로 발전하고 소비자들이 더 많은 선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어서 환영하는 바입니다."]
소비자에겐 선택의 폭이 넓어졌지만 지역 가구업체들은 고민거리가 늘었습니다.
편의시설이 잘 갖춰진 데다 한 자리에서 가구를 사고 식사와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쇼핑몰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박창제/좌천동 가구거리 업주 : "이 거리에 공영 주차장이 없기 때문에 손님들이 주차할 곳이 마련되지 않아서 오기가 불편한 점이 많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역 가구업체들은 소상공인 살리기 차원에서 유통 공룡들과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호소합니다.
KBS 뉴스 공웅조입니다.
촬영기자:한석규/영상편집:박민주
-
-
공웅조 기자 salt@kbs.co.kr
공웅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